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 상감국화모란당초문 모자합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청자 상감국화모란당초문 모자합(수정).jpg




















기본 정보

지정유형 보물
종류 유물/공예
시대 고려시대
비고 12세기 제작
소재지 성북동
지정일 1963.1.21
시기 미상
소유(관리) 간송미술관
수량/면적 외합1세트, 내합5세트
  • 소재지
지도를 불러오는 중...

작품 소개

청자 상감국화모란당초문 모자합(靑磁 象嵌菊花牡丹唐草文 母子盒)은 간송미술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도자 공예품이자 청자 그릇으로, 바깥쪽의 큰 그릇인 모합(母盒)과 그 안에 들어가는 작은 그릇인 자합(子盒) 5개로 이루어져 있다. 자합은 1개의 국화형 자합과 4개의 송엽형 자합으로 나눠진다.

작품 내용

청자 상감국화모란당초문 모자합의 모합은 높이 8.4cm, 지름 18.8cm이다. 자합 중 국형자합은 높이 3.1cm, 지름 7.9cm이며, 송엽형자합은 높이 3.0cm, 길이 7.8cm이다. 이 중 가장 큰 크기의 모합은 사진보다 꽤 큰 크기이다. 모합의 뚜껑 둘레는 모란국화무늬를 장식하였고, 뚜껑 가운데 부분은 국화무늬흑백상감 처리하였다. 또한, 모합 몸체는 덩굴무늬를 둘러서 마무리하였다. 그리고 자합 뚜껑에는 흑백상감을 한 모란을 장식하였고, 뚜껑 바깥 둘레에는 백상감을 한 번개무늬를 장식하였다. 이 모자합의 용도는 화장품을 넣어 두는 그릇으로 사용된 것으로 추정된다.정연한 구성 안에 다양하고 변화 있는 문양 표현이 모색되어 있고, 부인 용기에 걸맞은 아기자기하고 섬세한 면모가 엿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전라북도 부안군 보안면 유천리 청자 가마터에서 나오는 파편에서 이와 비슷한 작품을 볼 수 있다.

상세 디자인

작품에 사용된 문양들

 국화무늬

국화는 동양에서 재배하는 관상식물 중 가장 긴 역사를 가지고 있는, 귀하게 여겨진 꽃이다. 원산지는 중국이며 재배를 시작한 시기는 대이전으로 추정된다. 국화는 「양화소록(養花小錄)」에서 고려 충숙왕 때 전래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이때 국화에 대한 중국의 문화적 인식과 관념도 그대로 전해졌다. 국화 중에 특히 황국은 신비한 영약으로 이를 달여 마시면 장수한다고 믿었으며, 장수를 기원하는 의미에서 환갑, 진갑 등의 헌화로도 사용되었다. 국화문은 수술부분을 중심으로 작고 얇은 꽃잎이 촘촘히 붙어 있기에 도안화하기 매우 적당하다. 절지형 국화무늬는 꽃과 끝이 여러 갈래로 나누어진 잎을 줄기에 연결시켜 완전한 국화로 표현하였는데 주로 11, 12세기의 상감청자에 집중적으로 나타난다. 꽃부분만을 따서 도안화한 국화무늬는 13세기를 기점으로 출현하였다. 국화무늬는 중심 무늬외에도 보조무늬로 사용된 예가 많은데 이러한 형상은 도안화하기 쉬운 국화꽃의 생김새에서 기인한 것으로 추측된다. 보조무늬로 사용된 경우에는 주로 꽃잎만을 구성하거나 꽃잎을 중심으로 작은 잎들이 조그맣게 붙어 있는 형태이다. 국화는 맑은 아취와 높은 절개를 상징하는 꽃이다. 또한 늦은 서리를 견디면서 그 청초한 모습을 잃지 않는 국화의 생태는 길상의 징조 또는 상서의 상징으로 받아들여졌다. 국화는 고려시대 도자기나전칠기 등에서 많이 나타난다. 국화가 핀 뜰에 참새가 날아드는 풍경은 민화 등에서 주로 그려졌다.

