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동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김수린 (토론)의 11565판 편집을 되돌림)
1번째 줄: 1번째 줄:
 +
 
{|class="metadata" style="background:#f2f2f2; width:320px; margin: 5px 5px 5px 5px;" cellspacing="10" align="right"  
 
{|class="metadata" style="background:#f2f2f2; width:320px; margin: 5px 5px 5px 5px;" cellspacing="10" align="right"  
 
|-
 
|-
! colspan="2" style="background:#3ca9a9; color:#ffffff; font-size:130%; text-align:center;" | '''송몽규'''
+
! colspan="2" style="background:#3ca9a9; color:#ffffff; font-size:130%; text-align:center;" | '''윤동주'''
 
|-
 
|-
|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 [[파일:[[파일:송몽규.jpg]]]]
+
|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 [[파일:윤동주.jpg|200px|]]
 
|-  
 
|-  
| style="width:80px; text-align:center;" |'''이름''' || 송몽규
+
| style="width:80px; text-align:center;" |'''이름''' || 윤동주(尹東柱)
 
|-  
 
|-  
| style="text-align:center;"|'''출생''' || 1917년 9월 28일
+
| style="text-align:center;"|'''출생''' || 1917년 12월 30일
 
|-  
 
|-  
| style="text-align:center;"|'''사망''' || 1945년 3월 7일
+
| style="text-align:center;"|'''사망''' || 1945년 2월 16일 (27세)
 
|-  
 
|-  
| style="text-align:center;"|'''성격''' || 독립운동가
+
| style="text-align:center;"|'''직업''' || 시인, 독립운동가
 
|-   
 
|-   
 
|}
 
|}
17번째 줄: 18번째 줄:
  
 
==개요==
 
==개요==
'''송몽규'''는 일제 강점기에 활동했던 독립운동가이다.
+
'''윤동주'''(尹東柱)한국의 시인이자 독립운동가이다.
  
 
==생애==
 
==생애==
===일생===
+
===어린 시절===
*송몽규의 아버지는 북간도 명동학교 조선어 교사이던 송창희(宋昌羲, 1891~1971)이다. 송몽규의 할아버지 송시억(宋始億)은 5세 때 충청도에서 연해주로 가다가 함경북도 경흥군 웅기읍 우상동에 머물러 가문을 일으켰으며, 송창희는 서울에 유학을 다녀왔다. 송씨 문중은 북일학교(北一)라는 교육기관을 세웠는데, 송몽규의 삼촌 손창빈은 홍범도 부대에서 독립군으로 싸우다 1920년 전사, 송창근은 일본-미국으로 유학하여 1931년 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
*윤동주는 1917년 12월 30일 중국 길림성 화룡현 명동촌에서 태어났다. 아명은 해처럼 밝은 아이라는 뜻을 담은 해환(海煥)이었다.
 
 
*송몽규의 어머니는 윤동주의 할아버지 윤하현(尹夏鉉, 1875-1947)의 딸로서, 윤동주의 아버지인 윤영석(永錫, 1895-1962)의 큰 누이동생인 윤신영(信永,1897-?)으로 그녀는 윤동주의 고모가 된다. 송창희는 25세 때 명동에 왔는데, 체격과 인물이 뛰어나서 윤동주의 어머니가 큰 시누이의 신랑감으로 소개하였고, 윤동주의 할아버지 윤하현 장로가 자기 큰 딸과 선을 보게 하여 결혼시켰다고 한다. 송창희는 윤 장로의 집에서 처가살이를 하며 명동학교에 교사로 부임하여, 조선어와 양잠을 가르쳤다.
 
 
 
*송몽규는 1917년 파평 윤씨 가문에서 친정집에 와 있던 윤하현 장로의 큰딸 신영에게 9월 28일 태어났다. 이후 12월 30일 이 집안의 외아들 영식의 가족에서 아들이 태어나서, 3달을 차이 두고 윤동주와 함께 태어나, 5살이 될때까지 한 집에서 자랐다. 윤창식이 따로 집을 구하고 처가살이를 했기 때문이다. 송몽규의 동생으로는 여동생 한복(1923년생), 남동생 우규(1931년생)가 있다.
 
