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정총국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전세진(2031135)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12월 7일 (월) 16:46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요

우정총국은 조선 말, 고종 21년(1884년)에 설치되어 우편(우체) 업무를 맡았던 관청이었다. 책임자 홍영식을 필두로 그 해 음력 10월 1일 우체 업무를 처음 개시하였다. 그러나, 같은 해 음력 10월 17일, 우정총국청사의 낙성 및 개설 축하연을 통하여 개화파들이 갑신정변을 일으켜 음력 10월 21일 폐지되었다. 폐지된 이후에도 우체 업무는 계속이어졌고, 그 업무가 완전히 마감된 것은 1884년 음력 11월 20일이었다.

위치

서울특별시 종로구 견지동 우정국로 59

지도를 불러오는 중...


역사

전의감

원래의 우정총국청사는 1600년대 전의감 건물로 지어졌다. [1] 전의감은 조선시대 의료 기관 중 하나로 조선 초기에 설치되었다. 궁중 내에서 사용하는 의약재에 관한 일을 맡던 관청으로, 특히 조신들의 진료를 전담했다. 왕실을 전담으로 맡은 내의원이 새로 설치된 이후에는 궁궐 밖으로 위치를 옮겨 우정총국청사 위치에 자리잡았다. [2] 전의감은 공식적으로 고종 31년인 1894년에 폐지되었다. 실제 우정총국과 조계사 앞 길에 전의감 터 표지석이 있다.

전의감 터 표지석

우정총국

우정총국은 근대 최초 우체 업무를 담당하던 관청으로 고종21년(1884년) 음력 3월 27일에 설치되었다. 당시 병조참판이었던 홍영식이 우정총국의 총판으로 임명되었고, 우정총국 직제를 반포하여 조직, 법령 등의 마련을 하였다. 같은 해 음력 10월 1일, 우리나라 최초의 우표인 5문과 10문이 발행되며 본격적인 우체 업무를 시작하였다. [3] 그러나 음력 10월 17일, 개화파들이 우정국 개설축하연을 통해 갑신정변을 일으켜 정치개혁을 실시하려 했다. 거사가 일어난 당일 저녁 7시 우정국개국축하만찬회가 우정총국청사에서 열렸다. 개화파의 홍영식, 김옥균, 박영효, 서재필, 이상재 등이 일으킨 갑신정변은 결국 실패로 돌아갔다. 그 후 4일 뒤인 음력 10월 21일, 우정총국은 약 20일 동안의 짧은 기간의 업무를 마치고 폐지되었다.

우리나라 최초의 우표(5문, 10문, 25문, 50문, 100문)

애국운동

우정총국 이후 청사의 이용
년도 이용
1897년 한성한어학교
1904년 보안회의 애국운동
1906년 오세창의 야간학교

갑신정변 이후 폐지된 우정총국으로 방치되어있던 청사에 한성한어학교가 들어섰다. 1897년 대한제국 정부가 개교한 한어학교는 중국어를 가르쳐 중국어 통역관을 양성할 목적으로 세워졌다. 1906년 공포된 외국어학교령에 의하여 한성외국어학교(漢城外國語學校)로 통합되어 교사를 교동으로 이전하였다. [4]

1904년에는 애국단체인 보안회가 우정총국청사에서 군중집회를 개최했다. 일제의 황무지 개간 요구를 막기 위해 펼친 애국운동이었다. “당시 보안회라는 우국단체가 있어 이 건물에서 우국 동지 회원들이 모여 시국 강연을 하며 맹렬히 배일(排日) 붐을 일으킴에 나는 어린 마음에도 곧잘 이 회를 찾아가서 창 너머로 귀를 기울이며 주먹을 불끈쥐던 일이 생각난다.” [5]

그 뒤 1906년에는 오세창이 우정총국청사에 야간학교를 개설했으며, 그 학교를 뒤이어 1909년 중동학교가 정규 주간학교로서 운영되었다. [6]

현대

그 후 일제강점기한국전쟁 등 많은 우여곡절을 겪으면서 1956년 우정사업본부의 전신이 된 체신부의 차관 최재호가 우정총국청사 부지를 매입하면서 옛 명성을 되찾았다. 1972년에는 박정희 전 대통령이 직접 우정총국 중수 기념비 현판을 작성하였고, 1987년에는 우체국과 전시관 등의 목적으로 다시 운영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원형을 보존해야 하는 사적(제213호)이라는 점 때문에 우체 업무는 다소 제한되어 기본적인 우편서비스만 가능하다. 10통 이내의 국내외 일반통상 우편물과 경조전보를 부칠 수 있고, 나만의 우표를 제작하거나 우체국 쇼핑상품을 신청할 수 있다. [7] 현재는 느린우체통 서비스도 함께 제공하고 있다.


특징

의의

갑신정변에 의해 실제 업무를 시작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폐지되었지만 그 자체로 최초의 근대식 우체기관이라는 의의를 가진다. 또한, 폐지 이후, 이는 1893년 전우총국, 1894년 공무아문역체국, 1895년 농상공부통신국, 1900년 통신원 등의 전신이 되어, 근대 우정국의 역사를 이어왔다.

관련 영상

  • 우정문화재 영상

참고문헌 및 출처

  1. [1]
  2. [2]
  3. [3]
  4. [4]
  5. ‘체신문화’ 1965년 8월호 게재된 농촌사업가 홍병선의 글 중
  6. [5]
  7.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