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양연극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onlyinclude> {|class="metadata" style="background:#f2f2f2; width:320px; margin: 5px 5px 5px 5px;" cellspacing="10" align="right" |- ! colspan="2" style="background:#3ca9a9; color:#f...)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4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4번째 줄: 4번째 줄:
 
! colspan="2" style="background:#3ca9a9; color:#ffffff; font-size:130%; text-align:center;" | '''밀양연극촌'''
 
! colspan="2" style="background:#3ca9a9; color:#ffffff; font-size:130%; text-align:center;" | '''밀양연극촌'''
 
|-
 
|-
|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 [[파일:밀양연극촌.gif|200px]]
+
|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 [[파일:밀양연극촌.PNG|200px]]
 
|-  
 
|-  
 
| style="width:80px; text-align:center;" |'''극장명''' || [[밀양연극촌]]
 
| style="width:80px; text-align:center;" |'''극장명''' || [[밀양연극촌]]
 
|-  
 
|-  
 +
| style="text-align:center;"|'''주소''' || 경남 밀양시 부북면 창밀로 3097-16
 +
|-
 
| style="text-align:center;"|'''위치''' || {{
 
| style="text-align:center;"|'''위치''' || {{
 
#display_map:
 
#display_map:
Seoul City;
+
35.533349, 128.704835
37.578225, 127.004715
 
 
|service=googlemaps3
 
|service=googlemaps3
 
|width=200
 
|width=200
20번째 줄: 21번째 줄:
 
|zoom=12
 
|zoom=12
 
}}​
 
}}​
 
+
|-
|-  
+
| style="text-align:center;"|'''홈페이지''' || http://www.mytheatervillage.com
 +
|-
 +
| style="text-align:center;"|'''전화번호''' || 055-355-2308
 
|}
 
|}
 
</onlyinclude>
 
</onlyinclude>
  
 
'''밀양연극촌'''
 
'''밀양연극촌'''
 +
 
==개요==
 
==개요==
2002년, 극장대표 [[윤석화]]와 건축가 [[장윤규]]는 폐허의 공간을 예술 공간으로 만들어 보자는 데 뜻이 맞았다. [[대학로]]의 변두리, [[방송통신대학교]] 후문에 자리한 평범하고 오래된 건물은 이들의 의기투합으로 꽃씨가 뿌려지고 폐허의 공간은 외관부터가 하나의 작품이며 이곳을 드나드는 사람들에게 새로운 상상력을 제공하는 공간으로 자라난다.
+
밀양연극촌은 공연제작 및 문화체험, 예술교육을 위한 시설들을 갖추고 있는 종합예술창작촌이다. 
 +
 +
==상세 내용==
 +
밀양시 이상조 시장과 교육장 및 시의회 의원들이 정동극장의 '어머니' 공연 관람을 계기로 폐교된 구 월산초등학교에 세워졌으며, 1999년 9월 1일 이상주의 연극공동체를 지향하는 연출가 [[이윤택]][[연희단거리패]]의 단원들이 입주하였다. 같은 해인 1999년 10월 30일에 진행된 개관식에서는 월산비나리를 시작으로 총체극 '일식' 의 연습 장면을 공개하며 서막을 열었다.
 +
 
 +
밀양연극촌은 상설 주말공연을 올리는 주말극장, 밀양 여름 공연예술축제 등을 통해 계속해서 관객들과 만나고 있다.
 +
 
 +
===안내도===
 +
 
 +
[[파일:밀양연극촌안내도.jpg|400px]]
 +
 
 +
* 게스트하우스 : 밀양 여름 축제의 참가팀과 문화체험, 연수 참가자들이 사용하는 숙소이다.
 +
 
 +
* 우리동네극장 : 2003년 태풍 매미로 소실된 천막극장 자리에 세워진 극장이다. 
 +
 
 +
* [[가마골소극장]] : 1986년 창단된 [[연희단거리패]]의 전신으로 부산 연극의 산실이 된 장소이다. 2013년 밀양연극촌으로 이전하였다.
 +
 