 
 
*1925년, 8살 나이로 같은 마을의 또래였던 윤동주, 문익환, 김정우 등과 함께 명동소학교에 입학, 교장이자 외숙부 김약연 선생에게 사사 받았으며, 문학에 뜻을 두게 되었다. 어린 시절부터 활발하고 리더쉽이 강한 인물로, 학생들을 모아서 연극 등을 공연하는데 주도했고, 5학년 때는 윤동주와 함께 《새 명동》이라는 등사판으로 찍은 문예지를 내기도 했다. 이 때, 윤동주와 함께 서울에서 수입해온 아동지 《어린이》,《아이생활》을 구독하여 읽고 친구들에게 나눠주기도 했다. 내성적이고 부끄러움을 많이 타는 윤동주와는 정 반대의 성격을 지녔던 것이다.
 
 
 
*김신묵 할머니의 증언에 따르면, 명동소학교가 '교회학교'에서 '인민학교'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송몽규가 큰 일을 했다고 한다. 김신묵 장로는 문익환 목사의 어머니이다.
 
 
 
*1929년 봄, 아버지 송창희 선생은 교회학교를 인민학교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송몽규 역시 고작 12살 나이에 송창희 선생의 주장에 따라서 연설을 하고 다녔다고 한다. 워낙 다부진 성격이라 어린 나이였지만, 어른들 앞에서 당당하게 연설을 하곤 했다고 한다.
 
 
 
*1931년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하였으며, 윤동주와 함께 화룡현립 제1소학교 6학년에 편입하여 1년 동안 한족학교에 다니기도 했다. 20여리의 등교길을 매일 함께 다녔다고 한다. 룡정으로 이사하면서 1932년 4월에 은진(恩眞) 중학교에 입학하였고, 송몽규는 윤동주의 집에서 함께 살게 된다.
 
 
 
*1934년 12월, 중학교 3학년으로 18세 나이로 꽁트 《숟가락》을 써서 서울의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등단한다. 아명인 송한범으로 실렸다. 윤동주보다 이른 나이였으며 윤동주에게 큰 자극을 주었다고 한다.
 
 
 
*1934년부터 문해(文海)라는 호를 썼다. 글(文)의 바다(海)라는 뜻으로 송몽규가 문학에 품고 있었던 큰 뜻을 짐작할 수 있다. 송몽규는 문해장서(文海藏書)라고 크게 새긴 사각도장을 마련하여, 자신의 책을 정리하고 분류하였는데, 윤동주의 유품 가운데 이 도장이 찍힌 게 몇 권 있다고 한다.
 
 
 
*은진중학교(恩眞中學校)에서 한학을 가르치던 민족주의자인 명희조 선생은 송몽규는 이때 당시부터 민족의식을 강하게 가졌다고 한다.
 
 
 
*돌연 송몽규는 은진중학교를 중퇴하고, 가출하여 자취를 감췄다. 그리고 남경으로 떠나 중앙군관학교 낙양분교(낙양군관학교) 한인반에 입학하였다. 한인반으로서는 2기생.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김구가 윤봉길 의사의 의거를 계기로 하여 장개석에게 지원을 받아서 운영할 수 있게 되었던 학교로서, 100여명의 조선인 학생이 군사 교육을 받는 곳이었다. 당시 일본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장개석은 이를 극비에 부쳤기 때문에 송몽규는 '왕위지'라는 중국식 가명으로 교육을 받았다.
 
 
 
*은진중학교에서 한학을 가르치던 명희조(明羲朝) 선생[3]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서, 1914년 평안남도 개천에서 출생한 라사행(羅士行) 같은 시기에 송몽규와 함께 은진중학교 선배를 통해서 점조직으로 연결하여 임시정부를 찾아갔다고 한다. 이 때 잡지를 만들었는데 김구가 《신민(新民)》이라고 지어줬다고 한다.
 
 
 
*1년간 교육을 받다가 중국의 재정지원 중단으로 반이 해체되자 학교를 떠났다. 1935년 11월에는 중국의 제남지구(濟南地區)에서 활동하던 독립운동가 이웅의 일파에 투신하여 활동하였는데, 1936년 3월, 산동성 성도 제남(濟南)에서 일본 영사관 경찰부에 체포되었다. 이 이래로 일본 경찰의 블랙 리스트에 오르게 된다.
 
