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국대전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김진영2211074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12월 8일 (목) 01:15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국대전

유형 문헌
시대 조선
성격 법전

조선시대 두 번째 통일 법전

배경

세조가 즉위하고 당시까지의 모든 법을 전체적으로 조화시켜 후대에 길이 전할 법전을 만들기 위해 육전상정소를 설치하고 편찬작업을 시작하게 함

편찬 과정

  • 1460년 <호전>이 완성됨
  • 예종 때 2차 작업이 끝났으나 예종의 죽음으로 시행되지 못함
  • 성종 때 3차, 4차 《경국대전》이 만들어짐
  • 1481년 감교청을 설치하고 내용을 수정하여 5차 《경국대전》이 완성됨
  • 1485년부터 시행됨

내용

조선의 정부체제인 육전체제를 따라 6전(이, 호, 예, 병, 형, 공)으로 구성되어있으며 각기 14~61개의 항목으로 이루어져있다.


  • 이전 - 29개의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궁중을 포함하여 중앙과 지방의 직제 및 관리의 임면과 사령 등을 다룸
  • 호전 - 30개의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재정, 토지, 조세, 녹봉, 공물, 토지매매 등에 관한 규정 등을 다룸
  • 예전 - 61개의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여러 종류의 과거와 관리의 의장, 외교, 의례, 공문서, 가족 등을 다룸
  • 병전 - 51개의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군제와 군사 등을 다룸
  • 형전 - 28개의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형별, 재판, 노비, 상속 등을 다룸
  • 공전 - 14개의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로, 다리, 도량형, 관사, 궁궐 등을 다룸

특징

출처

두산백과


작성자:김진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