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치상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작성자)
(관련문항)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4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4번째 줄: 4번째 줄:
 
! colspan="2" style="background:#3ca9a9; color:#ffffff; font-size:130%; text-align:center;" | '''흑치상지'''
 
! colspan="2" style="background:#3ca9a9; color:#ffffff; font-size:130%; text-align:center;" | '''흑치상지'''
 
|-
 
|-
|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 [[]]
+
|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 [[파일:흑치상지1.png|400px]]
 
|-  
 
|-  
 
| style="width:80px; text-align:center;" |'''작품명''' || [[흑치상지]]
 
| style="width:80px; text-align:center;" |'''작품명''' || [[흑치상지]]
15번째 줄: 15번째 줄:
 
</onlyinclude>
 
</onlyinclude>
  
[목차]
 
  
 
== '''[[현진건]]의 장편 소설''' ==
 
== '''[[현진건]]의 장편 소설''' ==
 
=== 소개 ===
 
=== 소개 ===
 
+
[[현진건]]이 [[동아일보]]에서 1939년 10월 25일 부터 1940년 1월 16일까지 52회 연재하고 중단한 미완성소설이다.
 
+
[[흑치상지]]는 어려움에 처한 일제강점기 시대의 잔혹한 현실을 과거 백제의 장수 [[흑치상지]]를 표현하며 민족의 저항을 표현하는 역사소설이다. [[흑치상지]]라는 백제의 영웅적인 장수를 통해서 민족의 저항과 부흥을 암시하는 뜻을 품고 있다.
[[현진건]]이 [[동아일보]]에서 1939년 10월 25일 부터 1940년 1월 16일까지 연재한 미완성소설이다.
 
 
 
[[흑치상지]]는 어려움에 처한 일제강점기 시대의 잔혹한 현실을 과거 백제의 장수 흑치상지를 표현하며 민족의 저항을 표현하는 역사소설이다. 흑치상지라는 백제의 영웅적인 장수를 통해서 민족의 저항과 부흥을 암시하는 뜻을 품고 있다.
 
  
 
=== 내용 ===
 
=== 내용 ===
  
이 작품의 서두에서는 백제 수도가 함락된 후 당나라의 군대에 의해 수난을 겪는 백제 유민들의 서러움을 표현하고있다. 그리고 여기에는 나라를 팔아먹고 개인의 보신을 택한 간신, 배신자들을 통해서 국가의 붕괴와 공동체의 타락을 나타내고 있다.
+
이 작품의 서두에서는 백제 수도가 함락된 후 당나라의 군대에 의해 수난을 겪는 백제 유민들의 서러움을 표현하고있다. 그리고 여기에는 나라를 팔아먹고 개인의 보신을 택한 간신, 배신자들을 통해서 국가의 붕괴와 공동체의 타락을 나타내고 있다.
 
+
여기에서 등장한 영웅적인 인물인 백제 장수 [[흑치상지]]가 등장하여 당나라 군대를 물리치고 유민들을 돌보며 공동체를 수습한다. 이후에 밀려오는 당나라 군대와의 싸움을 대비하여 개심한 공동체 일원이 [[흑치상지]]에게 도움을 주기도 한다.  
여기에서 등장한 영웅적인 인물인 백제 장수 [[흑치상지]]가 등장하여 당나라 군대를 물리치고 유민들을 돌보며 공동체를 수습한다. 이후에 밀려오는 당나라 군대와의 싸움을 대비하여 개심한 공동체 일원이 흑치상지에게 도움을 주기도 한다.  
+
그 도움으로 싸움에서 승리한 다음에 소설은 중단되었다.
 
 
그 도움으로 싸움에서 승리한 다음에 소설은 중단되었다.
 
  
 
=== 의의와 평가 ===
 
=== 의의와 평가 ===
『흑치상지』는 민족의 붕괴와 재건 노력을 통하여 식민화된 현실에 저항하려는 현진건의 의도가 드러나는 작품이다. 이때 현진건이 선택한 백제사는 식민지 현실에서 훼손된 민족 정체성의 회복 가능성을 보존하는 시공간이라 할 수 있다.
 
 
여기서 흑치상지는 외세의 침략으로 위기에 빠진 민족을 구원하는 공동체의 중심인 동시에, 민중들의 국권 회복 의지를 대변하는 영웅으로 등장한다. 창화 부인이 흑치상지의 인품에 반하여 요부의 이미지에서 자발적으로 벗어나게 되는 과정도 흑치상지가 지닌 민족 구원의 영웅상을 드러내는 장치라 할 수 있다.
 