 
 
*송몽규는 강제귀국 조치를 당하고, 1936년 6월에 소위 치안유지법 위반, 살인 등의 혐의로 본적지 함경북도 웅기경찰서(雄基警察署)에 구금되었으며, 고문과 취조를 받다가 8월 말 무렵 석방되었다. 이 떄부터 경찰의 요시찰인물이 된다.
 
 
 
*이후 송몽규가 일본에서 체포되어 재판을 받을 때, 『특고월보』에서는 송몽규가 1936년 3월에 아버지와 큰아버지의 권유로 자수하였다고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이 주장에는 오류가 있다.
 
 
 
*1936년 특고경찰이 작성한 '선인군관학교사건 관계자 검거 일람표'에 따르면 송몽규가 체포된 시간과 장소는 '1936년 4월 10일, 제남'으로서, 북간도 대랍자에서 일본 경찰에 자수했다고 기록된 '1936년 3월'과는 다르다.
 
 
 
*『사상월보』에 실린 판결문에는 송몽규가 1936년 4월 부터 본적지 옹기경찰서에 유치되어 취조를 받았다고 적시되어 있다. 이는 선인군관학교사건 관계자 검거 일람표에 명시된 체포 시기, 정황과 일치한다.
 
 
 
*송옹규는 송몽규가 일본 경찰에 잡혀서 본적지로 압송되는 현장을 우연하게 목격하였다. 이 역시 자수설이 사실이 아님을 알 수 있게 한다. 만일 송몽규가 집안 어른들 권유에 따라서 자수를 해서 압송되었다면 본가에서 연락이 가서 압송 때부터 뒷바라지를 시작했을 것인데, 정작 옹기 본가 사람들은 송몽규의 압송 현장을 우연히 보고서야 체포되었다는걸 알게 되었고, 무슨 사건으로 체포된 건지 전혀 몰라서 집안 어른들이 알아보려고 애썼다고 한다.
 
 
 
*1937년 4월, 용정대성중학에 입학하여 학업을 재개했다고도 하고, 다시 만주로 건너가서 간도에 있던 국민고등학교(國民高等學校)를 졸업했다고도 한다. 조선족 신문에서는 전자, 국가보훈처 국립유공자 보훈록에서는 후자로 쓰고 있다. 본인은 은진중학교로 돌아갈 생각이었으나 요시찰인 딱지가 붙어서 어쩔 수 없이 다른 학교에 갈 수 밖에 없었다고 한다.
 
 
 
*1938년 4월에 서울로 가서 연희전문학교에 윤동주와 나란히 합격하였다. 경제적으로 유망한 학교에 가길 바라는 가족들의 기대와는 달리 연희전문 문과에 갔다. 하지만 당시 연희전문은 들어가기 어려운 학교였기 때문에 사촌 간이 나란히 합격했다는 것은 크나큰 경사였다.
 
 
 
*연희전문학교에 입학한 1938년의 8월에 송몽규는 시 《밤》을 적어서 조선일보에 발표하였다. 또한 연희전문에서는 1932년에 창간된 문과학생회 문학동아리들의 잡지 《문우(文友)》를 이어받아 문예부장으로서 활동했다. 문우의 마지막 호인 1941년 판에서 필명 '꿈별'로 '《하늘과 더불어》'[4]를 발표했다. 윤동주는 이 때 「새로운 길」、 「우물속의 自像畵(자상화)」를 문우에서 함께 발표하였다.
 
 
 
*송몽규는 자신들이 참가하게 된 문우 마지막 호에서 안타까운 심경이 가득한 후기를 남겼다.
 
 
 
*대학에서 송몽규는 일제의 민족동화정책이 한국어를 폐지하고 일본어를 쓰게 하여 고유의 문화와 민족 정신을 말살하는데 있다고 보았고, 민족문화를 지키고 향상시키는데 노력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1939년 2월 부터 동급생 윤동주, 백인준(白仁俊), 강처중(姜處重) 등과 함께 기숙사에서 모임을 가지고 동인잡지 간행, 문학작품 품평회를 열어 민족의식을 고양하는 활동을 벌였다.
 
 
 
*1941년 12월 27일 연희전문학교를 2등으로 졸업하였고, 1942년 봄에 윤동주와 일본 유학을 떠나게 된다. 유학을 떠나면서 도항증명서를 얻기 위해서 어쩔 수 없이 창씨개명을 하게 된다. 윤동주는 후에 이 때의 감정을 <참회록>이라는 시로 드러내었다.
 