 +
* 스튜디오극장 : 무대 제작장으로 지었던 창고를 극장으로 개조하여 활용하고 있다.
 +
 
 +
* 연극도서관 : [[연희단거리패]]가 창단된 1986년부터 작업한 결과물이 보관, 전시되고 있는 자료관이다. 일반인도 자료를 열람하고 이용할 수 있다.
 +
 
 +
* 성벽극장 : 야외극을 위해 개관한 시설이다.
 +
 
 +
* 월산제 : [[연희단거리패]]의 꼭두쇠이자 밀양연극촌의 예술감독 [[이윤택]] 가족의 숙소이다.
 +
 
 +
* 촌장관사와 월산동창회 : 밀양연극촌 촌장관사와 폐교된 월산초등학교의 동문을 위해 마련한 공간이다.
 +
 
 +
* [[윤대성]]사택 : 극작가 [[윤대성]]이 작품을 집필하는 사랑방이다. 2015년 7월에는 [[윤대성극문학관]]이 개관했다.
 +
 
 +
* 숲의 극장 : 밀양연극촌 최초의 극장이다. 2003년 한반도에 막대한 피해를 입힌 태풍 매미 이후 1, 2차 리모델링을 거쳐 대형 야외공연장으로 거듭났다. 밀양 여름 공연예술축제의 주공연장으로 사용되는 극장이기도 하다.
 +
 