  
또한 작가는 의도적으로 백제 멸망에 대한 원한을 신라가 아닌 당나라에만 돌리고 있다. 이러한 내용은 역사적 사실과는 어긋나지만, 국가 붕괴의 원인이 분열된 내부가 아니라 외부의 강압에 의한 것임을 강조하여 민족적 화합을 내세우려는 전략으로 볼 수 있다.
+
백제의 멸망과 이후 백제 유민들의 저항을 표현해서, [[일제강점기]] 시대 조선의 상황과 항일투쟁을 암시적으로 표현한 민족의식이 담긴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
나라를 잃은 백제 유민들의 슬픔을 사실적으로 표현해내면 일제의 반발을 사서 조선총독부 경무국에 의해서 연재가 강제로 중단되었다
  
즉 이 작품은 역사적 인물인 흑치상지를 통해 민족주의 이념과 국권 회복 의지를 고취하려는 역사소설이다. 그런 까닭에 흔히「흑치상지」는 20세기 초반 역사ㆍ전기 문학이 익숙하게 재현하는 구국 영웅의 계보에 속한다고 평가되기도 한다.
+
== '''관련문항''' ==
 
 
== 관련문항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51번째 줄: 41번째 줄:
 
| [[흑치상지]] || [[1939년]] || A는 B에 연재되었다. ||
 
| [[흑치상지]] || [[1939년]] || A는 B에 연재되었다. ||
 
|-
 
|-
| [[흑치상지]] || [[일제강점기]] || A는 B에 작성되었다. ||
+
| [[흑치상지]] || [[일제강점기]] || A는 B에 저술되었다. ||
 
|-
 
|-
 
| [[흑치상지]] || [[역사소설]] || A는 B에 해당된다. ||
 
| [[흑치상지]] || [[역사소설]] || A는 B에 해당된다. ||
58번째 줄: 48번째 줄:
 
|-
 
|-
 
| [[흑치상지]] || [[동아일보]] || A는 B에 연재되었다. ||       
 
| [[흑치상지]] || [[동아일보]] || A는 B에 연재되었다. ||       
 +
|-
 +
| [[현진건]] || [[일제강점기]] || A는 B에 살았다. || 
 
|}
 
|}
  
 +
[[파일:흑치상지그래프.png]]
 +
 +
=='''관련 영상'''==
 +
[[흑치상지]]장수 에 관련된 역사 영상
 +
 +
<youtube>
 +
https://www.youtube.com/watch?v=j0SCz1YsHJc
 +
</youtube>
  
  
 +
==''참고 문헌, 사이트''==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2166303&cid=60556&categoryId=60556 네이버 지식백과 - 흑치상지]
  
 
== '''''작성자''''' ==
 
== '''''작성자''''' ==
77번째 줄: 79번째 줄:
 
[[분류:역사소설]]
 
[[분류:역사소설]]
 
[[분류:동아일보]]
 
[[분류:동아일보]]
 +
[[분류:A+]]

2019년 6월 16일 (일) 22:36 기준 최신판


현진건의 장편 소설

소개

현진건동아일보에서 1939년 10월 25일 부터 1940년 1월 16일까지 52회 연재하고 중단한 미완성소설이다.
흑치상지는 어려움에 처한 일제강점기 시대의 잔혹한 현실을 과거 백제의 장수 흑치상지를 표현하며 민족의 저항을 표현하는 역사소설이다. 흑치상지라는 백제의 영웅적인 장수를 통해서 민족의 저항과 부흥을 암시하는 뜻을 품고 있다.

내용

이 작품의 서두에서는 백제 수도가 함락된 후 당나라의 군대에 의해 수난을 겪는 백제 유민들의 서러움을 표현하고있다. 그리고 여기에는 나라를 팔아먹고 개인의 보신을 택한 간신, 배신자들을 통해서 국가의 붕괴와 공동체의 타락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 등장한 영웅적인 인물인 백제 장수 흑치상지가 등장하여 당나라 군대를 물리치고 유민들을 돌보며 공동체를 수습한다. 이후에 밀려오는 당나라 군대와의 싸움을 대비하여 개심한 공동체 일원이 흑치상지에게 도움을 주기도 한다. 
그 도움으로 싸움에서 승리한 다음에 소설은 중단되었다.

의의와 평가

백제의 멸망과 이후 백제 유민들의 저항을 표현해서, 일제강점기 시대 조선의 상황과 항일투쟁을 암시적으로 표현한 민족의식이 담긴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나라를 잃은 백제 유민들의 슬픔을 사실적으로 표현해내면 일제의 반발을 사서 조선총독부 경무국에 의해서 연재가 강제로 중단되었다

관련문항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흑치상지 현진건 A는 B에 의해 저술되었다.
흑치상지 1939년 A는 B에 연재되었다.
흑치상지 일제강점기 A는 B에 저술되었다.
흑치상지 역사소설 A는 B에 해당된다.
흑치상지 미완성 작품 A는 B에 해당된다.
흑치상지 동아일보 A는 B에 연재되었다.
현진건 일제강점기 A는 B에 살았다.

흑치상지그래프.png

관련 영상

흑치상지장수 에 관련된 역사 영상


참고 문헌, 사이트

네이버 지식백과 - 흑치상지

작성자

작성자:진근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