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세의 희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말세(末世)의 희탄(欷歎)''' - 이상화
+
{|class="metadata" style="background:#f2f2f2; width:320px; margin: 5px 5px 5px 5px;" cellspacing="10" align="right"
+
|-
 +
! colspan="2" style="background:#3ca9a9; color:#ffffff; font-size:130%; text-align:center;" | '''말세의 희탄'''
 +
|-
 +
| style="width:80px; text-align:center;" |'''한자''' ||  末世의 欷歎
 +
|-
 +
| style="width:80px; text-align:center;" |'''유형''' || 작품
 +
|-
 +
| style="text-align:center;"|'''시대''' || 현대
 +
|-
 +
|- | style="text-align:center;"|'''성격''' || 서정시
 +
|-
 +
| style="text-align:center;"|'''작가''' || 이상화
 +
|- 
 +
|}
 +
 
 +
=='''정의'''==
 +
이상화가 처음 발표한 작품으로,‘말세'로 표현되는 세상에 대한 한탄과 절망, 인고의 내용을 담고 있다.
 +
 
 +
 
 +
=='''형식'''==
 +
2연 각 6행 총 12행의 서정시. 1922년 1월에 간행된 『[[백조]](白潮)』 창간호에 발표하였다.
 +
 
 +
 
 +
=='''원문'''==
  
 
저녁의 피 묻은 동굴(洞窟)속으로
 
저녁의 피 묻은 동굴(洞窟)속으로
27번째 줄: 50번째 줄:
  
  
 +
=='''해석'''==
 +
===전체적인 내용===
 +
1연은 “저녁의 피 묻은 동굴” 속으로 “거꾸러지”고, “파묻히”겠다는 내용이고, 2연은 “가을의 병든 미풍의 품”에 “술 취한 집”을 세우고, “속 아픈 웃음”을 빚겠다는 내용이다.
 +
 +
===1연===
 +
식민지 현실에서의 한탄과 절망적인 태도
 +
*1연에서 주목되는 것은 “피 묻은 동굴”과 “밑 없는 동굴”로 표현된 현실인식이다.
 +
*이 작품의 발표 시기와 제목의 의미를 고려하면, 여기에서 말하는 “피 묻은 동굴”은 온갖 상처와 고통으로 얼룩진 당시의 식민지 현실을 상징한다고 볼 수 있다.
 +
*식민지 현실은 언제 끝날지도 모르는 “밑 없는 동굴”인 것이다.
 +
*이런 절대적 상황 속에서 화자는 “거꾸러지”고, “파 묻히”겠다는 한탄과 절망적 태도를 취하고 있는 것이다.
 +
 +
===2연===
 +
현실을 감내하겠다는 인고의 태도
 +
*“가을의 병든 미풍의 품”에 “술 취한 집”을 세우겠다는 점에서 화자의 의지가 1연에서 보이던 절망적 태도와는 다르다고 볼 수 있다.
 +
*비록 “술 취한 집”이지만, 그것을 세우겠다는 것은 1연에서의 ‘하강’의 이미지와 달리, ‘상승’의 이미지인 것이다.
 +
*특히, 이 시의 마지막 행 “속 아픈 웃음을 빚”겠다는 표현에서 현실이 고통스럽지만, 그것을 감내하겠다는 강인한 인고(忍苦)의 태도로 파악된다.
  
===어문링크===
+
 
 +
=='''평가'''==
 +
===박종화===
 +
1922년『[[백조]]』 2호에서 [[박종화]]는 이 작품을 두고 “근래에 얻을 수 없는 강한 백열(白熱)된 쇠같이 뜨거운 오열(嗚咽)의 노래”였다고 언급했다.
 +
 
 +
===연구논문===
 +
한 연구 논문은 이 시가 “파멸의 절망을 미화하지 않고 파멸에의 의지를 직설적으로 확인”하고 있으며, “자기 실현이 불가능하자 오히려 동굴을 지향함으로써 현실 도피적인 주체 탐색을 시도”하는 작품이라고 평가했다.
 +
 
