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주 (2016)"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인물 설명)
(인물 설명)
75번째 줄: 75번째 줄:
 
파일: 총독부 고등형사.jpg|총독부 고등형사 (배우 김인우)
 
파일: 총독부 고등형사.jpg|총독부 고등형사 (배우 김인우)
 
파일: 강처중.jpg|강처중 (배우 문성근)
 
파일: 강처중.jpg|강처중 (배우 문성근)
파일: 정지용.jpg|(배우 박병은)
+
파일: 정지용.jpg|정지용 (배우 박병은)
 
</gallery>
 
</gallery>
  

2023년 6월 16일 (금) 16:11 판

동주(2016)


영화의 역사적 배경

소개

예고편

줄거리

이름도, 언어도, 꿈도, 모든 것이 허락되지 않았던 일제강점기. 한 집에서 태어나고 자란 동갑내기 사촌지간 동주와 몽규. 시인을 꿈꾸는 청년 동주에게 신념을 위해 거침없이 행동하는 청년 몽규는 가장 가까운 벗이면서도, 넘기 힘든 산처럼 느껴진다. 창씨개명을 강요하는 혼란스러운 나라를 떠나 일본 유학 길에 오른 두 사람. 일본으로 건너간 뒤 몽규는 더욱 독립 운동에 매진하게 되고, 절망적인 순간에도 시를 쓰며 시대의 비극을 아파하던 동주와의 갈등은 점점 깊어진다. 어둠의 시대, 평생을 함께 한 친구이자 영원한 라이벌이었던 윤동주와 송몽규의 끝나지 않은 이야기.

인물 설명

  • 주요 실존 인물

윤동주 (배우 강하늘)

  • 윤동주 (배우 강하늘)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대한민국 국민들에게 가장 사랑받는 시인, 윤동주. 청춘이 탄압받던 일제강점기, 그에게도 꿈, 우정, 사랑이 있었다. 수줍음을 많이 타는 조용한 성격의 정적인 인물이다. 의사가 되라는 아버지의 반대에 무릅쓰고 시를 계속해서 쓴다.


송몽규 (배우 박정민)

  • 송몽규 (배우 박정민)

니는 계속 시를 쓰라. 총은 내가 들꺼이까.
윤동주와 일생을 함께한 독립운동가, 송몽규. 윤동주에 비해서 활발하고 적극적이며, 불의에 맞서는 일이라면 망설이지 않고 나서는, 윤동주보다는 동적인 성격의 인물이다. 윤동주와 성격의 차이가 있다 보니 독립 운동에 대한 가치관 차이로 동주와 부딪힌다.


  • 그 외 영화 속 캐릭터

영화로 보는 역사

실제 역사와의 차이점

영화 선정 이유 및 영화의 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