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례 화엄사 시왕도(그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신지현(2311122)님이 구례 화엄사 시왕도 문서를 구례 화엄사 시왕도(그림)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21번째 줄: 21번째 줄:
 
'''구례 화엄사 시왕도'''(求禮 華嚴寺 十王圖)는 전라남도 구례군 화엄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이다.
 
'''구례 화엄사 시왕도'''(求禮 華嚴寺 十王圖)는 전라남도 구례군 화엄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이다.
  
== 개요 ==
+
=='''개요'''==
  
 
규격은 가로 193 * 세로 220cm이며 비단(絹)에 채색했다. 명부 10명의 왕을 5명씩 나눠 그린 두 폭의 불화 가운데 1폭이다. 2단으로 구성된 화면은 상단에 명부의 제2초강대왕, 제4오관대왕, 제6변성대왕, 제8평등대왕, 제10오도전륜대왕 등을 그리고 하단에는 구름으로 구획하여 망자들이 형벌을 받는 5개의 지옥 장면이 펼쳐져 있다.<ref name="별첨">문화재청. "도난 불교문화유산 32점, 제자리로 돌아간다." <https://www.cha.go.kr/newsBbz/selectNewsBbzView.do?newsItemId=155704119&sectionId=b_sec_1&mn=NS_01_02>. 별첨_주요 환수 불교문화유산 해설.pdf.</ref> 홀수 대왕 5명이 그려진 불화는 오래전 유출된 것으로 보인다.<ref>현대불교. "[다시 찾을 성보들]10. 구례 화엄사·암자의 도난 성보" <http://www.hyunbu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96349>. 18문단.2023년 6월 1일 확인. </ref>5명의 명왕들은 탁자를 앞에 두고 의자에 앉아 망자의 죄를 심판하는 모습이며, 그 아래로 판관, 사자, 옥졸, 동자 등의 권속이 배치되었다. 이 그림에 등장하는 백의관음은 명부계 불화에서는 보기 드문 이색적인 모티프이다. 이 불화는 1862년 11월, 해운당(海雲堂) 익찬(益贊)과 풍곡당(豊谷堂)
 
규격은 가로 193 * 세로 220cm이며 비단(絹)에 채색했다. 명부 10명의 왕을 5명씩 나눠 그린 두 폭의 불화 가운데 1폭이다. 2단으로 구성된 화면은 상단에 명부의 제2초강대왕, 제4오관대왕, 제6변성대왕, 제8평등대왕, 제10오도전륜대왕 등을 그리고 하단에는 구름으로 구획하여 망자들이 형벌을 받는 5개의 지옥 장면이 펼쳐져 있다.<ref name="별첨">문화재청. "도난 불교문화유산 32점, 제자리로 돌아간다." <https://www.cha.go.kr/newsBbz/selectNewsBbzView.do?newsItemId=155704119&sectionId=b_sec_1&mn=NS_01_02>. 별첨_주요 환수 불교문화유산 해설.pdf.</ref> 홀수 대왕 5명이 그려진 불화는 오래전 유출된 것으로 보인다.<ref>현대불교. "[다시 찾을 성보들]10. 구례 화엄사·암자의 도난 성보" <http://www.hyunbu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96349>. 18문단.2023년 6월 1일 확인. </ref>5명의 명왕들은 탁자를 앞에 두고 의자에 앉아 망자의 죄를 심판하는 모습이며, 그 아래로 판관, 사자, 옥졸, 동자 등의 권속이 배치되었다. 이 그림에 등장하는 백의관음은 명부계 불화에서는 보기 드문 이색적인 모티프이다. 이 불화는 1862년 11월, 해운당(海雲堂) 익찬(益贊)과 풍곡당(豊谷堂)
 
덕린(德獜), 월허당(月虛堂) 준언(俊彦), 해명당(海溟堂) 산수(山水) 등 화승 17명이 제작하였다.<ref name="별첨"/>
 
덕린(德獜), 월허당(月虛堂) 준언(俊彦), 해명당(海溟堂) 산수(山水) 등 화승 17명이 제작하였다.<ref name="별첨"/>
  
==도난 사고==
+
=='''도난 사고'''==
 
2001년 12월에 시왕도를 도난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ref>문화재청. "도난문화재 정보.구례 화엄사 불화" <https://cha.go.kr/robbery/selectRobberyView.do?id=272&pageIndex=28&mn=NS_03_12&strWhere=&strValue=&sdate=&edate=></ref> 2020년 경찰이 화엄사 시왕도를 포함하여 32점의 은닉된 문화유산을 찾아 압수했다.  
 
2001년 12월에 시왕도를 도난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ref>문화재청. "도난문화재 정보.구례 화엄사 불화" <https://cha.go.kr/robbery/selectRobberyView.do?id=272&pageIndex=28&mn=NS_03_12&strWhere=&strValue=&sdate=&edate=></ref> 2020년 경찰이 화엄사 시왕도를 포함하여 32점의 은닉된 문화유산을 찾아 압수했다.  
 
