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1791312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6월 7일 (화) 23:39 판 (생애)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요

이상(李箱, 1910년 9월 23일 ~ 1937년 4월 17일)은 일제 강점기의 시인, 작가, 소설가, 수필가, 건축가로 일제 강점기 한국의 대표적인 모더니즘 작가이다. 1930년대 한국 자의식 문학의 선구자로, 그의 작품에서는 근대적 도시풍경과 지식인의 내면의식을 살펴볼 수 있다. 대표 작품은 『오감도』와 『날개』가 있다.

생애

출생과 학창시절

김해경('이상'의 본명)은 어려운 집안 사정으로 태어나자마자 큰아버지 김연필의 집에 장손으로 입양되었다. 우수한 성적과 더불어 그림에 재능까지 있었던 그는 학창 시절에 그림에 꿈을 품고 있었다. 하지만 큰아버지의 반대로 인해 보성고등보통학교를 거쳐 경성고등공업학교 건축과를 수석으로 졸업하면서 조선총독부 내무국 건축과의 기수가 되었는데, 졸업 앨범에서 필명인 '이상(李箱)'이라는 이름을 처음으로 사용했다고 한다.

문학계 데뷔와 활동

1930년 들어 건강이 안 좋아진 그는 방황하다 서울에 자리 잡게 되었고, 조선지에 장편 소설 '12월 12일'을 연재하면서 데뷔하게 되었다. 1934년, 대표작인 '오감도'를 조선중앙일보에 연재하지만, 당시 독자들의 항의와 비난으로 연재를 중단하기에 이른다. 1935년, 연인과 결별하고 운영하던 다방도 경영난으로 폐업하면서 새로운 일자리를 얻게 되었고, 1936년, 단편소설 '날개'로 인정을 받으며 자신감을 얻게 된다.

동경 유학과 사망

문학계에서의 활동에도 다방 운영 실패로 인해 그의 현실은 좀처럼 나아지지 않았다. 1936년, 전부터 알고 지내던 변동림과의 결혼 후, 많은 것들을 뒤로한 채 무작정 동경으로 떠났으나, 생각과 다른 동경에 실망해 폐결핵이 악화되었고, 환멸감을 느껴 자괴감에 시달리게 되었다. 이후 얼마 지나지 않아 불령선인(사상혐의)으로 동경 니시간다 경찰서에 구금되게 되는데, 폐병이 더 악화되어 1937년 4월, 동경의 병원에서 27세라는 젊은 나이로 숨을 거두게 된다.

작품

  • 소설
    • 12월 12일(1930)
    • 지도의 암실(1932.3)
    • 휴업과 사정(1932.4)
    • 지팽이 역사(1934)
    • 날개(1936.9)
    • 지주회시(1936.2)
    • 봉별기(1936.12)
    • 동해(1937)
    • 종생기(1937)
    • 환시기(1938.6.유고)
    • 실화(1939.3.유고)
    • 이상한 가역반응(1931.7)
    • 파편의 가치(1931.7)
    • ▽의 유희(1931.7)
    • 수염(1931.7)
    • BOITEUX - BOITEUSE(1931.7)
    • 공복(1931.7)
    • 조감도(1931.8)
    • 삼차각설계도(1931.10)
    • 건축무한육면각체(1932.7)
    • 꽃나무(1933)
    • 이런시(1933)
    • 一九三三, 六, 一(1933)
    • 거울(1933)
    • 오감도(1934)
    • 보통기념(1934)
    • ㆍ소ㆍ영ㆍ위ㆍ제(1934)
    • 정식(1935)
    • 지비(1935)
    • 역단(1936.2)
    • 위독(1936.10)
    • I WED A TOY BRIDE(1936.10)
    • 파첩(1937.11.유고)
    • 무제(1938.10.유고)
    • 척각(1956.유고)
    • 거리(1956.유고)
    • 수인이 만든 소정원(1956.유고)
    • 육친의 장(1956.유고)
    • 내과(1956.유고)
    • 골편에 관한 무제(1956.유고)
    • 가구의 추위(1956.유고)
    • 아침(1956.유고)
    • 최후(1956.유고)
  • 수필
    • 혈서삼태(1934)
    • 산책의 가을(1934)
    • 문학을 버리고 문화를 상상할 수 없다(1935)
    • 산촌여정(1935)
    • 조춘점묘(1936.2)
    • 서망율도(1936.2)
    • 여상(1936.2)
    • 악수(1936.7)
    • EPIGRAM(1936.8)
    • 동생 옥희 보아라(1936.9)
    • 추등잡필(1936.10)
    • 19세기식(1937)
    • 공포의 기록(1937)
    • 권태(1937)
    • 슬픈이야기(1937.6.유고)
    • 문학과 정치(1938.7.유고)
    • 실낙원(1939.2.유고)
    • 병상이후(1939.5.동경)
    • 최저낙원(1939.5.동경)
    • 동경(1939.5.동경)
  • 미술
    • 자상(1931.6)
    •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연재 삽화(1934)
  • 편집
    • 시와 소설 창간호(1936)

작품 세계

기타

2차 창작

공연

  • 뮤지컬
스모크
- 더블케이필름앤씨어터에서 제작한 창작 뮤지컬로, 이상의 시 '오감도 제 15호'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되었다고 한다. 날개, 거울 등 이상의 작품이 대사, 가사로 인용되어 있다.
팬레터
- (주)라이브에서 제작한 창작 뮤지컬로, 이상을 모티브로 한 '이윤'이라는 인물이 등장한다.
꾿빠이, 이상
- 서울예술단에서 제작한 창작 가무극으로, '꾿빠이, 이상'이라는 소설을 원작으로 제작되었다.


  • 연극
주인공 천재 작가 이상을 통해서 현대인의 무력감과 외로움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도서

꾿빠이, 이상
- 김연수 소설가의 작품으로, 천재시인 이상의 유품인 '데드마스크'에 대한 진위를 중심으로 이상의 삶과 죽음에 얽힌 수수께끼를 풀어나가는 내용이다.
경성 탐정 이상 시리즈
- 김재희 소설가의 시리즈 작품으로, 1930년대 경성을 배경으로 이상을 주인공으로 한 탐정 소설이다.

매체

  • 드라마
이상 작가의 이야기를 담은 시대극 드라마이다. 배우 조승우가 '이상'을 연기하였다.


  • 영화
이상의 날개
- 이상의 자서전적 단편소설인‘날개를 영화화한 작품이다. 이상의 삶을 소재로 한 영화이지만 통상의 전기 영화처럼 그저 이상의 생애를 따라가기보다 그의 실존적 고뇌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영화이다.
건축무한육면각체의 비밀
- 이상의 ‘건축무한육면각체’의 비밀을 푸는 내용을 다룬 미스터리 영화이다.

이상의 집

이상이 3살부터 약 20여년 간 머물렀던 집터의 일부이며,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위치해 있다. 시민들에게 개방된 공간으로 10시부터 18시까지(점심시간 13시~14시 제외) 자유롭게 드나들며 도서를 자유롭게 읽을 수도 있다. 그곳에 비치된 도서는 모두 이상과 관련된 도서이다. 또한, 이상에게 헌정된 공간인 '이상의 방'이 있다.


이상의 집.jpg 이상의 집2.jpg


지도를 불러오는 중...

RDF 및 네트워크 그래프




참고자료

기여자

4222

이름 학번
박수빈 2111199
이경남 2111181
장성현 2111110
최민우 1791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