 +
* 연극촌가족숙소 : [[연희단거리패]] 단원 중 결혼한 가족이 사는 숙소이다.
 +
 
 +
* 솟대무대 : 원형무대를 활용한 야외공연장이다. 연극촌을 찾는 관객들에게는 만남의 광장 역할도 한다.
 +
 
 +
* 녹음스튜디오 : 녹음이나 음악편집이 이루어지는 작업실 겸 합창 연습실이다.
 +
 
 +
===공연정보===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 밀양여름 공연예술 축제와 주말극장 (2017) 공연
 +
|+ style="caption-side:bottom; text-align:left|출처 : 밀양연극촌 사이트
 +
!연극||공연일자||공연장소
 +
|-
 +
|길 떠나는 가족||2017.05.13||성벽극장
 +
|-
 +
|천국과 지옥||2017.05.27||성벽극장
 +
|-
 +
|천국과 지옥||2017.06.03||성벽극장
 +
|-
 +
|[[오구]]||2017.06.10||성벽극장
 +
|-
 +
|[[오구]]||2017.06.17||성벽극장
 +
|-
 +
|심청마을이야기||2017.07.26||숲의극장
 +
|-
 +
|아리랑||2017.07.26||성벽극장
 +
|-
 +
|마야 전설의 새||2017.07.26||우리동네극장
 +
|-
 +
|동주, 점점 투명해지는 사나이||2017.07.26||스튜디오극장
 +
|-
 +
|꽃과 건달과 피자와 사자||2017.07.26||스튜디오극장
 +
|-
 +
|아리랑||2017.07.27||성벽극장
 +
|-
 +
|마야 전설의 새||2017.07.27||우리동네극장
 +
|-
 +
|동주, 점점 투명해지는 사나이||2017.07.27||스튜디오극장
 +
|-
 +
|꽃과 건달과 피자와 사자||2017.07.27||스튜디오극장
 +
|-
 +
|괴벨스 극장||2017.07.28||우리동네극장
 +
|-
 +
|천국과 지옥||2017.07.28||성벽극장
 +
|-
 +
|오케이 컷!||2017.07.28||숲의극장
 +
|-
 +
|점과 점을, 잇는 선.으로 이루어진, 육면체. 안에, 가득 차 있는, 몇 개나 되는, 서로 다른, 세계. 그리고, 빛에 대해||2017.07.28||스튜디오극장
 +
|-
 +
|엄니인력 사람들||2017.07.28||스튜디오극장
 +
|-
 +
|괴벨스 극장||2017.07.29||우리동네극장
 +
|-
 +
|천국과 지옥||2017.07.29||성벽극장
 +
|-
 +
|오케이 컷!||2017.07.29||숲의극장
 +
|-
 +
|점과 점을, 잇는 선.으로 이루어진, 육면체. 그 안에, 가득 차 있는, 몇 개나 되는, 서로 다른, 세계. 그리고, 빛에 대해||2017.07.29||스튜디오극장
 +
|-
 +
|엄니인력 사람들||2017.07.29||스튜디오극장
 +
|-
 +
|해방의 서울||2017.07.30||우리동네극장
 +
|-
 +
|음악극 봄.봄||2017.07.30||성벽극장
 +
|-
 +
|해와 달이 된 오누이||2017.07.30||숲의극장
 +
|-
 +
|플라나리아||2017.07.30||스튜디오극장
 +
|-
 +
|창작뮤지컬 마의 태자||2017.07.30||스튜디오극장
 +
|-
 +
|해방의 서울||2017.07.31||우리동네극장
 +
|-
 +
|음악극 봄.봄||2017.07.31||성벽극장
 +
|-
 +
|해와 달이 된 오누이||2017.07.31||숲의극장
 +
|-
 +
|플라나리아||2017.07.31||스튜디오극장
 +
|-
 +
|창작뮤지컬 마의 태자||2017.07.31||스튜디오극장
 +
|-
 +
|서푼짜리 오페라||2017.08.01||숲의극장
 +
|-
 +
|위대한 놀이||2017.08.01||우리동네극장
 +
|-
 +
|PARADE||2017.08.01||스튜디오극장
 +
|-
 +
|인간대포쇼||2017.08.01||스튜디오극장
 +
|-
 +
|서푼짜리 오페라||2017.08.02||숲의극장
 +
|-
 +
|위대한 놀이||2017.08.02||우리동네극장
 +
|-
 +
|PARADE||2017.08.02||스튜디오극장
 +
|-
 +
|인간대포쇼||2017.08.02||스튜디오극장
 +
|-
 +
|국악극 대청여관||2017.08.03||성벽극장
 +
|-
 +
|한여름 밤의 꿈||2017.08.03||숲의극장
 +
|-
 +
|오버코트||2017.08.03||우리동네극장
 +
|-
 +
|인人.식食||2017.08.03||스튜디오극장
 +
|-
 +
|황혼의 노래||2017.08.03||스튜디오극장
 +
|-
 +
|국악극 대청여관||2017.08.04||성벽극장
 +
|-
 +
|한여름 밤의 꿈||2017.08.04||숲의 극장
 +
|-
 +
|오버코트||2017.08.04||우리동네극장
 +
|-
 +
|인人.식食||2017.08.04||스튜디오극장
 +
|-
 +
|황혼의 노래||2017.08.04||스튜디오극장
 +
|-
 +
|하모니카||2017.08.05||스튜디오극장
 +
|-
 +
|앤 ANNE||2017.08.05||우리동네극장
 +
|-
 +
|들개의 기억||2017.08.05||스튜디오극장
 +
|-
 +
|하모니카||2017.08.06||스튜디오극
 +
|-
 +
|앤 ANNE||2017.08.06||우리동네극장
 +
|-
 +
|들개의 기억||2017.08.06||스튜디오극장
 +
|}
  
2층 객석과의 경계에 요동치는 힘줄처럼 이리저리 툭 튀어나온 철근, 지하실처럼 천장을 가로지르는 배관, 덧칠한 시멘트, 깨진 타일 등이 마치 벌거벗겨진 속처럼 드러나 본래의 공간이 가졌던 폐허의 느낌을 살려주고 있다. 매끈하게 리모델링해서 공간을 변형하지 않은 이유는 과거와의 단절이 아니라 자라나는 공간으로서의 시간의 공존을 꾀하는 의도이다.
+
===관련사진===
 +
* 밀양연극촌 입구와 성벽극장
  
극장에 맞추어 공연 무대가 들어서는 것이 아니라 공연에 따라 무대가 변형될 수 있게 하자는 실험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는 `설치극장 정미소`. 정미소는 이미 완성되고 상업화된 공연을 소개하는 차원에서 벗어나 실험적이고 새로운 예술의 컨텐츠 개발을 위한 다양한 실험들을 논의하는 공간으로서의 기능을 지향하고 실현해 나가고 있다.
+
[[파일:밀양연극촌2.PNG|500px]] [[파일:밀양연극촌3.PNG|500px]]
  
[[파일:밀양연극촌.PNG|400px]]
+
*[[오구]]공연
  
==상세 내용==
+
[[파일:오구공연.jpg|500px]] [[파일:오구공연2.PNG|500px]]
대학로에 위치한 168개의 좌석을 가진 소규모 극장이다.
 
