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인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인물)
(참고 문헌)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4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설립일시=
+
<onlyinclude>
1933년 8월
+
{|class="metadata" style="background:#f2f2f2; width:320px; margin: 5px 5px 5px 5px;" cellspacing="10" align="right"
 +
|-
 +
! colspan="2" style="background:#3ca9a9; color:#ffffff; font-size:130%; text-align:center;" | '''구인회(九人會)'''
 +
|-
 +
| style="text-align:center;"|'''구분''' || 문학 동인회
 +
|-
 +
| style="text-align:center;"|'''설립일''' || 1993年 8月
 +
|-
 +
| style="text-align:center;"|'''설립자''' || [[이종명]], [[김유영]]
 +
|-
 +
| style="text-align:center;"|'''설립목적''' || 경향주의 문학 배격 및 순수문학 옹호
 +
|-
 +
| style="text-align:center;"|'''기관지''' || 시와 소설
 +
|- 
 +
| style="text-align:center;"|'''규모''' || 9인의 중견급 작가
 +
|- 
 +
|}
 +
</onlyinclude>
 +
 
 +
 
 +
 
 +
=정의=
 +
순수문학을 표방하고 문단의 중견급 작가 9명에 의하여 1933년 8월에 설립된 문학동인회
 +
 
  
 
=활동=
 
=활동=
문학단체. 특별히 주장한 목표는 없으나, [[경향주의]] 문학에 반하여 ‘[[순수예술]]추구’를 취지로 하여 약 3∼4년 동안 월 2∼3회의 모임과 서너 번의 문학강연회, 그리고 『시와 소설』이라는 기관지를 한 번 발행하였다. 이처럼 활동은 소극적이었으나, 당시 신인 및 중견작가로서 이들이 차지하는 문단에서의 역량 등으로 인해 ‘순수예술옹호’라는 문단의 분위기를 형성하기도 하였다.
+
문학단체. 특별히 주장한 목표는 없으나, [[경향주의 문학]]반하여 ‘순수예술추구’를 취지로 하여 약 3∼4년 동안 월 2∼3회의 모임과 서너 번의 문학강연회, 그리고 『[[시와 소설]]』이라는 기관지를 한 번 발행하였다. 이처럼 활동은 소극적이었으나, 당시 신인 및 중견작가로서 이들이 차지하는 문단에서의 역량 등으로 인해 ‘순수예술옹호’라는 문단의 분위기를 형성하기도 하였다.
  
 
=인물=
 
=인물=
1933년 8월
+
1933년 8월 [[이종명]](李鍾鳴)·[[김유영]](金幽影)의 발기로 [[이효석]](李孝石)·[[이무영]](李無影)·[[유치진]](柳致眞)·[[이태준]](李泰俊)·[[조용만]](趙容萬)·[[김기림]](金起林)·[[정지용]](鄭芝溶) 총 9명 결성  
 
 
[[이종명]](李鍾鳴)·[[김유영]](金幽影)의 발기로 [[이효석]](李孝石)·[[이무영]](李無影)·[[유치진]](柳致眞)·[[이태준]](李泰俊)·[[조용만]](趙容萬)·[[김기림]](金起林)·[[정지용]](鄭芝溶) 총 9명 결성  
 
  
 
발족한 지 얼마 안 되어 발기인인 이종명·김유영과 이효석이 탈퇴하고 그 대신 [[박태원]](朴泰遠)·[[이상]](李箱)·[[박팔양]](朴八陽)이 가입
 
발족한 지 얼마 안 되어 발기인인 이종명·김유영과 이효석이 탈퇴하고 그 대신 [[박태원]](朴泰遠)·[[이상]](李箱)·[[박팔양]](朴八陽)이 가입
15번째 줄: 36번째 줄:
  
 
<gallery>
 
<gallery>
파일:이효석.|이효석
+
파일:이효석.gif|[[이효석]]
파일:유치진.|유치진
+
파일:이태준.jpeg|[[이태준]]
파일:이태준.|이태준
+
파일:김기림.jpeg|[[김기림]]
파일:김기림.jpeg|김기림
+
파일:정지용.jpeg|[[정지용]]
파일:정지용.|정지용
+
파일:박태원.jpeg|[[박태원]]
파일:박태원.|박태원
+
파일:이상.jpeg|[[이상]]
파일:이상.|이상
+
파일:박팔양.png|[[박팔양]]
파일:박팔양.|박팔양
+
파일:김유정.jpeg|[[김유정]]
파일:김유정.jpeg|김유정
+
파일:김환태.jpeg|[[김환태]]
파일:김환태.|김환태
 
 
</gallery>
 
</gallery>
 +
 +
=인물들의 특징=
 +
*[[이태준]]
 +
서정성이 높은 문장과 미의식에 있어서 거의 독보적인 경지를 펼쳐갔다.
 +
*[[이효석]]
 +
시골이나 도회의 주변적 인물이 지닌 애수 섞인 삶의 양상에 특출한 묘사력을 가지고 예술적 개성을 성취한 서정적 작가였다.
 +
*[[박태원]]
 +
「사흘 굶은 봄달」·「옆집 색시」·「오월의 훈풍」 등을 발표하였고, 표현과 묘사의 기교에 관심을 기울인 작가로서 간결체 문장의 아름다움을 성공시킨 점을 들 수 있다. 뒤에는 「천변풍경(川邊風景)」과 같은 작품을 써서 풍속적 저변을 들추어내어 사실주의에 기울어져갔다.
 +
*[[정지용]]
 +
시를 통해 상실감의 포착과 그 정서의 표현은 거의 독보적이었고, 감각의 예리성과 섬세함이 형상성을 이루어 [[사상파]](寫像派)의 효시가 되었다.
 +
*[[김기림]]
 +
시의 회화적·감각적 심상에 주력한 근대주의적 서정성을 드높인 시인이었다.
  
