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대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소개)
37번째 줄: 37번째 줄:
  
 
=='''소개'''==
 
=='''소개'''==
 +
세종대왕은 조선의 제4대 임금(국왕)으로 성은 전주 이씨(全州李氏)의 이름은 도(祹)로 본명은 이도(李裪)이다. 자는 원정(元正), 시호는 장헌(莊憲), 존시는 영문예무인성명효대왕(英文睿武仁聖明孝大王), 묘호는 세종(世宗), 능호는 영릉(英陵)이다. 세종은 [[태종]](太宗)의 셋째 아들로 어머니는 [[원경왕후]](元敬王后) 민씨(閔氏)이며, 비(妃)는 [[심온]](沈溫)의 딸인 [[소헌왕후]](昭憲王后) 심씨(沈氏)이다. [[태종]] 8년(1408)에 충녕군(忠寧君)에 봉해졌고, [[태종]] 12년(1412) 충녕대군(忠寧大君)에 진봉, 태종 18년(1418) 음력 6월 맏형 [[양녕대군]](讓寧大君)이 제(褆)가 폐세자(廢世子)가 됨으로써 왕세자(王世子)로 책봉되었다. 그리고 같은 해 음력 8월 22세(만21세)의 나이로 [[태종]]의 양위를 받아 [[경복궁]] [[근정전]](勤政殿)에서 즉위하였다.
 +
<br/>
 +
세종대왕은 조선이 건국 되고 5년이 지난 1397년(태조 6년)에 태어났다. 그렇기에 고려인이었던 [[태조]], [[정종]], [[태종]]과 달리 첫 조선인 국왕이었다.
 +
세종은 32년의 재위 기간 동안 수많은 공적을 남겨 조선은 물론 한국사를 대표하는 최고의 성군으로 칭송받게 되었다. [[광개토대왕]]과 더불어 '대왕'이라는 호칭을 가지고 사람들에게 널리 알려진 단 둘 뿐인 군주이다. 세종이 창제한 한글([[훈민정음]])은 현대 한반도(대한민국과 북한)의 공용 문자로 지정되어 통용되고 있다. 또한, 세종 시대에 확립된 북방의 국경은 그대로 한반도 이북 지역의 국경으로 자리 잡아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세종의 업적은 현대 한국의 문화와 생활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세종은 [[이순신]]과 함께 한국인에게 가장 존경 받는 인물이 되었다.
  
 
=='''생애'''==
 
=='''생애'''==

2022년 11월 30일 (수) 23:05 판


소개

세종대왕은 조선의 제4대 임금(국왕)으로 성은 전주 이씨(全州李氏)의 이름은 도(祹)로 본명은 이도(李裪)이다. 자는 원정(元正), 시호는 장헌(莊憲), 존시는 영문예무인성명효대왕(英文睿武仁聖明孝大王), 묘호는 세종(世宗), 능호는 영릉(英陵)이다. 세종은 태종(太宗)의 셋째 아들로 어머니는 원경왕후(元敬王后) 민씨(閔氏)이며, 비(妃)는 심온(沈溫)의 딸인 소헌왕후(昭憲王后) 심씨(沈氏)이다. 태종 8년(1408)에 충녕군(忠寧君)에 봉해졌고, 태종 12년(1412) 충녕대군(忠寧大君)에 진봉, 태종 18년(1418) 음력 6월 맏형 양녕대군(讓寧大君)이 제(褆)가 폐세자(廢世子)가 됨으로써 왕세자(王世子)로 책봉되었다. 그리고 같은 해 음력 8월 22세(만21세)의 나이로 태종의 양위를 받아 경복궁 근정전(勤政殿)에서 즉위하였다.
세종대왕은 조선이 건국 되고 5년이 지난 1397년(태조 6년)에 태어났다. 그렇기에 고려인이었던 태조, 정종, 태종과 달리 첫 조선인 국왕이었다. 세종은 32년의 재위 기간 동안 수많은 공적을 남겨 조선은 물론 한국사를 대표하는 최고의 성군으로 칭송받게 되었다. 광개토대왕과 더불어 '대왕'이라는 호칭을 가지고 사람들에게 널리 알려진 단 둘 뿐인 군주이다. 세종이 창제한 한글(훈민정음)은 현대 한반도(대한민국과 북한)의 공용 문자로 지정되어 통용되고 있다. 또한, 세종 시대에 확립된 북방의 국경은 그대로 한반도 이북 지역의 국경으로 자리 잡아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세종의 업적은 현대 한국의 문화와 생활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세종은 이순신과 함께 한국인에게 가장 존경 받는 인물이 되었다.

생애

어린 시절

즉위 이전

즉위 이후

죽음

업적

유교 정치

편찬 사업

훈민정음

과학 기술

관련 자료

사진 자료

영상 자료

링크 자료

작성자 및 기여자

디지털과 지식콘텐츠(22-2) 수업의 일환으로 작성.
작성자 천성현

훈민정음과 난중일기(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