  
==찾아가는 방법과 연락처==
+
==지도와 연락처==
 
===찾아가는 방법===
 
===찾아가는 방법===
주소
+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이화장길 66
+
경상남도 밀양시 부북면 가산리 78-2
  
 
{{
 
{{
 
#display_map:
 
#display_map:
Seoul City;
+
35.533349, 128.704835
37.578225, 127.004715
 
 
|service=googlemaps3
 
|service=googlemaps3
 
|width=500
 
|width=500
56번째 줄: 217번째 줄:
 
}}​
 
}}​
  
교통정보
+
'''교통정보'''
 +
 
 +
'''자차 이용시'''
 +
 
 +
- 서울,대전, 대구 : 경부고속도로-동대구JCT - 신대구부산고속도록- 밀양IC
 +
 
 +
- 부산 : 신대구부산고속도록 - 남밀양IC
 +
 
 +
- 마산, 창원 : 동창원IC-대구방향 25번국도 20분 - 밀양
 +
 
 +
- 울산 : 언양방향 24번국도 - 가지산 터널지나 20분 - 밀양
 +
 
 +
- 밀양연극촌 : 밀양시청 앞 신촌오거리에서 창년방향 24번 국도 5분
 
   
 
   
지하철
 
4호선 혜화역 2번 출구로 나와 10분 거리, [[방송통신대학교]] 후문
 
  
버스
+
'''기차 이용시'''
‘방송통신대학교 정문’ 또는 ‘혜화역 2번 출구’ 에서 하차하여 5분거리, 방송통신대학교 후문
+
 
버스(B):101, 102, 103, 104, 106, 107, 109, 143, 150, 151, 160, 161
+
- 경부선 KTX, 새마을, 무궁화호 열차 20분 간격 밀양역하차
버스(G):1018, 1019, 2112
+
 
+
- 밀양연극촌 : 밀양역 시내버스 정류장에서 밀양연극촌 셔틀버스 이용(1시간 간격) ※택시이용시 10,000원
+
 
주차정보
+
 
+
'''시외버스 이용시'''
정美소에는 주차장이 없사오니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
- 부산, 마산방면 시외버스 40분 ~ 1시간 간격으로 운영
 +
 
 +
- 밀양연극촌 : 밀양연극촌 셔틀버스 이용(영남병원 맞은편 버스정류장 정차) ※택시이용시 6,000원
 +
 
  
 
===연락처===
 
===연락처===
02-3672-3001
+
055-355-2308
  
 
==관련항목==
 
==관련항목==
79번째 줄: 254번째 줄: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설치극장 정미소]] || [[북어대가리]] || A에서 B가 공연되었다. ||  
+
| [[밀양연극촌]] || [[한여름 밤의 꿈]] || A에서 B가 공연되었다. ||
 +
|-
 +
| [[밀양연극촌]] || [[아리랑]] || A에 B가 공연되었다. ||
 +
|-
 +
| [[밀양연극촌]] || [[오구]] || A에서 B가 공연되었다. ||
 +
|-
 +
| [[밀양연극촌]] || [[연희단거리패]] || A에 B가 자리잡았다. ||  
 
|-
 
|-
 
|}
 
|}
  
==참고문헌==
+
==참고==
*개요, 상세내용
+
[http://mytheatervillage.com/00_main/main.asp 밀양연극촌 사이트]
서울연극센터
+
 
http://www.e-stc.or.kr/Front/play/placeUniv_view.asp?no=63&search=
+
[http://www.store.naver.com/myPlaces 네이버 플레이스]
*찾아가는 방법
+
 
PLAYDB
+
[https://blog.naver.com/miryangsi/220650861734 블로그 사진]
http://www.playdb.co.kr/placedb/PlacedbInfo.asp?PlacecCD=29
 
*극장사진
 
해피송의 행복한 여행과 테마 블로그
 
http://blog.daum.net/sso702/18296158
 
  
 
==작성자 및 기여자==
 
==작성자 및 기여자==
 +
* 작성자 : 조유경
  
 +
* 기여자 : 김민중, 김진희
  
[[분류:장소]] [[분류:극장]] [[분류:이소영]]
+
[[분류:장소]] [[분류:연극촌]] [[분류:조유경]] [[분류:김민중]] [[분류:김진희]]

2018년 6월 21일 (목) 15:36 기준 최신판


밀양연극촌

개요

밀양연극촌은 공연제작 및 문화체험, 예술교육을 위한 시설들을 갖추고 있는 종합예술창작촌이다.

