조선청년문학가협회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김도현(1514052) (토론 | 기여)님의 2019년 6월 15일 (토) 14:52 판 (새 문서: <onlyinclude> {|class="metadata" style="background:#f2f2f2; width:320px; margin: 5px 5px 5px 5px;" cellspacing="10" align="right" |- ! colspan="2" style="background:#3ca9a9; color:#f...)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청년문학가협회

개요

1946년에 조직되었던 문인 단체.

상세소개

소장파 문인들이 중심이 되어 김동리(金東里)·최태응(崔泰應)·조지훈(趙芝薰)·조연현(趙演鉉)·서정주(徐廷柱)·유동준(兪東濬)·임서하(任西河)·이한직(李漢稷)·곽하신(郭夏信)·김광주(金光洲)·이정호(李正鎬)·여세기(呂世基)·박두진(朴斗鎭)·곽종원(郭鍾元)·박목월(朴木月)·박용구(朴容九) 등이 종로 YMCA강당에서 결성대회를 가졌다. 그 뒤 각 지방에서 유치환(柳致環)·김상옥(金相沃)·김춘수(金春洙)·조향(趙鄕)·김수돈(金洙敦)·정진업(鄭鎭業)·이영도·이설주(李雪舟)·이윤수(李潤守)·이재춘(李在春)·김현승(金顯承)·김남중(金南中)·백완기(白完基)·이경순(李敬純)·설창수(薛昌洙)·조진대(趙眞大)·오영수(吳永壽) 등이 참여하여 전국적인 규모로 확대되었다. 이 단체는 8·15광복 이후의 순수문학 전통을 확립한 대표적인 조직으로 평가되었으며, 1947년 전국문화단체총연합회로 발전적 해체되었다.

연혁

해당 단체의 연혁을 기술합니다.

관련 인물

해당 단체와 관련 있는 인물과의 관계를 간략하게 기술합니다.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주어(S) 목적어(O) A는 B를 ~하다(P)

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작성자 및 기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