교토제국대학 사학과 서양사학 전공에 합격했으며, 윤동주는 릿쿄대학에 들어갔다가 1942년 도시샤대학에 입학하여 송몽규와 재회했다.
 
 
 
*1942년 10월 부터 1943년 7월까지, 도시샤대학의 윤동주와 제3고등학교 학생 고희욱(高熙旭) 등과 함께 교토 시내에서 자주 모임을 가졌고, 일본의 패망을 예견하고 기회를 노려 민족의 독립을 기획하는 한편, 민족정신을 부흥시킬 수 있는 학문적 연구를 하는 활동을 했다.
 
 
 
===체포와 사망===
 
 
 
*1943년 7월 10일, "재경도(在京都) 조선인학생 민족주의그룹사건"으로 일본 경찰에 체포되었다. 윤동주는 7월 14일 체포되었다. 특별고등경찰에 체포되어, 시모가모 경찰서의 유치장에 감금되었다.
 
 
 
*1944년 봄에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재판을 받았으며, 1944년 4월 13일에 윤동주와 함께 징역 2년 형을 받았다. 판결문에 따르면 송몽규는 일본의 민족말살정책을 비판하였으며, 일본이 머지 않아 패전할 것이므로 그 시기에 맞춰서 대세를 몰아 조선 독립을 이끌어야 한다는 주장을 펼쳤다고 한다.
 
 
 
*형이 확정되어 후쿠오카 형무소로 이송되었다. 윤동주와 함께 옥고를 치르다가 1945년 2월 16일 윤동주는 절명했으며, 3월 7일 송몽규 역시 사망하여 순국했다. 윤동주와 송몽규의 옥사에는 생체실험 의혹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6]
 
 
 
*송몽규의 시신은 명동 장재촌 뒷산에 묻혔고, 윤동주의 비문을 지었던 윤동주 아버지의 친구 김석관이 《청년문사 송몽규 지묘》이라는 비문을 썼다.
 
 
 
==사후==
 
  
*송몽규와 인척지간으로 송몽규의 조카가 되는 송우혜는, 《윤동주 평전》을 집필하면서 송몽규의 일생도 함께 정리하였다. 그동안 무덤의 위치가 잘못 알려져 있어 찾을 수 없었는데, 윤동주 평전을 집필하면서 수록된 증언 덕분에 올바른 묘지를 찾을 수 있게 되었다.
+
*1925년 명동소학교에 입학했고, 1927년 명동소학교 5학년 때에 급우들과 함께 『새 명동』이라는 등사 잡지를 만들었다.  
  
*1990년 4월에 송몽규의 묘는 윤동주가 묻혀 있는 용정으로 이전하여 윤동주의 묘에서 10m 정도 떨어진 곳에 묻히게 되었다.
+
*1936년 일제의 신사참배 강요에 대한 항의 표시로 숭실중학교를 자퇴하고 용정 광명학교 중학부 4학년에 편입하였다.  
  
*사후 1995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받았다.
+
===청년기===
  
==송몽규 전집==
+
*1938년에는 법대, 의대를 원하는 부친과의 대립 끝에 연희전문학교 문과에 입학했고 [[송몽규]], 강처중과 함께 연희전문 기숙사 생활을 시작했다.
  
*'''술가락'''
+
*1940년 연희전문학교 문과에 입학한 정병욱과 교류하게 되었고, 또 1년 후인 1941년 정병욱과 함께 종로구 누상동 소설가 김송의 집에서 하숙을 시작했다. 그리고 연희전문학교 졸업 기념으로 19편의 시를 묶어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詩)>라는 제목으로 시집을 내려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했다.
  
*'''하늘과 더불어'''
+
*1942년, 윤동주는 부친의 권유로 일본 유학을 결심하고 ‘히라누마’로 창씨개명하고 고국에서의 마지막 작품 <참회록>을 남기고 4월 릿쿄대학 문학부 영문과에 입학했다. 여름방학에 마지막으로 고향에 다녀간 윤동주는 동생들에게 "우리말 인쇄물이 앞으로 사라질 것이니 무엇이나 악보까지라도 사서 모으라"고 당부했다. 그리고 같은 해 10월 교토 도시샤대학 영문학과에 전입학했다.
  