상세 내용

밀양시 이상조 시장과 교육장 및 시의회 의원들이 정동극장의 '어머니' 공연 관람을 계기로 폐교된 구 월산초등학교에 세워졌으며, 1999년 9월 1일 이상주의 연극공동체를 지향하는 연출가 이윤택연희단거리패의 단원들이 입주하였다. 같은 해인 1999년 10월 30일에 진행된 개관식에서는 월산비나리를 시작으로 총체극 '일식' 의 연습 장면을 공개하며 서막을 열었다.

밀양연극촌은 상설 주말공연을 올리는 주말극장, 밀양 여름 공연예술축제 등을 통해 계속해서 관객들과 만나고 있다.

안내도

밀양연극촌안내도.jpg

  • 게스트하우스 : 밀양 여름 축제의 참가팀과 문화체험, 연수 참가자들이 사용하는 숙소이다.
  • 우리동네극장 : 2003년 태풍 매미로 소실된 천막극장 자리에 세워진 극장이다.
  • 스튜디오극장 : 무대 제작장으로 지었던 창고를 극장으로 개조하여 활용하고 있다.
  • 연극도서관 : 연희단거리패가 창단된 1986년부터 작업한 결과물이 보관, 전시되고 있는 자료관이다. 일반인도 자료를 열람하고 이용할 수 있다.
  • 성벽극장 : 야외극을 위해 개관한 시설이다.
  • 촌장관사와 월산동창회 : 밀양연극촌 촌장관사와 폐교된 월산초등학교의 동문을 위해 마련한 공간이다.
  • 숲의 극장 : 밀양연극촌 최초의 극장이다. 2003년 한반도에 막대한 피해를 입힌 태풍 매미 이후 1, 2차 리모델링을 거쳐 대형 야외공연장으로 거듭났다. 밀양 여름 공연예술축제의 주공연장으로 사용되는 극장이기도 하다.
  • 연극촌가족숙소 : 연희단거리패 단원 중 결혼한 가족이 사는 숙소이다.
  • 솟대무대 : 원형무대를 활용한 야외공연장이다. 연극촌을 찾는 관객들에게는 만남의 광장 역할도 한다.
  • 녹음스튜디오 : 녹음이나 음악편집이 이루어지는 작업실 겸 합창 연습실이다.

