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성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13번째 줄: 13번째 줄:
 
|}
 
|}
 
</onlyinclude>
 
</onlyinclude>
==개요==
+
=='''개요'''==
 +
국보 제31호. 높이 약 9.5m. [[첨성대]]가 위치한 곳은 옛날에는 [[경주]]부 남쪽 월남리라고 하였고, 계림의 북방 약 150∼200m, 내물왕릉 동북방 약 300m 되는 곳이다. 이 근방을 속칭 [[비두골]]이라고도 한다.동양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천문대]]. 1962년 12월 20일 국보 제31호로 지정되었다. [[경상북도]] [[경주]]시 [[인왕동]]에 소재하며 높이 9.17m, 밑지름 4.93m, 윗지름 2.85m이다. 밑에서부터 4.16m 되는 곳의 남쪽 허리에 한 변이 1m인 정사각형 문이 달려 있다. 모양은 원통형으로 남쪽 문에 사다리를 걸었던 자리가 있다. 30cm 높이의 돌 362개로 27단을 쌓아 만들었다.
 +
 
 +
내부는 제12단까지 흙이 차 있고, 제19단에서 제20단까지와 제25단에서 제26단까지의 두 곳에 정(井)자형 장대석이 걸쳐 있는데 그 양끝이 밖으로 나가 있다. 제27단 내부의 반원에는 판석이 있고, 맞은편에는 판목을 놓았던 곳으로 보이는 자리가 있다. 판석은 길이 156cm, 너비 60cm, 두께 24cm이다. 꼭대기에는 정자석(井字石)이 2단으로 짜여 있는데, 그 위에 관측기구를 놓았던 것으로 보인다. [[혼천의]]와 같은 관측기구를 정상에 설치하고 [[춘분]]·[[추분]]·[[동지]]·[[하지]] 등의 24절기를 별을 통하여 측정하였고, 정자석을 동서남북의 방위를 가리키는 기준으로 삼았던 것으로 보인다. 한편, [[첨성대]]가 제단이었다는 학설도 있다. 《삼국유사》에 신라 선덕여왕(재위 632~647) 때 건립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
 
 +
=='''[[첨성대]] 관련 역사'''==
 +
 
 +
 
 +
[[첨성대]]는 [[삼국유사]] 기이(紀異) 권2의 별기(別記)에 “이 왕대(王代)에 돌을 다듬어서 [[첨성대]]를 쌓았다.”라고 기록되어 있어 [[신라]] [선덕여왕] 때(재위 632∼647)에 축조되었음을 알 수 있다.
 +
이처럼 우리 나라 [[천문대]]의 역사는 [[삼국시대]]부터 시작된다. [[백제]]에 [[점성대]](占星臺)라는 [[천문대]]가 있었는데, 이 영향으로 [[경주]]에 [[첨성대]]가 세워졌을 것으로 추측된다. [[신라]]의 [[첨성대]]는 고대 [[천문대]]로서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 된 것 중의 하나이다. 첨성대의 첨(瞻)은 ‘우러러보다’, ‘쳐다보다’라는 뜻으로 ‘첨성’은 ‘별을 살피다’의 뜻이다. <[[삼국유사]]>에는 '이 임금' 때에 돌을 다듬어 첨성대를 쌓았다’는 간단한 기록이 처음으로 나온다. '이 임금'이란 [[선덕여왕]]을 가리킨다. 그 후 <[[세종실록]]>과 <[[동국여지승람]]>에는 좀더 자세한 기록이 나온다. [[첨성대]]가 세워지는 연대와 크기가 소개되고, 사람이 가운데를 통해 위로 올라가 천문을 관측했다는 것이다.
 +
 
 +
[[첨성대]]의 몸체는 27단인데 이것은 [[선덕여왕]]이 제27대 임금임을 나타내며, 창의 아래위가 각각 12단인 것은 1년 12개월을 나타내며, 합계 24단은 24절기를, 사용된 돌의 수가 362개인 것은 1년의 날수를 상징하는 것이라고 해석하는 사람도 있다. 또 옛날 사람들은 하늘은 둥글고 땅은 네모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는데, 첨성대의 기단이 사각형이고 몸체가 원으로 되어 있는 것은 바로 이 사상의 표현이라고도 한다.
 +
 