 번개무늬

번개무늬는 지그재그 모양 또는 갈 지(之)자 모양의 무늬를 말한다. 이는 곧 번개를 상징하는 무늬이기도 하다. 번개는 농경사회에서 가뭄에 비를 몰고 오는 길조로 여긴다. 또 번개무늬는 연속되는 무늬로 이루어졌다.이는 연속되어 끊어지지 않는다는 의미를 담고 있어 최대의 길상을 상징한다. 우레는 만물을 길러주는 요소인 데다 그 형상이 연속되어 끊어지지 않는다는 의미를 담고 있어 최대의 길상을 나타낸다. 연속된 무늬는 그 자체로 무한 영구와 결실을 의미한다.

 덩굴무늬

중국 한자음을 따서 덩굴풀이라는 뜻으로 이런 이름이 붙었다. 하지만, 기원이 매우 오래되었으며, 분포상태도 매우 광범위하다. 덩굴무늬는 고대 이집트에서 발생하여 그리스에서 완성되었다. 북아프리카, 시리아, 메소포타미아, 서아시아, 페르시아 등의 제국과 더불어 인도, 중국, 한국, 일본 등 매우 다양한 지역에서 사용되었다. 이 덩굴은 겨울을 견뎌내며 끊임없이 뻗어나가기에 장수를 상징하게 되었다. 덩굴무늬는 토기도자기를 비롯하여 회화 등 다양한 유물에 장식하였다. 보통 구불구불한 줄기를 표현한 것으로 대개는 다른 꽃무늬와 결합하여 표현되는데, 예를 들면 연꽃덩굴무늬, 모란덩굴무늬이다.

모란무늬

모란은 화려한 자태로 인하여 꽃 중의 왕으로 일컬어지며, 화목·부귀영화·번영을 상징한다. 송나라 유학자 주돈이는「애련설(愛蓮說)」에서 “모란은 꽃 가운데 부귀한 자이다.”라고 하여 모란이 부귀를 상징함을 찬한 바 있다. 또한 모란이 주제로 등장하는 그림들 가운데 부귀장춘(富貴長春)은 오래도록 부귀영화를 누리기를 축원하는 도안이며, 장명부귀(長命富貴) 역시 생일을 축하하면서 장수와 부귀를 누리기를 기원하는 도안이다. 또한 모란과 수탉이 주제로 등장하는 공명부귀(功名富貴)는 벼슬길에 나아가 이름을 날리고 부귀를 누리기를 축원하는 의미가 담겨 있다. 모란무늬는 모란을 소재로 나타낸 장식 무늬이다. 고려시대 청자에서 간결하게 도안된 모란무늬가 쓰이기 시작하여, 조선시대 분청사기를 비롯하여 청화백자·진사백자·철화백자 등에서 민화풍의 회화적인 필치로 그린 모란무늬가 다양하게 나타난다.

기타

비슷한 작품: 청자 상감국화모란당초문 모자합과 비슷한 작품으로는 청자상감운학문모자합(靑磁象嵌雲鶴文母子盒)이 있다. 청자상감문학문모자합은 전형적인 모자합이다. 모합의 뚜껑에 운학문을 정교하게 새겨넣었고, 자합 역시 학문(鶴紋 으로 앙증맞게 표현됐다. 합의 안쪽 면엔 백상감으로 모란문어문을 새겨 부귀와 다산의 마음을 담았다.

국적 한국
시대 고려시대
출토지 경기도-개성 부근
재질 도자기-청자
크기 높이 7.5cm, 지름 12.3cm
분류 주생활-생활용품/ 가전-화장구-분합
소장기관 국립중앙박물관

청자상감운학문모자합.jpg

관련 자료

사진 자료

  • 큰 그릇인 모합에 들어가 있는 자합

청자 상감국화모란당초문 모자합 상세 사진1.jpg

  • 중앙에 있는 1개의 국화형 자합과 그 주위에 있는 4개의 송엽형 자합

청자 상감국화모란당초문 모자합 상세 사진2.jpg


작성자 및 기여자

디지털과 지식콘텐츠(22-2) 수업의 일환으로 작성.
작성자 한성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