공연정보

밀양여름 공연예술 축제와 주말극장 (2017) 공연 출처 : 밀양연극촌 사이트
연극 공연일자 공연장소
길 떠나는 가족 2017.05.13 성벽극장
천국과 지옥 2017.05.27 성벽극장
천국과 지옥 2017.06.03 성벽극장
오구 2017.06.10 성벽극장
오구 2017.06.17 성벽극장
심청마을이야기 2017.07.26 숲의극장
아리랑 2017.07.26 성벽극장
마야 전설의 새 2017.07.26 우리동네극장
동주, 점점 투명해지는 사나이 2017.07.26 스튜디오극장
꽃과 건달과 피자와 사자 2017.07.26 스튜디오극장
아리랑 2017.07.27 성벽극장
마야 전설의 새 2017.07.27 우리동네극장
동주, 점점 투명해지는 사나이 2017.07.27 스튜디오극장
꽃과 건달과 피자와 사자 2017.07.27 스튜디오극장
괴벨스 극장 2017.07.28 우리동네극장
천국과 지옥 2017.07.28 성벽극장
오케이 컷! 2017.07.28 숲의극장
점과 점을, 잇는 선.으로 이루어진, 육면체. 그 안에, 가득 차 있는, 몇 개나 되는, 서로 다른, 세계. 그리고, 빛에 대해 2017.07.28 스튜디오극장
엄니인력 사람들 2017.07.28 스튜디오극장
괴벨스 극장 2017.07.29 우리동네극장
천국과 지옥 2017.07.29 성벽극장
오케이 컷! 2017.07.29 숲의극장
점과 점을, 잇는 선.으로 이루어진, 육면체. 그 안에, 가득 차 있는, 몇 개나 되는, 서로 다른, 세계. 그리고, 빛에 대해 2017.07.29 스튜디오극장
엄니인력 사람들 2017.07.29 스튜디오극장
해방의 서울 2017.07.30 우리동네극장
음악극 봄.봄 2017.07.30 성벽극장
해와 달이 된 오누이 2017.07.30 숲의극장
플라나리아 2017.07.30 스튜디오극장
창작뮤지컬 마의 태자 2017.07.30 스튜디오극장
해방의 서울 2017.07.31 우리동네극장
음악극 봄.봄 2017.07.31 성벽극장
해와 달이 된 오누이 2017.07.31 숲의극장
플라나리아 2017.07.31 스튜디오극장
창작뮤지컬 마의 태자 2017.07.31 스튜디오극장
서푼짜리 오페라 2017.08.01 숲의극장
위대한 놀이 2017.08.01 우리동네극장
PARADE 2017.08.01 스튜디오극장
인간대포쇼 2017.08.01 스튜디오극장
서푼짜리 오페라 2017.08.02 숲의극장
위대한 놀이 2017.08.02 우리동네극장
PARADE 2017.08.02 스튜디오극장
인간대포쇼 2017.08.02 스튜디오극장
국악극 대청여관 2017.08.03 성벽극장
한여름 밤의 꿈 2017.08.03 숲의극장
오버코트 2017.08.03 우리동네극장
인人.식食 2017.08.03 스튜디오극장
황혼의 노래 2017.08.03 스튜디오극장
국악극 대청여관 2017.08.04 성벽극장
한여름 밤의 꿈 2017.08.04 숲의 극장
오버코트 2017.08.04 우리동네극장
인人.식食 2017.08.04 스튜디오극장
황혼의 노래 2017.08.04 스튜디오극장
하모니카 2017.08.05 스튜디오극장
앤 ANNE 2017.08.05 우리동네극장
들개의 기억 2017.08.05 스튜디오극장
하모니카 2017.08.06 스튜디오극
앤 ANNE 2017.08.06 우리동네극장
들개의 기억 2017.08.06 스튜디오극장

관련사진

  • 밀양연극촌 입구와 성벽극장

밀양연극촌2.PNG 밀양연극촌3.PNG

오구공연.jpg 오구공연2.PNG

지도와 연락처

찾아가는 방법

주소 경상남도 밀양시 부북면 가산리 78-2

지도를 불러오는 중...

교통정보

자차 이용시

- 서울,대전, 대구 : 경부고속도로-동대구JCT - 신대구부산고속도록- 밀양IC

- 부산 : 신대구부산고속도록 - 남밀양IC

- 마산, 창원 : 동창원IC-대구방향 25번국도 20분 - 밀양

- 울산 : 언양방향 24번국도 - 가지산 터널지나 20분 - 밀양

- 밀양연극촌 : 밀양시청 앞 신촌오거리에서 창년방향 24번 국도 5분


기차 이용시

- 경부선 KTX, 새마을, 무궁화호 열차 20분 간격 밀양역하차

- 밀양연극촌 : 밀양역 시내버스 정류장에서 밀양연극촌 셔틀버스 이용(1시간 간격) ※택시이용시 10,000원


시외버스 이용시

- 부산, 마산방면 시외버스 40분 ~ 1시간 간격으로 운영

- 밀양연극촌 : 밀양연극촌 셔틀버스 이용(영남병원 맞은편 버스정류장 정차) ※택시이용시 6,000원


연락처

055-355-2308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밀양연극촌 한여름 밤의 꿈 A에서 B가 공연되었다.
밀양연극촌 아리랑 A에 B가 공연되었다.
밀양연극촌 오구 A에서 B가 공연되었다.
밀양연극촌 연희단거리패 A에 B가 자리잡았다.

참고

밀양연극촌 사이트

네이버 플레이스

블로그 사진

작성자 및 기여자

  • 작성자 : 조유경
  • 기여자 : 김민중, 김진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