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북구 지명유래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호영 (토론 | 기여)님의 2021년 6월 18일 (금) 20:54 판 (새 문서: ==성북구 지명유래== ===성북구=== 성북구 城北區 Seongbuk-gu 시의 북동부에 위치한 구이다. 현재 20개 행정동과 39개 법정동을 관할하고 있다....)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성북구 지명유래

성북구

성북구 城北區 Seongbuk-gu 시의 북동부에 위치한 구이다. 현재 20개 행정동과 39개 법정동을 관할하고 있다. 관내에 정릉(貞陵)·의릉(懿陵)·서울성곽 등의 문화재가소재한다. 성북구라는 이름은 지역이 도성의 북쪽에 위치한 데서 유래하였다. 조선시대 한성부 동부 숭신방·인창방에 속하는 지역이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숭신방·인창방은 성밖에 속한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장위리계(長位里契)·안암동계(安岩洞契) 등 현재 성북구에 소재한 동과 관련된 지명이 언급되어 있다. 「한성부지도」에는 흥인지문의 동쪽 밖으로 숭신방·인창방이 표현되어 있고 안암동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1914년 숭신방과 인창방에서 성저에 가까운 일부 지역만을 창신동·숭인동으로 개칭하여 경성부에 포함시키고, 대개 경기도 고양군에 편입하여 숭인면으로 개편되었다. 1936년경기도 고양군의 숭인면·한지면 등이 다시 경성부에 편입되었고, 동부출장소 관할이 되었다. 1943년 구제의 실시에 따라 동부출장소 관할 지역을 나누어 동대문구와 성동구를 설치하였다. 1949년 동대문구에서 성북구를 분리·신설하였다.

행정구역

길음동

길음동 吉音洞 Gireum-dong [異] 기리묵골, 기레미골, 기리미골, 지리미골 구의 북쪽에 위치한 동이다. 길음동은 법정동명이며, 길음1동과 길음2동의 2개 행정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곳이 골짜기가 길게 놓여 있는 동네라는 뜻으로‘기리묵골’또는‘기레미골’로 불렀는데, 그것이 한자화하여 길음동이 되었다. 또 비가 많이 오면 이 일대가 물이 많이 차고 길이 질다고 하여‘기리미골’또는‘지리미골’로 불리었다고도 한다. 이를 한자로 옮긴 것이 길음동(吉音洞)이다. 한편 계곡을 흐르는 물소리가 맑고 고와서 좋은 소리가 들리는 동네라는 뜻으로 이름이붙여졌다고도한다. 조선시대한성부동부숭신방(崇信坊) 미아리계(彌阿里契)에 속하는 지역이었다. 1911년 경성부 숭신면 미아리가 되었다가, 1914년 숭신면의 미아리와 불당동(佛堂洞)을 병합하여 경기도 고양군숭인면(崇仁面) 미아리가되었다. 1949년성북구에 편입되어 1950년 미아동이라 하였다. 1973년 성북구에서 도봉구가 분리·신설되면서 도봉구 관할이 되었다. 1975년 도봉구 미아동 일부가 다시 성북구로 편입되어 길음동이라고하였다.

돈암동

돈암동 敦岩洞 Donam-dong 구의 중부에 위치한 동이다. 돈암동은 법정동명이며, 돈암1동·돈암2동의 2개 행정동으로 이루어져 있다. 조선시대 한성부 동부 숭신방(崇信坊)에 속하는 지역이었다. 동 이름은 미아리고개를 예전에 되너미고개라 부른데서 유래하였다. 되너미고개란 병자호란에 되놈이이고개를 넘어 침입하였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되너미고개를 적유령(狄踰嶺)·적유현(狄踰峴)·호유현(胡踰峴) 등으로도 불렀다. 되너미고개를 한자화한 것이 돈암현(敦岩峴)이다. 『신증동국여지승람』, 『도성대지도』, 『경조오부도』등에는 적유현으로 되어 있고, 『여지대전도』의「도성도」, 「사산금표도」등에는 호유현으로 나타난다. 1914년 숭신면의 삼선평과 돈암리를병합하여경기도고양군숭인면돈암리가되었다.일제강점기에 제작된『조선지형도』에 돈암리가 보인다.1936년 다시 경성부에 편입되어 돈암정(敦岩町)이라 하였다. 1943년 구제의 실시에 따라 동대문구 관할이 되었다. 1949년 성북구를 설치함에 따라 성북구에 속하게 되었다. 이때돈암동일부를분리하여삼선동과동선동으로 하였다. 1963년 돈암동 일부를 분리하여 동소문동으로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