 +
 
 +
=='''출처'''==
 
[https://gongu.copyright.or.kr/gongu/wrt/wrt/view.do?wrtSn=9000986&menuNo=200019 공유마당]
 
[https://gongu.copyright.or.kr/gongu/wrt/wrt/view.do?wrtSn=9000986&menuNo=200019 공유마당]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20%E6%9C%AB%E4%B8%96%EC%9D%98%20%E6%AC%B7%E6%AD%8E&ridx=0&tot=1951 한국문화민족대백과사전]
 +
 +
=='''작성자 및 기여자'''==
 +
[[홍한나]]
 +
 +
 +
[[분류:말세의 희탄]]
 +
[[분류: 末世의 欷歎]]
 +
[[분류:이상화]]
 +
[[분류:백조]]
 +
[[분류:식민지]]
 +
[[분류:한탄]]
 +
[[분류:서정시]]
 +
[[분류:현대시]]
 +
[[분류:작품]]

2022년 6월 15일 (수) 15:26 기준 최신판

정의

이상화가 처음 발표한 작품으로,‘말세'로 표현되는 세상에 대한 한탄과 절망, 인고의 내용을 담고 있다.


형식

2연 각 6행 총 12행의 서정시. 1922년 1월에 간행된 『백조(白潮)』 창간호에 발표하였다.


원문

저녁의 피 묻은 동굴(洞窟)속으로

아- 밑 없는 그 동굴(洞窟) 속으로

끝도 모르고

끝도 모르고

나는 꺼꾸러지련다.

나는 파묻히련다.

가을의 병든 미풍(微風)의 품에다

아- 꿈꾸는 미풍(微風)의 품에다

낮도 모르고

밤도 모르고

나는 술 취한 집을 세우련다.

나는 속 아픈 웃음을 빚으련다.


해석

전체적인 내용

1연은 “저녁의 피 묻은 동굴” 속으로 “거꾸러지”고, “파묻히”겠다는 내용이고, 2연은 “가을의 병든 미풍의 품”에 “술 취한 집”을 세우고, “속 아픈 웃음”을 빚겠다는 내용이다.

1연

식민지 현실에서의 한탄과 절망적인 태도

  • 1연에서 주목되는 것은 “피 묻은 동굴”과 “밑 없는 동굴”로 표현된 현실인식이다.
  • 이 작품의 발표 시기와 제목의 의미를 고려하면, 여기에서 말하는 “피 묻은 동굴”은 온갖 상처와 고통으로 얼룩진 당시의 식민지 현실을 상징한다고 볼 수 있다.
  • 식민지 현실은 언제 끝날지도 모르는 “밑 없는 동굴”인 것이다.
  • 이런 절대적 상황 속에서 화자는 “거꾸러지”고, “파 묻히”겠다는 한탄과 절망적 태도를 취하고 있는 것이다.

2연

현실을 감내하겠다는 인고의 태도

  • “가을의 병든 미풍의 품”에 “술 취한 집”을 세우겠다는 점에서 화자의 의지가 1연에서 보이던 절망적 태도와는 다르다고 볼 수 있다.
  • 비록 “술 취한 집”이지만, 그것을 세우겠다는 것은 1연에서의 ‘하강’의 이미지와 달리, ‘상승’의 이미지인 것이다.
  • 특히, 이 시의 마지막 행 “속 아픈 웃음을 빚”겠다는 표현에서 현실이 고통스럽지만, 그것을 감내하겠다는 강인한 인고(忍苦)의 태도로 파악된다.


평가

박종화

1922년『백조』 2호에서 박종화는 이 작품을 두고 “근래에 얻을 수 없는 강한 백열(白熱)된 쇠같이 뜨거운 오열(嗚咽)의 노래”였다고 언급했다.

연구논문

한 연구 논문은 이 시가 “파멸의 절망을 미화하지 않고 파멸에의 의지를 직설적으로 확인”하고 있으며, “자기 실현이 불가능하자 오히려 동굴을 지향함으로써 현실 도피적인 주체 탐색을 시도”하는 작품이라고 평가했다.


출처

공유마당

한국문화민족대백과사전

작성자 및 기여자

홍한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