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도잡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요)
14번째 줄: 14번째 줄:
 
==개요==
 
==개요==
 
조선 후기의 실학자인 유득공이 집필한 당시 서울의 문물제도 및 세시에 관해 기록한 풍속지.
 
조선 후기의 실학자인 유득공이 집필한 당시 서울의 문물제도 및 세시에 관해 기록한 풍속지.
 
+
==제작==
 +
완성연대는 내용으로 추정할때 정조 때 쓰여진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내용==
 
==내용==
발해고 등으로 유명한 실학자 유득공이 정조 시기에 편찬한 서울 지역의 고유 세시풍속지이다. 총 2권 1책이다.
+
발해고 등으로 유명한 실학자 유득공이 정조 시기에 편찬한 서울 지역의 고유 세시풍속지이다. 총 2권 1책이다. 서문이 없지만, 각 권당 19개의 목차로 구성한 것은 의도된 구성이다.
 
+
===제1권===
1권은 건복(巾服), 주식(酒食), 다연(茶烟), 과과(果瓜), 제택(第宅), 마려(馬驢), 기집(器什), 문방(文房), 화훼(花卉), 발합(鵓鴿), 유상(遊賞), 성기(聲妓), 도희(賭戱), 시포(市舖), 시문(詩文), 서화(書畫), 혼의(婚議), 유가(遊街), 가도(呵導)의 19항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2권은 원일(元日), 해일(亥日), 자일(子日), 사일(巳日), 인일(人日), 입춘(立春), 상원(上元), 2월 초일일(二月初一日), 한식(寒食), 중삼(重三), 4월 파일(四月八日), 단오(端午), 6월 15일(六月十五日), 복(伏), 중원(中元), 중추(中秋), 중구(重九), 10월 오일(十月午日), 동지(冬至), 납평(臘平), 제석(除夕)으로 이루어져 있다.
+
건복(巾服), 주식(酒食), 다연(茶烟), 과과(果瓜), 제택(第宅), 마려(馬驢), 기집(器什), 문방(文房), 화훼(花卉), 발합(鵓鴿), 유상(遊賞), 성기(聲妓), 도희(賭戱), 시포(市舖), 시문(詩文), 서화(書畫), 혼의(婚議), 유가(遊街), 가도(呵導)의 19항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
===제2권===
서문이 없지만, 각 권당 19개의 목차로 구성한 것은 의도된 구성이다.
+
원일(元日), 해일(亥日), 자일(子日), 사일(巳日), 인일(人日), 입춘(立春), 상원(上元), 2월 초일일(二月初一日), 한식(寒食), 중삼(重三), 4월 파일(四月八日), 단오(端午), 6월 15일(六月十五日), 복(伏), 중원(中元), 중추(中秋), 중구(重九), 10월 오일(十月午日), 동지(冬至), 납평(臘平), 제석(除夕)으로 이루어져 있다.
 
 
 
==의의==
 
==의의==
 +
이 책은 기록이 드문 조선시대의 풍속과 세시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주는 자료이며, 특히 우리 나라 민속학연구에 귀중한 문헌이다. 1911년광문회(光文會)에서 최남선(崔南善)이 『동국세시기』를 간행할 때 『열양세시기』와 이 책을 합편하여 펴낸 바 있고, 1969년 을유문화사에서 위의 세 책을 합편하여 이름을 『동국세시기 외』라하고 문고본으로 간행하였는데 이석호(李錫浩)가 국역하였다.
 
동국세시기, 열양세시기, 동경잡기 등의 여러 풍속지와 함께 조선 후기 우리나라의 민속 문화에 대해 자세히 알아 볼 수 있는 책 중 하나이다.
 
동국세시기, 열양세시기, 동경잡기 등의 여러 풍속지와 함께 조선 후기 우리나라의 민속 문화에 대해 자세히 알아 볼 수 있는 책 중 하나이다.
  

2022년 12월 6일 (화) 11:22 판

개요

조선 후기의 실학자인 유득공이 집필한 당시 서울의 문물제도 및 세시에 관해 기록한 풍속지.

제작

완성연대는 내용으로 추정할때 정조 때 쓰여진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내용

발해고 등으로 유명한 실학자 유득공이 정조 시기에 편찬한 서울 지역의 고유 세시풍속지이다. 총 2권 1책이다. 서문이 없지만, 각 권당 19개의 목차로 구성한 것은 의도된 구성이다.

제1권

건복(巾服), 주식(酒食), 다연(茶烟), 과과(果瓜), 제택(第宅), 마려(馬驢), 기집(器什), 문방(文房), 화훼(花卉), 발합(鵓鴿), 유상(遊賞), 성기(聲妓), 도희(賭戱), 시포(市舖), 시문(詩文), 서화(書畫), 혼의(婚議), 유가(遊街), 가도(呵導)의 19항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2권

원일(元日), 해일(亥日), 자일(子日), 사일(巳日), 인일(人日), 입춘(立春), 상원(上元), 2월 초일일(二月初一日), 한식(寒食), 중삼(重三), 4월 파일(四月八日), 단오(端午), 6월 15일(六月十五日), 복(伏), 중원(中元), 중추(中秋), 중구(重九), 10월 오일(十月午日), 동지(冬至), 납평(臘平), 제석(除夕)으로 이루어져 있다.

의의

이 책은 기록이 드문 조선시대의 풍속과 세시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주는 자료이며, 특히 우리 나라 민속학연구에 귀중한 문헌이다. 1911년광문회(光文會)에서 최남선(崔南善)이 『동국세시기』를 간행할 때 『열양세시기』와 이 책을 합편하여 펴낸 바 있고, 1969년 을유문화사에서 위의 세 책을 합편하여 이름을 『동국세시기 외』라하고 문고본으로 간행하였는데 이석호(李錫浩)가 국역하였다. 동국세시기, 열양세시기, 동경잡기 등의 여러 풍속지와 함께 조선 후기 우리나라의 민속 문화에 대해 자세히 알아 볼 수 있는 책 중 하나이다.

작성자

정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