 +
우리나라의 [[첨성대]]는 점성학적인 비중이 컸던 시대에 시작되었다. [[경주]] [[첨성대]]의 용도가 별을 관측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수학적인 내용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탑이라거나 [[불교]]의 우주관인 [[수미산]]의 모양을 본떠서 만든 제단이라는 설도 제기되고 있으나, [[신라]]시대의 천체에 대한 관심은 꾸준히 이어져내려와 조선 세종 때의 천문관측소 <서운관>으로 열매를 맺는다.
 +
 
  
  
=='''첨성대 관련 역사'''==
 
국보 제31호. 높이 약 9.5m. 첨성대가 위치한 곳은 옛날에는 [경주]부(慶州府) 남쪽 월남리(月南里)라고 하였고, 계림(鷄林)의 북방 약 150∼200m, 내물왕릉 동북방 약 300m 되는 곳이다. 이 근방을 속칭 비두골이라고도 한다.
 
  
첨성대는 『[삼국유사]』기이(紀異) 권2의 별기(別記)에 “이 왕대(王代)에 돌을 다듬어서 첨성대를 쌓았다.”라고 기록되어 있어 신라 [선덕여왕] 때(재위 632∼647)에 축조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 같은 책 왕력(王曆) 제1에 [신라] 제17대 내물마립간(奈勿麻立干) 이야기 끝에 “능은 점성대(占星臺) 서남에 있다.”라는 기사가 있는데 현재의 [내물왕릉]과 첨성대의 위치 관계와 잘 부합된다. 이 기록에서 첨성대가 별명으로 점성대라고 불렸던 것을 알 수 있다.
 
 
[경주] 첨성대 [慶州瞻星臺]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경주] 첨성대 [慶州瞻星臺]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2020년 12월 6일 (일) 12:27 판

개요

국보 제31호. 높이 약 9.5m. 첨성대가 위치한 곳은 옛날에는 경주부 남쪽 월남리라고 하였고, 계림의 북방 약 150∼200m, 내물왕릉 동북방 약 300m 되는 곳이다. 이 근방을 속칭 비두골이라고도 한다.동양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천문대. 1962년 12월 20일 국보 제31호로 지정되었다. 경상북도 경주인왕동에 소재하며 높이 9.17m, 밑지름 4.93m, 윗지름 2.85m이다. 밑에서부터 4.16m 되는 곳의 남쪽 허리에 한 변이 1m인 정사각형 문이 달려 있다. 모양은 원통형으로 남쪽 문에 사다리를 걸었던 자리가 있다. 30cm 높이의 돌 362개로 27단을 쌓아 만들었다.
내부는 제12단까지 흙이 차 있고, 제19단에서 제20단까지와 제25단에서 제26단까지의 두 곳에 정(井)자형 장대석이 걸쳐 있는데 그 양끝이 밖으로 나가 있다. 제27단 내부의 반원에는 판석이 있고, 맞은편에는 판목을 놓았던 곳으로 보이는 자리가 있다. 판석은 길이 156cm, 너비 60cm, 두께 24cm이다. 꼭대기에는 정자석(井字石)이 2단으로 짜여 있는데, 그 위에 관측기구를 놓았던 것으로 보인다. 혼천의와 같은 관측기구를 정상에 설치하고 춘분·추분·동지·하지 등의 24절기를 별을 통하여 측정하였고, 정자석을 동서남북의 방위를 가리키는 기준으로 삼았던 것으로 보인다. 한편, 첨성대가 제단이었다는 학설도 있다. 《삼국유사》에 신라 선덕여왕(재위 632~647) 때 건립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첨성대 관련 역사