 
=의의와 평가=
 
=의의와 평가=
 
[[조연현]]은 ‘구인회’의 문학사적인 의의를 [[시문학파]](詩文學派)에서 유도된 [[순수문학]]의 흐름을 계승하고 발전시켜 1930년대 이후의 민족문학의 주류를 형성하는 데 이바지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의의로는 근대문학의 성격을 현대문학의 성격으로 전환시키고 발전시킨 점에서 그 문학사적 가치를 보유한다고 지적했다.
 
[[조연현]]은 ‘구인회’의 문학사적인 의의를 [[시문학파]](詩文學派)에서 유도된 [[순수문학]]의 흐름을 계승하고 발전시켜 1930년대 이후의 민족문학의 주류를 형성하는 데 이바지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의의로는 근대문학의 성격을 현대문학의 성격으로 전환시키고 발전시킨 점에서 그 문학사적 가치를 보유한다고 지적했다.
 +
 +
 +
=참고 문헌=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24954&cid=46645&categoryId=46645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
이효석 사진 [http://blog.daum.net/_blog/BlogTypeView.do?blogid=0QevT&articleno=96&categoryId=26&regdt=20091104211959]
 +
 +
이태준 사진 [http://somgle.tistory.com/182]
 +
 +
김기림 사진 [https://ko.wikipedia.org/wiki/김기림]
 +
 +
정지용 사진 [http://www.hani.co.kr/arti/culture/book/648750.html]
 +
 +
박태원 사진 [http://news.donga.com/Culture/more19/3/all/20100315/26856798/1]
 +
 +
이상 사진 [https://ko.wikipedia.org/wiki/이상_(작가)]
 +
 +
박팔양 사진 [http://www.cybernk.net/infoText/InfoHumanDetail.aspx?mc=EJ0701&hid=EH010200011775&rightType=3&direct=1]
 +
 +
김유정 사진 [https://ko.wikipedia.org/wiki/김유정_(소설가)]
 +
 +
김환태 사진 [http://blog.daum.net/_blog/BlogTypeView.do?blogid=04yto&articleno=15721643&categoryId=751089&regdt=20141129221508]
  
 
=작성자 및 기여자=
 
=작성자 및 기여자=
작성자 : 한승원
+
[[그레이색이야조]]의
 +
[[김예람]]
 +
 
 +
 
 +
[[분류:일제 강점기]]
 +
[[분류:구인회]]
 +
[[분류:이효석]]
 +
[[분류:문학문인단체]]
 +
[[분류:문학 동인회]]

2022년 6월 15일 (수) 19:20 기준 최신판



정의

순수문학을 표방하고 문단의 중견급 작가 9명에 의하여 1933년 8월에 설립된 문학동인회


활동

문학단체. 특별히 주장한 목표는 없으나, 경향주의 문학에 반하여 ‘순수예술추구’를 취지로 하여 약 3∼4년 동안 월 2∼3회의 모임과 서너 번의 문학강연회, 그리고 『시와 소설』이라는 기관지를 한 번 발행하였다. 이처럼 활동은 소극적이었으나, 당시 신인 및 중견작가로서 이들이 차지하는 문단에서의 역량 등으로 인해 ‘순수예술옹호’라는 문단의 분위기를 형성하기도 하였다.

인물

1933년 8월 이종명(李鍾鳴)·김유영(金幽影)의 발기로 이효석(李孝石)·이무영(李無影)·유치진(柳致眞)·이태준(李泰俊)·조용만(趙容萬)·김기림(金起林)·정지용(鄭芝溶) 총 9명 결성

발족한 지 얼마 안 되어 발기인인 이종명·김유영과 이효석이 탈퇴하고 그 대신 박태원(朴泰遠)·이상(李箱)·박팔양(朴八陽)이 가입

그리고 유치진·조용만 대신에 김유정(金裕貞)·김환태(金煥泰)가 보충되어 언제나 인원수는 9명이었다.

인물들의 특징

서정성이 높은 문장과 미의식에 있어서 거의 독보적인 경지를 펼쳐갔다. 
시골이나 도회의 주변적 인물이 지닌 애수 섞인 삶의 양상에 특출한 묘사력을 가지고 예술적 개성을 성취한 서정적 작가였다.
「사흘 굶은 봄달」·「옆집 색시」·「오월의 훈풍」 등을 발표하였고, 표현과 묘사의 기교에 관심을 기울인 작가로서 간결체 문장의 아름다움을 성공시킨 점을 들 수 있다. 뒤에는 「천변풍경(川邊風景)」과 같은 작품을 써서 풍속적 저변을 들추어내어 사실주의에 기울어져갔다.
시를 통해 상실감의 포착과 그 정서의 표현은 거의 독보적이었고, 감각의 예리성과 섬세함이 형상성을 이루어 사상파(寫像派)의 효시가 되었다. 
시의 회화적·감각적 심상에 주력한 근대주의적 서정성을 드높인 시인이었다.

의의와 평가

조연현은 ‘구인회’의 문학사적인 의의를 시문학파(詩文學派)에서 유도된 순수문학의 흐름을 계승하고 발전시켜 1930년대 이후의 민족문학의 주류를 형성하는 데 이바지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의의로는 근대문학의 성격을 현대문학의 성격으로 전환시키고 발전시킨 점에서 그 문학사적 가치를 보유한다고 지적했다.


참고 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이효석 사진 [1]

이태준 사진 [2]

김기림 사진 [3]

정지용 사진 [4]

박태원 사진 [5]

이상 사진 [6]

박팔양 사진 [7]

김유정 사진 [8]

김환태 사진 [9]

작성자 및 기여자

그레이색이야조김예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