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재삼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정민(1911191)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6월 26일 (금) 16:47 판 (새 문서: =='''요약'''== <onlyinclude> {|class="metadata" style="background:#ffd480; width:320px; margin: 5px 5px 5px 5px;" cellspacing="10" align="right" |- ! colspan="2" style="background:...)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요약

1933년 4월 10일 일본 도쿄에서 출생하여 3살 때, 어머니의 고향인 경남 삼천포시 서금동 72번지로 이주하여 성장했다. 박재삼 시인의 아버지는 지게 노동으로, 어머니는 생선 행상으로 가족을 부양하였다고 한다. 1948년 교내신문 “삼중(三中)” 창간호에 동요 ‘강아지’, 시조‘해인사’를 발표했다. 1954년 은사 김상옥의 소개로 현대문학사에 취직, 1955년 고려대학교 국문학과에 입학했다.

제2회 현대문학신인상, 한국시인협회상, 노산문학상, 한국문학작가상, 인촌상 등을 수상했다 1953년에 시 「강물에서」가 모윤숙에 의해 『문예』에서 추천되고, 1955년 시 「정적(靜寂)」이 서정주에 의해 『현대문학』에 추천되었으며, 같은 해 시조 「섭리(攝理)」가 유치환에 의해 『현대문학』에 추천되어 문단에 데뷔했다. 1955년에 『현대문학』 창간과 함께 편집 사원으로 입사했다.

1957년에 대학을 중퇴하고(3학년), 1958년 육군에 입대하여 1년 6개월 근무하고 예비역으로 편입되었다. 1961년에는 구자운, 박성룡, 박희진, 성찬경 등과 함께 '1960년대 사화집(詞華集)' 동인으로 참여했다. 1962년에 첫 시집 '춘향이 마음'을 출간했다. 1963년 '문학춘추' 창간에 참여하여 1년 동안 근무하였다. 이어서 1965년 '대한일보' 기자로 입사하여 3년간 근무하다 35세이던 1967년 고혈압으로 쓰러져 6개월가량 입원했다. 한동안 반신불수, 언어마비로 고생하였다. 그 후 대한일보를 퇴사했다가 1969년 삼성출판사에 입사하였다.

1962년 첫 시집 『춘향이 마음』을 간행한 이래 시집 『햇빛 속에서』(1970), 『천년의 바람』(1975), 『어린 것들 옆에서』(1976), 『추억에서』(1983), 『아득하면 되리라』(1984), 『내 사랑은』(1985), 『대관령 근처』(1985), 『찬란한 미지수』(1986), 『바다 위 별들이 하는 짓』(1987), 『박재삼 시집』(1987), 『사랑이여』(1987), 『울음이 타는 가을 강』(1987), 『다시 그리움으로』(1996), 『사랑하는 사람을 남기고』(1997) 등 다수의 시집과 시 선집을 간행하였다. 수필집으로는 『울밑에 선 봉선화』(1986), 『아름다운 삶의 무늬』(1987), 『슬픔과 허무의 그 바다』(1989) 등이 있다.

1986년부터 1987년까지 공연윤리위원회 가요음반심의위원도 역임한 바 있다. 1987년 12월 통일민주당 문화예술정책자문위원 1993년 7월 한겨레문학 초대편집위원 1994년 3월 한국시인협회 기획위원장 1997년 6월 8일 지병인 고혈압, 만성신부전으로 향년 64세에 타계했다. 슬하에 1녀 2남을 두었다.

그의 시 세계는 시 「춘향이 마음」(1956)과 「울음이 타는 가을 강」(1959) 등으로 대표되는데, 그는 이런 시들을 통해 한국 서정시의 전통적 음색을 재현하면서 소박한 일상 생활과 자연에서 소재를 찾아 애련하고 섬세한 가락을 노래했다.

그는 “누님의 치맛살 곁에 앉아/ 누님의 슬픔을 나누지 못하는 심심한 때는/ 골목을 빠져 나와 바닷가에 서자”(「밤바다에서」 1연)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슬픔이라는 삶의 근원적인 정서에 한국적 정한의 세계를 절제된 가락으로 실어, 그 속에서 삶의 예지와 감동을 전해주고 있다. 그의 시에 있어서 자연이란, 삶의 이치를 완벽하게 구현하고 있음으로써 영원하고 지순한 아름다움을 보여주는 세계이다.

그는 그 자연에 의지하여 위로와 지혜를 얻지만, 때로는 자연의 완벽한 아름다움과 인간과의 거리 때문에 절망하기도 한다. 박재삼의 시는 1950년대의 주류이던 모더니즘 시의 관념적이고 이국적인 정취와는 달리 한국어에 대한 친화력과 재래적인 정서에 대한 강한 애착을 보여 주어, 전후 전통적인 서정시의 한 절정을 이룬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그의 시에서 볼 수 있는, 독특한 구어체의 어조와 잘 조율된 율격은, 그의 시의 아름다움과 자연스러움을 보장하는 장치라고 할 수 있다.

작가 기본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