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치상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소개)
(내용)
25번째 줄: 25번째 줄:
  
 
=== 내용 ===
 
=== 내용 ===
백제 의자왕이 나당 연합군에게 항복하자, 장군인 흑치상지는 잠시 피신하였다가 때를 보아 당나라 군사를 치기로 한다. 그는 자신의 군사를 이끌고 산속 요새로 가다가, 당나라 군대에게 끌려가는 한 무리의 백제 유민을 구해 준다. 백성들은 모두 그를 따르겠노라 하는데, 그중 아름답고 기품 있는 한 젊은 여인이 자기는 다른 곳으로 가겠다고 한다. 그 여자의 이름은 창화로, 좌평 벼슬을 한 임자의 처이다. 그녀는 끌려가는 도중 당나라 장수에게 교태를 부려 백성들의 미움을 샀지만, 한편으로는 나라를 팔아먹은 남편을 꾸짖는 등 범상치 않은 태도를 보인 터이다.
 
  
그녀는 흑치상지에게 작별을 고하고 어디론가 사라진다. 흑치상지는 그 길로 맡있산에 주둔하고 군대를 정비한다. 소문을 들은 백성들이 모여들어 그의 군대는 점점 강해진다. 어느 날, 정체 모를 청년이 흑치상지를 찾아와 허리띠에 적힌 창화의 편지를 전해 준다. 그녀는 항복한 것으로 가장하고 당나라 진영에 들어가, 그들의 내부 사정을 염탐하여 흑치상지에게 알려 준 것이다. 흑치상지 군은 창화의 정보 덕에 당나라 군대와 싸워 크게 이긴다. 승전한 날 밤, 창화가 흑치상지를 찾아와 자신의 내력을 이야기한다. 본래 양민의 딸이었던 그녀는 수진이라는 청년과 사랑하는 사이였지만, 방탕한 재상 임자의 눈에 띄어 첩으로 끌려간 것이었다. 그녀는 그 후로 남자를 짐승처럼 여기며 살아왔지만, 흑치상지를 만난 후 그런 생각을 버렸노라 고백한다.
+
이 작품의 서두에서는 백제 수도가 함락된 후 당나라의 군대에 의해 수난을 겪는 백제 유니들의 서러움을 표현하고있다. 그리고 여기에는 나라를 팔아먹고 개인의 보신을 택한 간신, 배신자들을 통해서 국가의 붕괴와 공동체의 타락을 나타내고 있다.
  
 +
여기에서 등장한 영웅적인 인물인 백제 장수 흑치상지가 등장하여 당나라 군대를 물리치고 유민들을 돌보며 공동체를 수습한다. 이후에 밀려오는 당나라 군대와의 싸움을 대비하여 개심한 공동체 일원이 흑치상지에게 도움을 주기도 한다. 그 도움으로 싸움에서 승리한 다음에 소설은 중단되었다.
  
 
=== 의의와 평가 ===
 
=== 의의와 평가 ===

2019년 6월 13일 (목) 19:26 판


[목차]

현진건의 장편 소설

소개

현진건이 동아일보에서 1939년 10월 25일 부터 1940년 1월 16일까지 연재한 미완성소설이다.

흑치상지는 어려움에 처한 일제강점기 시대의 잔혹한 현실을 과거 백제의 장수 '흑치상지'를 표현하며 민족의 저항을 표현하는 역사소설이다. 흑치상지라는 백제의 장수를 통해서 민족의 저항과 부흥을 암시하는 뜻을 품고 있다.

내용

이 작품의 서두에서는 백제 수도가 함락된 후 당나라의 군대에 의해 수난을 겪는 백제 유니들의 서러움을 표현하고있다. 그리고 여기에는 나라를 팔아먹고 개인의 보신을 택한 간신, 배신자들을 통해서 국가의 붕괴와 공동체의 타락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 등장한 영웅적인 인물인 백제 장수 흑치상지가 등장하여 당나라 군대를 물리치고 유민들을 돌보며 공동체를 수습한다. 이후에 밀려오는 당나라 군대와의 싸움을 대비하여 개심한 공동체 일원이 흑치상지에게 도움을 주기도 한다. 그 도움으로 싸움에서 승리한 다음에 소설은 중단되었다.

의의와 평가

『흑치상지』는 민족의 붕괴와 재건 노력을 통하여 식민화된 현실에 저항하려는 현진건의 의도가 드러나는 작품이다. 이때 현진건이 선택한 백제사는 식민지 현실에서 훼손된 민족 정체성의 회복 가능성을 보존하는 시공간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흑치상지는 외세의 침략으로 위기에 빠진 민족을 구원하는 공동체의 중심인 동시에, 민중들의 국권 회복 의지를 대변하는 영웅으로 등장한다. 창화 부인이 흑치상지의 인품에 반하여 요부의 이미지에서 자발적으로 벗어나게 되는 과정도 흑치상지가 지닌 민족 구원의 영웅상을 드러내는 장치라 할 수 있다.

또한 작가는 의도적으로 백제 멸망에 대한 원한을 신라가 아닌 당나라에만 돌리고 있다. 이러한 내용은 역사적 사실과는 어긋나지만, 국가 붕괴의 원인이 분열된 내부가 아니라 외부의 강압에 의한 것임을 강조하여 민족적 화합을 내세우려는 전략으로 볼 수 있다.

즉 이 작품은 역사적 인물인 흑치상지를 통해 민족주의 이념과 국권 회복 의지를 고취하려는 역사소설이다. 그런 까닭에 흔히「흑치상지」는 20세기 초반 역사ㆍ전기 문학이 익숙하게 재현하는 구국 영웅의 계보에 속한다고 평가되기도 한다.


관련문항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흑치상지 현진건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흑치상지 1939년 A는 B에 연재되었다.
흑치상지 일제강점기 A는 B에 작성되었다.
흑치상지 역사소설 A는 B에 해당된다.
흑치상지 미완성 작품 A는 B에 해당된다.
흑치상지 동아일보 A는 B에 연재되었다.



작성자

작성자:진근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