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향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유사점)
(프롤레타리아 문학과의 비교)
3번째 줄: 3번째 줄:
 
==프롤레타리아 문학과의 비교==
 
==프롤레타리아 문학과의 비교==
 
===유사점===
 
===유사점===
피지배 계층이 지배 계층이나 사회에 대한 분노를 드러내는 것이 공통점이다.
+
먼저 신경향파 문학은 1920년대 초 백조파의 감상적 [[낭만주의]], 창조파의 [[자연주의]] 등 이전의 문학 경향을 부정하면서 탄생했으며,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의 탄생과 함께 프로문학(프롤레타리아 문학)과 신경향파 문학으로 발전해 나갔다. 따라서 같은 계열에 뿌리를 내리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으며, 두 부류 모두 사회주의에 관련된 문학이다.
  
대표적으로 [[최서해]]의 작품 중 [[탈출기]]를 보았을 때, 작중의 주인공은 간도 유랑민이라는 피지배 계층의 입장에서 지배 계층인 중국인 지주나 사회 제도에 큰 분노를 가지고 있다.
+
또한 피지배 계층이 지배 계층이나 사회에 대한 분노를 드러내는 것이 공통점이다.
 +
 
 +
대표적으로는 [[최서해]]의 작품 중 [[탈출기]]가 있는데, 작중의 주인공은 간도 유랑민이라는 피지배 계층의 입장에서 지배 계층인 중국인 지주나 사회 제도에 큰 분노를 가지고 있다.
  
 
===차이점===
 
===차이점===
 +
 
==대표 작가==
 
==대표 작가==
 
==네트워크 그래프==
 
==네트워크 그래프==
  
 
[[분류:이승민]]
 
[[분류:이승민]]

2019년 6월 6일 (목) 17:25 판

개요

이론

프롤레타리아 문학과의 비교

유사점

먼저 신경향파 문학은 1920년대 초 백조파의 감상적 낭만주의, 창조파의 자연주의 등 이전의 문학 경향을 부정하면서 탄생했으며,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의 탄생과 함께 프로문학(프롤레타리아 문학)과 신경향파 문학으로 발전해 나갔다. 따라서 같은 계열에 뿌리를 내리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으며, 두 부류 모두 사회주의에 관련된 문학이다.

또한 피지배 계층이 지배 계층이나 사회에 대한 분노를 드러내는 것이 공통점이다.

대표적으로는 최서해의 작품 중 탈출기가 있는데, 작중의 주인공은 간도 유랑민이라는 피지배 계층의 입장에서 지배 계층인 중국인 지주나 사회 제도에 큰 분노를 가지고 있다.

차이점

대표 작가

네트워크 그래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