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산과 의열단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서연 (토론 | 기여)님의 2019년 6월 15일 (토) 02:49 판 (작품 특징)
이동: 둘러보기, 검색


약산과 의열단


개요

약산과 의열단』의 저자 박태원

약산과 의열단』은 일제강점기 적극적인 항일투쟁을 벌였던 약산 김원봉의 구술 증언을 토대로 집필되었다. 당시 최고의 작가로 꼽히던 박태원김원봉을 인터뷰하고, 의열단원들의 편지나 신문자료 등을 참고해서 정리하여 해방 후 출간한 현대 장편소설이다. 부제는 김원봉의 항일투쟁 암살보고서이며, 총 16장으로 구성되어 있고 항일독립운동의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약산과 의열단』은 김원봉의열단을 조직한 배경과 의열단이 펼치는 암살 파괴 활동이 중점적으로 다루어진다. 1919년 11월 10일 의열단이 탄생하는 순간부터 1926년 나석주 의사의 동양척식주식회사 투탄 의거까지 해방 투사들의 거친 숨결이 들리고 피와 땀의 냄새가 전해진다. 부산경찰서, 밀양경찰서, 조선총독부 폭탄 사건 등 이러한 의열단의 여러 활약이 <동아일보>의 신문 기사를 통해 후일담 형식으로 소개되었다.

이 책은 국내 독립운동가들뿐만 아니라 상해 황포탄 의거에서 아내를 의열단의 총탄에 잃었지만 체포된 의열단원을 면회해 위로하며 응원하는 영국 청년, 폭탄제조전문가로 의열단과 함께 활동한 헝가리 청년, 그리고 수많은 중국인 의열단 지지자들의 음양에 걸친 지원 등 의열단 투쟁에 함께 한 외국인들의 이야기들도 감동적으로 담겨 있다.

줄거리

약산 김원봉

약산 김원봉은 1898년 3월 13일 경남 밀양의 한 농가에서 태어난다. 동화중학에 다니던 그는 일제에 의해 학교가 폐쇄되자 서울로 간다. 배일사상이 남다른 김원봉은 여행 중 자신과 뜻을 같이한 동지들을 만나게 된다.

세월이 지나 18세가 된 김원봉은 무력만이 조국의 독립을 실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김약수, 이여성과 함께 중국 남경으로 간다. 중국에서 동지들과 국사를 논하던 중 김원봉3ㆍ1 운동 소식을 듣고 기뻐한다. 그러나 비폭력 항쟁인 3ㆍ1 운동이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끝나자 실망한다. 그는 무기 없는 투쟁으로 일본을 축출할 수 있을지 고민한 끝에 무력항쟁이 필요하다는 생각을 굳힌다.

조선으로 돌아가 독립운동을 하겠다는 김약수, 이여성과 달리 김원봉은 그들과 헤어져 홀로 중국에 남는다. 그는 새로 알게된 13명의 동지와 함께 의열단을 조직하고 단장으로 추대된다. 김원봉의열단은 암살 파괴 운동을 개시하지만 사전에 계획이 노출되어 실패한다. 김원봉의열단은 이에 굴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암살 파괴를 계획한 끝에 부산경찰서, 밀양경찰서, 조선총독부 등을 차례로 폭파한다. 결과적으로 보면 성공한 것은 일부이고, 대부분은 실패하거나 실행 이전에 발각되었다. 그럼에도 이들은 포기하지 않은 채 중국에 거점을 두고 조선에 드나들면서 민중을 대상으로 자주적인 독립의지를 고취시킨다. 결국 7년에 걸쳐 김원봉의열단은 일제의 주요 기관과 고위 간부 등을 대상으로 수백 건의 암살 파괴를 성공시키게 된다.

주요 등장인물

작품 특징

약산과 의열단』은 문학적 표현력뿐만 아니라 해방운동에 대한 통찰력을 갖춘 박태원으로 인해 의열단 투쟁의 의의뿐만 아니라 한계 또한 객관적인 서술을 통하여 드러내고 있다.


문학적 표현력뿐만 아니라 해방운동에 대한 통찰력을 갖춘 박태원은 의열단 투쟁의 의의뿐만 아니라 한계도 드러낸다. 그는 김원봉이 1926년 이후 의열단 활동을 접고 조선의용대라는 ‘조직적’ 무력투쟁으로 나아간 것이 독립운동사에서 얼마나 중요한 전략적 전환이었는가를 이 책의 마지막 에피소드를 통해 극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이런 영향인지 해방 후인 1947년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로 유명한 박태원은 『약산과 의열단』이라는 책을 내 김원봉을 조명했는데 1920년대 활동만 비중 있게 다뤄집니다.

연구 결과물

관련 콘텐츠

  • 박태원 작가가 집필한 『약산과 의열단』과 관련되거나 내용을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콘텐츠 몇 가지를 소개하고자 한다.

1. 약산과 의열단

약산과의열단.jpg

  • 1947년에 발간되었던 박태원 작가의 『약산과 의열단』 도서를 2015년에 출판된 버전으로 만나볼 수 있다.
  • 서지정보 : 박태원, 『약산과 의열단』, (2015), 깊은샘, 285p.


목차
제목 시작 페이지
제 1장 어린 시절 9p
제 2장 해외로 나가서 21p
제 3장 의열단 탄생 36p
제 4장 제1차 암살파괴계획 43p
제 5장 부산경찰서 폭탄사건 57p
제 6장 밀양경찰서 폭탄사건 67p
제 7장 조선총독부 폭탄사건 73p
제 8장 상해황포탄사건 99p
제 9장 제2차 대암살 파괴계획 123p
제 10장 동경 2중교 폭탄사건 185p
제 11장 제3차 폭동계획 221p
제 12장 북경 밀정 암살사건(1) 226p
제 13장 북경 밀정 암살사건(2) 241p
제 14장 경북 의열단 사건 245p
제 15장 식은·동척 습격사건 252p
제 16장 잊히지 않는 동지들 270p


영화

1. 암살

  • 영화 '암살' 중 약산 김원봉과 관련된 하이라이트 영상
  • 영화정보 : 감독 최종훈. 개봉 2015년. 관람연령 등급 15세. 상영시간 139분. 대표 출연진 전지현, 이정재, 하정우
  • 김원봉 역 : 배우 조승우


2. 밀정

  • 영화 '밀정' 중 약산 김원봉과 관련된 하이라이트 영상
  • 영화정보 : 감독 김지운. 개봉 2016년. 관람연령 등급 15세. 상영시간 140분. 대표 출연진 송강호, 공유, 한지민
  • 정채산 역 : 배우 이병헌
  • 극중 정채산은 김원봉을 모티브로 한 인물.


기타 동영상 자료

1. 지식채널 E

  • 약산과 의열단』의 주인공이자 항일비밀 결사조직 의열단을 이끈 20대 젊은 청년 김원봉의 활동에 대해 집약적으로 알 수 있는 동영상 자료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주어(S) 목적어(O) A는 B를 ~하다(P)

참고문헌

  • 송하춘. (2013). 한국현대장편소설사전 1917-1950.

작성자 및 기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