첨성대삼국유사 기이(紀異) 권2의 별기(別記)에 “이 왕대(王代)에 돌을 다듬어서 첨성대를 쌓았다.”라고 기록되어 있어 신라 [선덕여왕] 때(재위 632∼647)에 축조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우리 나라 천문대의 역사는 삼국시대부터 시작된다. 백제점성대(占星臺)라는 천문대가 있었는데, 이 영향으로 경주첨성대가 세워졌을 것으로 추측된다. 신라첨성대는 고대 천문대로서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 된 것 중의 하나이다. 첨성대의 첨(瞻)은 ‘우러러보다’, ‘쳐다보다’라는 뜻으로 ‘첨성’은 ‘별을 살피다’의 뜻이다. <삼국유사>에는 '이 임금' 때에 돌을 다듬어 첨성대를 쌓았다’는 간단한 기록이 처음으로 나온다. '이 임금'이란 선덕여왕을 가리킨다. 그 후 <세종실록>과 <동국여지승람>에는 좀더 자세한 기록이 나온다. 첨성대가 세워지는 연대와 크기가 소개되고, 사람이 가운데를 통해 위로 올라가 천문을 관측했다는 것이다.

첨성대의 몸체는 27단인데 이것은 선덕여왕이 제27대 임금임을 나타내며, 창의 아래위가 각각 12단인 것은 1년 12개월을 나타내며, 합계 24단은 24절기를, 사용된 돌의 수가 362개인 것은 1년의 날수를 상징하는 것이라고 해석하는 사람도 있다. 또 옛날 사람들은 하늘은 둥글고 땅은 네모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는데, 첨성대의 기단이 사각형이고 몸체가 원으로 되어 있는 것은 바로 이 사상의 표현이라고도 한다.

우리나라의 첨성대는 점성학적인 비중이 컸던 시대에 시작되었다. 경주 첨성대의 용도가 별을 관측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수학적인 내용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탑이라거나 불교의 우주관인 수미산의 모양을 본떠서 만든 제단이라는 설도 제기되고 있으나, 신라시대의 천체에 대한 관심은 꾸준히 이어져내려와 조선 세종 때의 천문관측소 <서운관>으로 열매를 맺는다.



[경주] 첨성대 [慶州瞻星臺]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경주 : 신라의 역사는 지금으로부터 2,100여 년 전인 기원전 57년, 한반도 동쪽에 자리한 사로국에서 시작되었어요. 박혁거세가 세운 신라는 작은 국가였어요.

4세기 후반, 신라의 제17대 왕인 내물왕이 주변 소국을 정복한 뒤 왕권을 강화했어요. 이때부터 신라는 강력한 왕권을 바탕으로 한 힘 있는 나라로 성장했지요. 6세기 후반, 제24대 왕인 진흥왕 때에는 강한 군사력으로 한강 주변 지역을 차지하고 고구려를 공격하는 등 삼국 통일의 기반을 다졌어요. 그러다가 마침내 7세기 후반, 제30대 왕인 문무왕이 백제와 고구려를 멸망시키고 삼국 통일을 이루었지요.

통일 후 신라는 정치, 경제, 문화가 더욱 발달했어요. 불국사, 석굴암과 같은 귀중한 문화유산도 이 시기에 탄생했지요. 지리적으로 가까운 당나라와 왜뿐만 아니라 멀리 아라비아 상인들과도 교류1)했어요.

그러나 왕족과 귀족 간의 다툼이 심해져 점차 혼란에 빠진 신라는 제56대 경순왕이 고려에 항복하면서 935년에 멸망했어요.

신라의 수도였던 경주는 신라의 천 년 역사가 담긴 살아 있는 박물관이에요. 신라 시대 초기부터 통일 이후까지 신라의 역사를 보여 주는 유적과 유물들로 가득하지요. 경주 곳곳에 남아 있는 유적지와 수많은 문화재들은 국보로 지정되었답니다.


주요시설

  • 전시 및 관리실, 매점, 화장실, 정자등 건축시설


이용 안내

  • 연락처:
  • 입장시간: 00시~24시
  • 입장료: 무료
  • 주차장: 공영주차장 운영

지도

{{

}}


첨성대 가는 길

  • 지하철 ?호선


위치

준공시기

용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