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문학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선재 (토론 | 기여)님의 2018년 6월 18일 (월) 17:56 판 (새 문서: ==개념== 극문학은 무대 공연과 무대극 상영을 목적으로 하는 문학이며 희곡 및 각본 혹은 시나리오 등이 극문학의 범주에 속한다. ==문학...)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념

극문학은 무대 공연과 무대극 상영을 목적으로 하는 문학이며 희곡 및 각본 혹은 시나리오 등이 극문학의 범주에 속한다.

문학의 분류

2분법

운문 - 운율을 중시하는 문학 형태로, 대상을 종합적으로 파악하여 표현

산문 - 운율의 구속을 받지 않는 문학 형태로 , 그 대상을 분석적으로 표현한다.


3분법

서정문학 - 시인 자신의 주관적 체험을 그 고조된 감정 상태를 직접적으로 표출하는 문학

서사문학 - 사건을 서술자의 서술에 의해 전달하는 문학의 양식. 시간의 경과에 따라 서술하는 것이 일반적

""극문학"" - 서사 문학과 같이 사건을 전달하지만 연극을 전제로 만들어지는 문학으로 서술자의 개입 없이 행동과 대화로 사건을 표현하는 문학

유치진의 극문학

〈조국〉(1946)/〈자명고〉(1946)/〈별〉(1948)/〈흔들리는 지축〉(1949)/〈버드나무 선 동리 풍경〉(1933)/ 〈빈민가〉(1935)/〈소〉(1935) /〈토막〉/<북진대>/〈흑룡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