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만식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홍서영 (토론 | 기여)님의 2019년 6월 4일 (화) 10:27 판 (관련항목)
이동: 둘러보기, 검색


채만식(1902~1950)

생애

채만식 생애.PNG

작품 및 저서

금의 정열
레디메이드 인생
미스터방
민족의 죄인
세길로
아름다운 새벽
제향날
탁류
태평천하
패배자의 무덤
치숙

문학사적 의의

채만식 문학은 부정적 현실에 대한 비판과 진보에의 추구, 민족주의적 성격, 패배주의적 사고와 허무주의 등 다양한 측면에서 그 문학적 의의가 있습니다. 김치수는 ‘탁류’와 ‘태편천하’를 작가의 역사의식과 결부시켜서 분석하며 식민지 시대의 뿌리 뽑힌 계층과 전통지주 계층의 삶을 리얼리즘적으로 잘 보여줬다고 말합니다. 또한 채만식은 식민지 현실을 세대론적 입장에서 비판한 염상섭과는 다르게 그것을 수평적 인식을 통해 조망했다는 점도 문학사적 의의가 있습니다. 채만식을 ‘역사의식’ 중심으로 살펴보았을 때 장양수는 채만식의 풍자소설이 공격의 대상이 다양하였다는 점과 그 비판과 공격의 대상이 현실에 머물지 않고 시공간을 초월하고 있으며, 다른 역사소설에서 등장하는 히어로형 인물이 없다는 것을 특징으로 들었습니다. 박영애는 채만식의 역사소설이 민중이 겪어야 했던 고난을 단편적이고 공시적인 시각이 아닌 역사 전체를 바라보는 거시적이고 통시적인 시각으로 통찰하였다고 평가합니다.

채만식은 1930년대 지식인들의 고뇌와 방황, 자학의 모습 등을 통해 일제식민지시대의 사회현실을 보여주고 있으며 등장 주인공 대부분이 뚜렷한 목적의식이나 사명감에서가 아니라 시대의 요청과 조류에 따라 맹목적인 향학열로 교육을 받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또한 채만식의 다른 관심대상은 지주들을 주인공으로 등장시켜 그들의 비논리적이고 아세적인 의식의 세계를 드러내어 당대 사회현실의 한 단면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의식을 가지고 쓰여진 작품이 『이런 처지』, 『태평천하』, 『산동이』, 『사호일단』 등이라 할 수 있다. 이들 작품 속에 나타난 공통적인 특징은 주인공들 모두가 부와 개인의 영달을 위해서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은 이기적인 사람들이란 점이다. 『농민의 회계보고』, 『부촌』, 『병이 낫거든』, 『동화』 등은 일제식민지 수탈정책의 잔인함을 비판, 폭로하였다.

채만식은 일제 식민지 시기의 자본주의의 여러 문제점을 사실적이고 세밀하게 그려낸 작가로 이름이 높다. 1937년 <조선일보>에 연재된 장편소설 『탁류』는 『태평천하』와 함께 채만식의 대표적인 작품이다. 『탁류』 는 해방 후 1949년 민중서관에서 상하 두 책으로 발행된 책으로 판수를 헤아리면 3판에 해당한다. 우리 근대소설에서 몇몇 작가를 제외하면 초판 이상을 발행하는 것이 극히 드물었는데, 『탁류』는 세 번이나 다시 찍었다는 점에서, 작품성과 대중성을 모두 갖춘 매우 ‘이례적’인 작품이라 할 수 있다.

채만식도 다른 친일파 문학가처럼 강연과 친일적 소설과 시로 친일 행위를 하였다. 하지만 별로 튀는 행동은 없었으며 결정적으로 채만식은 광복 이후에 〈민족의 죄인〉이라는 중편 소설을 발표하여, 자신의 친일 행적을 반성하였다. 물론 그렇다고 하여 친일 행위를 한 것이 정당화될 수 없지만, 채만식은 적어도 다른 사람들보단 양심이 있다는 평을 받는다.


기타

채만식

채만식 문학관
채만식 문학비
채만식 문학상

웹드라마

낮선 하루
1929년의 청년 채만식이 2013년으로 시간여행을 하는 내용의 로맨스 웹드라마

연극

탁류
채만식 탄생 115주년을 기념한 서해대학교 방송연예과 제2회 졸업공연 및 제25회 젊은연극제 참가작 소설 탁류를 기반으로 스토리를 각색함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채만식 금의 정열 A는 B를 집필했다
채만식 세길로 A는 B를 집필했다
채만식 아름다운 새벽 A는 B를 집필했다
채만식 [[]] A는 B를 ~하다(P)
채만식 [[]] A는 B를 ~하다(P)
채만식 [[]] A는 B를 ~하다(P)
채만식 [[]] A는 B를 ~하다(P)
채만식 [[]] A는 B를 ~하다(P)
채만식 [[]] A는 B를 ~하다(P)
채만식 [[]] A는 B를 ~하다(P)
채만식 [[]] A는 B를 ~하다(P)
채만식 [[]] A는 B를 ~하다(P)

참고문헌

작성자 및 기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