*'''밤'''
+
*1943년 여름방학 중인 7월 10일 사촌 [[송몽규]]가 교토 시모가모경찰서에 독립운동 혐의로 검거되었고 나흘 후 귀향길에 오르려 차표를 사놓고 짐까지 부쳐놓은 윤동주 역시 같은 혐의로 검거된다.
  
==송몽규 관련 전집==
+
*1944년 윤동주와 [[송몽규]]는 교토지방재판소에서 치안유지법 제 5조 위반(독립운동)죄로 징역 2년을 언도 받고 후쿠오카형무소로 이송되었다.
  
*윤동주의 「이런 날」(1936. 6. 10)에서 언급되는 '형'은 송몽규를 뜻하는 것이라고 해석이 있다.
+
*1945년 2월 16일 오전 3시 36분, 후쿠오카형무소에서 옥사한다. 이후 윤동주의 유해는 북간도 용정 동산의 중앙교회 묘지에 안장되었다.
  
 +
===사망 이후===
  
 +
*광복 후인 1948년, 정음사에서 유고 31편을 모아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詩)>라는 제목으로 시집을 출간했다.
  
''사이 좋은正門의 두돌긔둥끝에서
+
*1968년 연세대학교에 시비가 세워졌다.
''五色旗와 太陽旗가 춤을추는날,
 
''금(線)을 은地域의 아이들이즐거워하다,
 
  
''아이들에게 하로의乾燥한學課로
+
*1985년부터 한국문인협회가 그의 시정신을 계승하기 위해 「윤동주 문학상」을 제정하여 매년 시상하고 있다. 연세대학교와 연변작가협회의 기관지인 「연변문학」에서도 동명의 문학상을 운영하고 있다.
''해ㅅ말간 倦怠가 깃들고
 
‘矛盾’ 두자를 理解치 하도록
 
''머리가 單純하였구나,
 
  
''이런 날에는
+
*2012년 종로구에 윤동주의 문학작품과 자료를 전시하는 [[윤동주 문학관]]이 개관하였다.
''잃어버린 頑固하던 兄을,
 
''부르고 싶다. -1936년 6월 10일
 
  
''― 윤동주 이런 날
+
*2016년 윤동주와 그의 사촌 [[송몽규]]의 삶을 그린 <[[동주(영화)]]>가 개봉하였다.
  
 +
==작품==
  
 +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詩)'''
  
*윤동주를 주제로 한 59편의 시들을 엮어서 <윤동주의 빛>이라는 시집을 낸 이탄 시인이 직접 해당 시집 내에 <송몽규>라는 시를 적어놓았다.
+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詩)>는 윤동주의 사후에 정음사에서 출판된 유고시집이다. 1941년에 19편이 완성되어 윤동주가 시집으로 퍼내려던 것을 일제의 검열을 우려하여 이루지 못하고 사망 후인 1948년 정음사(正音社)에서 유작 30편을 모아 동일한 이름으로 간행하였고,. 처음 19편의 시(자화상, 새로운 길, 슬픈 족속, 소년, 병원, 무서운 시간, 눈 오는 지도, 태초의 아침, 또 태초의 아침, 새벽이 올 때까지, 십자가, 눈 감고 간다, 돌아와 보는 밤, 간판 없는 거리, 바람이 불어, 또 다른 고향, 길, 별 헤는 밤, 서시)는 모두 연희전문학교 시절에 씌여졌다.
  
 +
*'''대표작 <서시(序詩)>'''
  
''송몽규
+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르러''
  
''이 탄
+
''한점 부끄럼이 없기를''、
  
 +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항상 윤동주의 뒤에는 송몽규가 있었다
+
''나는 괴로워했다。''
''윤동주의 앞에는 송몽규가 있었다
 
