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코코 시대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김윤아(2011011)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6월 21일 (일) 13:52 판 (새 문서: <onlyinclude> {|class="metadata" style="background:#f2f2f2; width:320px; margin: 5px 5px 5px 5px;" cellspacing="10" align="right" |- ! colspan="2" style="background:#3ca9a9; color:#f...)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로코코 시대

로코코 시대는 루이 14세가 죽은 1715년부터 루이 16세가 처형된 1793년까지를 일컫는다..

로코코

정확히 말하자면 로코코 시대의 ‘로코코’라는 것은 바로크 시대의 호방한 취향을 이어받아 경박함 속에 표현되는 화려한 색채와 섬세한 장식, 건축의 유행을 말한다. 바로크 양식이 수정, 약화 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로코코는 왕실예술이 아니라 귀족과 부르주아의 예술이다. 다시 말하자면, 유희와 쾌락의 추구에 몰두해 있던 루이 14세 사후, 18세기 프랑스 사회의 귀족계급이 추구한, 사치스럽고 우아한 성격 및 유희적이고 변덕스러운 매력을, 그러나 동시에 부드럽고, 내면적인 성격을 가진 사교계 예술을 말하는 것이다. 귀족계급의 주거환경을 장식하기 위해 에로틱한 주제나 아늑함과 감미로움이 추구되었고 개인의 감성적 체험을 표출하는 소품위주로 제작되었다. 또한 로코코에서는 중국 양식이 많이 유행하였다.

로코코 시대상

전제 왕권사회가 시민 중심의 근대사회로 이행되어 가는 변환기 자연과 이성을 중시여기는 합리주의가 싹뜨는 계몽의 시기


로코코 시대 의복

남성복

재킷은 노칼라로 포켓이 달리고 앞이나 커프스에 칠보나 보석의 단추를 달고 셔츠의 앞, 소맷부리에는 레이스를 달았다. 넥타이는 레이스가 있는 스카프모양이었다. 소맷부리나 앞에 레이스 장식을 달고, 신발 앞에 버클을 달았다. 가발은 분을 칠해 하얗게 하고 양쪽 귀밑에서 웨이브를 넣어 마무리지었다. 남성복과 여성복 모두 호화로운 견작물이나 자수를 넣은 명주를 사용했다. 루이 16세의 초상화에서도 이와 같은 특징들을 찾아볼 수 있다.

루이 16세.jpg


오리온

오리온은 키오스섬의 왕인 오이노피온에게 자신의 딸을 겁탈하려했다는 이유로 보복을 당해 장님이 되었다. 오리온은 눈을 고치기 위해 바다를 건너는 중 아르테미스를 만났다. 오리온은 아르테미스가 유일하게 사랑했던 남성이라는 설도 있다. 사냥이 취미라는 점에서 가까워지며 연인관계까지 발전했다. 하지만 아폴론은 오리온이 성격이 포악하고 바람둥이인데다 동생 아르테미스가 처녀의 맹세를 저버리려는 것도 마음에 들지 않았기 때문에 둘의 사랑을 부정적이게 생각했다. 아폴론은 아르테미스에게 바다 위에 떠있는 오리온의 머리를 맞춰보라고 부추겼고, 아르테미스는 그 물체가 오리온의 머리라는 것을 알지 못하고 화살을 쏘아 오리온을 죽이고 만다. 후에 자신이 쏜 화살에 맞은게 오리온이라는 것을 알고 아르테미스는 슬픔에 빠져 제우스에게 오리온을 하늘의 별자리로 만들어달라고 부탁했다.

키오네

키오네는 아폴론과 헤르메스와의 동침으로 아폴론의 아들 필람몬, 헤르메스의 아들 오톨리구스를 낳았다. 키오네는 두 사람의 사랑을 받아며 미모에 대한 자신감이 엄청나게 늘었다. 자신이 아르테미스보다 미모가 뛰어나다고 아름다움을 뽐내다가 결국 화가 난 아르테미스의 화살에 맞아 죽게된다. 아르테미스는 아무리 아폴론의 사랑을 받았다고해도 인간의 분수를 지키지 못한 키오네에 노해 자비없이 사살했다.

오토스와 에피알테스 형제

덩치가 엄청 났고, 신이나 인간 심지어 괴물까지도 그들과 싸워서 이길 수 없을 정도로 힘이 쎘다. 타고난 힘을 가진 형제는 자신들이 올림포스의 신들보다도 강력하다고 믿어 신들을 몰아내고 세계를 지배하고자 한다. 그러고선 오토스는 헤라를, 에피알테스는 아르테미스를 아내로 삼기로 스틱스 강에 맹세하고 올림포스에 침공했다. 전쟁의 신 아레스, 전투의 여신 아테나, 바람의 신 헤르메스, 불의 신 헤파이스토스 등 많은 신들이 형제와 결투했지만 아무도 이기지 못하고 당하는 상황이 계속되었다. 예언의 신 아폴론이 형제를 이길 수 없지만 저들을 내분시켜 서로 죽일 수 있다는 걸 알아내고, 아르테미스와 계획을 짜서 형제를 낙소스 섬으로 유인했다. 아르테미스를 서로 차지하겠다던 싸우던 형제는 결국 서로가 던진 창에 맞아 죽게된다.

히폴리토스

히폴리토스는 사냥을 좋아했고 달과 사냥의 여신이자 처녀신인 아르테미스를 숭배하는 아르테미스의 남자 숭배자이다. 아르테미스의 총애와 가호를 받은 몇 안되는 남자였고, 죽을 때까지 여자와 결혼하지 않고, 아르테미스를 숭배하며 독신으로 살아간다고 맹세했다. 히폴리토스가 테세우스의 저주 때문에 즉사하였을 때, 아르테미스가 죽은 히폴리토스를 아스클레피오스에게 데려가 되살려주었다.

아가멤논

미케네의 왕 아가멤논은 그리스군이 트로이로 출항하기 전에 무단으로 성스러운 숲에서 사냥을 하다가 아르테미스의 숫사슴을 죽였다. 자기가 아르테미스보다 뛰어난 사냥꾼이라고 자랑을 했다. 열받은 아르테미스는 그리스군에 전염병을 터뜨려 군사들을 죽게하고, 배들이 출항하지 못하게 했다. 결국 예언자 칼카스의 말에 따라 자기의 딸 이피게네이아를 아르테미스에게 산 제물로 바치며 용서를 구한다. 아버지의 죄 때문에 죽게된 이피게네이아를 불쌍히 생각해 아르테미스는 이피게네이아를 사슴과 바꿔치기하여 타우리스의 사제로 삼았다.

관련작품

목요.png

사냥에서 돌아온 다이아나,프랑수아 부셰(1745)


악타이온.png

Diana and Actaeon,Giuseppe Cesari(1602–1603)


이피게니아.png

Wandtapijt met de interventie van Artemis tijdens de voorbereiding van het offer van Iphigeneia,workshop of Pieter de Cracht(1648-1662)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다이아나 악타이온 A는 B에게 저주를 했다
다이아나 오리온 A는 B를 사랑했다
다이아나 키오네 A는B를 끔살했다
다이아나 오토스와 에피알테스 형제 A는 B가 죽도록 유도했다
다이아나 히폴리토스 A는 B를 총애했다
다이아나 아가멤논 A는 B에게 저주를 했다

참고문헌 및 자료

네이버 지식백과

네이버 지식백과

구글아트

구글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