그 후, 사건 재판이 마무리되고 서울중앙지방검찰청은 압수한 문화유산을 원래 자리로 되돌려놓기로 결정했다. 2023년 4월에 대한불교조계종은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임시 보관 중이었던 불교문화유산을 돌려받았다.<ref name="별첨"/>
 
그 후, 사건 재판이 마무리되고 서울중앙지방검찰청은 압수한 문화유산을 원래 자리로 되돌려놓기로 결정했다. 2023년 4월에 대한불교조계종은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임시 보관 중이었던 불교문화유산을 돌려받았다.<ref name="별첨"/>
  
==[[리메이크]]==
+
=='''[[리메이크]]'''==
 
미술가 오윤이 구례 화엄사 시왕도의 도상을 차용해서 [[마케팅Ⅰ-지옥도]](1980)를 제작했다.
 
미술가 오윤이 구례 화엄사 시왕도의 도상을 차용해서 [[마케팅Ⅰ-지옥도]](1980)를 제작했다.
  
== 각주 ==
+
=='''각주'''==
 
<references/>
 
<references/>
  
== 참고 자료 ==
+
=='''참고 자료'''==
 
문화재청 보도/설명 [https://www.cha.go.kr/newsBbz/selectNewsBbzView.do?newsItemId=155704119&sectionId=b_sec_1&mn=NS_01_02 도난 불교문화유산 32점, 제자리로 돌아간다]<br/>
 
문화재청 보도/설명 [https://www.cha.go.kr/newsBbz/selectNewsBbzView.do?newsItemId=155704119&sectionId=b_sec_1&mn=NS_01_02 도난 불교문화유산 32점, 제자리로 돌아간다]<br/>
 
문화재청 도난문화재 정보 [https://cha.go.kr/robbery/selectRobberyView.do?id=272&pageIndex=28&mn=NS_03_12&strWhere=&strValue=&sdate=&edate= 구례 화엄사 불화 지장탱화, 시왕탱화]
 
문화재청 도난문화재 정보 [https://cha.go.kr/robbery/selectRobberyView.do?id=272&pageIndex=28&mn=NS_03_12&strWhere=&strValue=&sdate=&edate= 구례 화엄사 불화 지장탱화, 시왕탱화]

2023년 6월 6일 (화) 17:38 판

기본 정보

구례 화엄사 시왕도(求禮 華嚴寺 十王圖)는 전라남도 구례군 화엄사에 있는 조선시대의 불화이다.

개요

규격은 가로 193 * 세로 220cm이며 비단(絹)에 채색했다. 명부 10명의 왕을 5명씩 나눠 그린 두 폭의 불화 가운데 1폭이다. 2단으로 구성된 화면은 상단에 명부의 제2초강대왕, 제4오관대왕, 제6변성대왕, 제8평등대왕, 제10오도전륜대왕 등을 그리고 하단에는 구름으로 구획하여 망자들이 형벌을 받는 5개의 지옥 장면이 펼쳐져 있다.[1] 홀수 대왕 5명이 그려진 불화는 오래전 유출된 것으로 보인다.[2]5명의 명왕들은 탁자를 앞에 두고 의자에 앉아 망자의 죄를 심판하는 모습이며, 그 아래로 판관, 사자, 옥졸, 동자 등의 권속이 배치되었다. 이 그림에 등장하는 백의관음은 명부계 불화에서는 보기 드문 이색적인 모티프이다. 이 불화는 1862년 11월, 해운당(海雲堂) 익찬(益贊)과 풍곡당(豊谷堂) 덕린(德獜), 월허당(月虛堂) 준언(俊彦), 해명당(海溟堂) 산수(山水) 등 화승 17명이 제작하였다.[1]

도난 사고

2001년 12월에 시왕도를 도난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3] 2020년 경찰이 화엄사 시왕도를 포함하여 32점의 은닉된 문화유산을 찾아 압수했다. 그 후, 사건 재판이 마무리되고 서울중앙지방검찰청은 압수한 문화유산을 원래 자리로 되돌려놓기로 결정했다. 2023년 4월에 대한불교조계종은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임시 보관 중이었던 불교문화유산을 돌려받았다.[1]

리메이크

미술가 오윤이 구례 화엄사 시왕도의 도상을 차용해서 마케팅Ⅰ-지옥도(1980)를 제작했다.

각주

  1. 1.0 1.1 1.2 문화재청. "도난 불교문화유산 32점, 제자리로 돌아간다." <https://www.cha.go.kr/newsBbz/selectNewsBbzView.do?newsItemId=155704119&sectionId=b_sec_1&mn=NS_01_02>. 별첨_주요 환수 불교문화유산 해설.pdf.
  2. 현대불교. "[다시 찾을 성보들]10. 구례 화엄사·암자의 도난 성보" <http://www.hyunbu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296349>. 18문단.2023년 6월 1일 확인.
  3. 문화재청. "도난문화재 정보.구례 화엄사 불화" <https://cha.go.kr/robbery/selectRobberyView.do?id=272&pageIndex=28&mn=NS_03_12&strWhere=&strValue=&sdate=&edate=>

참고 자료

문화재청 보도/설명 도난 불교문화유산 32점, 제자리로 돌아간다
문화재청 도난문화재 정보 구례 화엄사 불화 지장탱화, 시왕탱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