''송몽규는 윤동주의 그림자가 되어 있었다
 
''무슨 일을 하든 윤동주의 조용한 얼굴에는 송몽규가 있었다
 
''송몽규는 독립군에 들어가 있을 때도 그의 그림자는 남겨놓고 떠났다
 
''학교는 그럭저럭 윤동주와 맞먹었어도 생각하는 것, 그것을 옮기는 것은 송몽규였다
 
''실천자, 그는 혼자 돌아다니는 윤동주를 나무라지 않았다
 
''윤동주가 시를 쓰는 일이
 
''얼마나 보람된 일인가를 설명하지 않아도 알고 있었다
 
''고종사촌의 아들 송몽규도
 
''일본에 와 있었다
 
  
''송몽규의 그림자는 넓고 넓었다
+
''별을 노래하는 마음으로''
''그는 그 안에서
 
''쓰러진 벼농사를 일으켜 세우고
 
''물을 대주는 일도 해야 했다
 
''신작로에 말없이 백힌
 
''돌 하나
 
''그 돌 하나만이라도
 
''뽑아서 뾰족하게 만들어야 했다
 
  
''아세아에서 누가 일본의 힘을 누를 것인가
+
''모든 죽어가는것을 사랑해야지''
''아세아에서 누가 일본에게 덤벼들 것인가
 
''벌은 날아다니는 곤충
 
''개미는 애써 먹을 양식을 마련하는 곤충
 
''이 두 곤충의 삶을 비교하여
 
''벌은 벌대로
 
''개미는 개미대로
 
''살아야 할 것을 요구했다
 
''이 요구, 만해의 부릅뜬 언어, 조선독립의 이유서
 
''벌은 일본이고 개미는 조선일지라도
 
''각기 살아가야 한다
 
''벌이 어떻게 개미를 도울 수 있단 말인가
 
''송몽규의 생각도 이러했으리라
 
''벌은 하루 종일 꿀을 모아야 하지만
 
''저 허리가 잘록한 개미, 기어다니는 개미는 개미대로 즐거워야 한다
 
''송몽규의 온몸은 이런 생각으로 차 있었다
 
''이런 투로 그의 그림자는 그림자로 가득했다
 
''윤동주의 뒤
 
''윤동주의 앞
 
''항상 그림자 안에서 지냈다
 
  
 +
''그리고 나안테 주어진 길을''
  
''윤동주는 그림자만 보아도 뜻을 알았다
+
''거러가야겠다。''
''그 뜻에 다치거나
 
''그 뜻에 흠집이 생기거나
 
''그 뜻에 동티가 나는 일을
 
''하지 않았다 그림자에 더 첨가할 수는 없어도
 
''최소한 그림자를 잘 보관시키도록 해야 했다
 
  
''마당에 서 있는 사철나무
 
''껌껌해도 볼 수 있는 사철나무
 
''항상 빛을 잃지 않은 사철나무의 뜻을 새삼
 
''나무만큼 알았다
 
  
''저 하늘에는
+
''오늘밤에도 별이 바람에 스치운다。''
''여전히 별이 떠 있다
 
''사철나무나 저 별들은 변하지 않는 두 사람의 우정
 
''하나가 동적이면
 
''하나는 정적이다
 
''윤동주는 조용한 성품이지만
 
''마음속 깊은 곳은
 
''두 사람이 같았다
 
''하나는 그림자, 하나는 그림자에 싸인 사람
 
  
 
==관련항목==
 
==관련항목==
201번째 줄: 86번째 줄:
 
!style="width:25%"|항목A!!style="width:25%"|항목B!!style="width:25%"|항목C!!style="width:25%"|항목D
 
!style="width:25%"|항목A!!style="width:25%"|항목B!!style="width:25%"|항목C!!style="width:25%"|항목D
 
|-
 
|-
| [[윤동주]] || [[윤동주 문학관]] ||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 [[동주(영화)]]
+
|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 [[윤동주 문학관]] || [[송몽규]] || [[동주(영화)]]
 
|-
 
|-
 
|}
 
|}
  
 
==출처==
 
==출처==
[[윤동주 문학관]] 전시물, [[윤동주 문학관]] 책자
+
[[윤동주 문학관]] 전시물, [[윤동주 문학관]] 책자,  [http://yoondongju.yonsei.ac.kr 윤동주기념사업회]
  
 
==작성자 및 기여자==
 
==작성자 및 기여자==
  
[[김수린]]
+
[[조현진]]
  
[[분류:인물]] [[분류:김수린]] [[분류:디지털휴머니티의 이해]]
+
[[분류:인물]] [[분류:조현진]] [[분류:디지털휴머니티의 이해]]

2018년 6월 14일 (목) 05:26 판


개요

윤동주(尹東柱)는 한국의 시인이자 독립운동가이다.

생애

어린 시절

  • 윤동주는 1917년 12월 30일 중국 길림성 화룡현 명동촌에서 태어났다. 아명은 해처럼 밝은 아이라는 뜻을 담은 해환(海煥)이었다.
  • 1925년 명동소학교에 입학했고, 1927년 명동소학교 5학년 때에 급우들과 함께 『새 명동』이라는 등사 잡지를 만들었다.
  • 1936년 일제의 신사참배 강요에 대한 항의 표시로 숭실중학교를 자퇴하고 용정 광명학교 중학부 4학년에 편입하였다.

청년기

  • 1938년에는 법대, 의대를 원하는 부친과의 대립 끝에 연희전문학교 문과에 입학했고 송몽규, 강처중과 함께 연희전문 기숙사 생활을 시작했다.
  • 1940년 연희전문학교 문과에 입학한 정병욱과 교류하게 되었고, 또 1년 후인 1941년 정병욱과 함께 종로구 누상동 소설가 김송의 집에서 하숙을 시작했다. 그리고 연희전문학교 졸업 기념으로 19편의 시를 묶어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詩)>라는 제목으로 시집을 내려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했다.
  • 1942년, 윤동주는 부친의 권유로 일본 유학을 결심하고 ‘히라누마’로 창씨개명하고 고국에서의 마지막 작품 <참회록>을 남기고 4월 릿쿄대학 문학부 영문과에 입학했다. 여름방학에 마지막으로 고향에 다녀간 윤동주는 동생들에게 "우리말 인쇄물이 앞으로 사라질 것이니 무엇이나 악보까지라도 사서 모으라"고 당부했다. 그리고 같은 해 10월 교토 도시샤대학 영문학과에 전입학했다.
  • 1943년 여름방학 중인 7월 10일 사촌 송몽규가 교토 시모가모경찰서에 독립운동 혐의로 검거되었고 나흘 후 귀향길에 오르려 차표를 사놓고 짐까지 부쳐놓은 윤동주 역시 같은 혐의로 검거된다.
  • 1944년 윤동주와 송몽규는 교토지방재판소에서 치안유지법 제 5조 위반(독립운동)죄로 징역 2년을 언도 받고 후쿠오카형무소로 이송되었다.
  • 1945년 2월 16일 오전 3시 36분, 후쿠오카형무소에서 옥사한다. 이후 윤동주의 유해는 북간도 용정 동산의 중앙교회 묘지에 안장되었다.

사망 이후

  • 1968년 연세대학교에 시비가 세워졌다.
  • 1985년부터 한국문인협회가 그의 시정신을 계승하기 위해 「윤동주 문학상」을 제정하여 매년 시상하고 있다. 연세대학교와 연변작가협회의 기관지인 「연변문학」에서도 동명의 문학상을 운영하고 있다.
  • 2012년 종로구에 윤동주의 문학작품과 자료를 전시하는 윤동주 문학관이 개관하였다.

작품

  •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詩)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詩)>는 윤동주의 사후에 정음사에서 출판된 유고시집이다. 1941년에 19편이 완성되어 윤동주가 시집으로 퍼내려던 것을 일제의 검열을 우려하여 이루지 못하고 사망 후인 1948년 정음사(正音社)에서 유작 30편을 모아 동일한 이름으로 간행하였고,. 처음 19편의 시(자화상, 새로운 길, 슬픈 족속, 소년, 병원, 무서운 시간, 눈 오는 지도, 태초의 아침, 또 태초의 아침, 새벽이 올 때까지, 십자가, 눈 감고 간다, 돌아와 보는 밤, 간판 없는 거리, 바람이 불어, 또 다른 고향, 길, 별 헤는 밤, 서시)는 모두 연희전문학교 시절에 씌여졌다.

  • 대표작 <서시(序詩)>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르러

한점 부끄럼이 없기를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나는 괴로워했다。

별을 노래하는 마음으로

모든 죽어가는것을 사랑해야지

그리고 나안테 주어진 길을

거러가야겠다。


오늘밤에도 별이 바람에 스치운다。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항목C 항목D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윤동주 문학관 송몽규 동주(영화)

출처

윤동주 문학관 전시물, 윤동주 문학관 책자, 윤동주기념사업회

작성자 및 기여자

조현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