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 기린형뚜껑 향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소개)
3번째 줄: 3번째 줄:
 
Celadon Incense Burner with Girin-shaped Lid
 
Celadon Incense Burner with Girin-shaped Lid
  
[[파일:청자 기린형뚜껑 향로.jpg]]
+
===소개===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이름''' || 청자 기린형뚜껑 향로
 +
|-
 +
|'''지정유형''' || [[국보]]
 +
|-
 +
|'''종류''' || [[유물]] / [[생활공예]] / [[토도자공예]] / [[청자]]
 +
|-
 +
|'''지정일'''|| 1962.12.20
 +
|-
 +
|'''수량'''|| 1개
 +
|-
 +
|'''시대'''|| [[고려시대]](12세기)
 +
|}
 +
 
 +
----
 +
 
 +
===내용===
 +
 
 +
고려청자의 전성기인 12세기경에 만들어진 청자향로로 높이는 20㎝이다. 향을 피우는 부분인 몸체와 상상속의 동물인 기린이 꿇어 앉아있는 모습을 한 뚜껑으로 구성되어 있다.
 +
 
 +
몸체는 윗부분이 넓게 바깥쪽으로 벌어져 있고 짐승모양을 한 3개의 다리가 떠받치고 있다. 몸통에는 구름무늬가 장식되었고 윗면 가장자리에도 세 곳에 구름무늬가 배치되었으며, 그 위에 뚜껑을 덮도록 하였다. 뚜껑 한복판에는 뒤를 돌아보고 있는 기린이 조각되어 있고, 기린이 앉아있는 자리의 옆면에는 번개무늬가 돌아가며 음각되었다. 기린의 머리에는 뿔이 돋아있으나 부러져 있는 상태이고, 목뒤의 부분은 곱슬곱슬하게 표현하였다. 눈은 검은색 안료를 사용해 점을 찍었다. 구조상 향의 연기는 벌려진 기린의 입을 통하여 뿜어 나오도록 만들어졌다.
  
==소개==
+
비취색 특유의 은은한 광택이 향로 전체를 품위있게 감싸고 있다.12세기에 비취색의 청자가 절정에 달하였을 때, 이와 같이 상서로운 동물이나 식물을 본뜬 상형청자가 많이 만들어졌다.
  
'''지정유형'''  국보
+
출처 : 문화제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종류'''  유물/공예/생활공예/[http://dh.aks.ac.kr/~heritage/wiki/index.php/%ED%86%A0%EB%8F%84%EC%9E%90_%EA%B3%B5%EC%98%88%EB%A5%98 토도자공예]/청자
+
----
  
'''수량/면적'''  1개
+
===소재===
  
'''지정(등록)일''' 1962.12.20
+
'''소재지'''
  
'''소재지'''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 102-11 (성북동, 간송미술관)
+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 102-11 (성북동, 간송미술관)
  
 
<div>
 
<div>
30번째 줄: 52번째 줄:
 
</div>
 
</div>
  
'''시대'''  [https://ko.wikipedia.org/wiki/%EA%B3%A0%EB%A0%A4%EC%9D%98_%EC%97%AD%EC%82%AC 고려시대](12세기)
 
  
'''시기''' 미상
+
'''소유자(소유단체)'''
  
'''소유자(소유단체)'''  전***
+
전***
  
'''관리자(관리단체)''' [https://ko.wikipedia.org/wiki/%EA%B0%84%EC%86%A1%EB%AF%B8%EC%88%A0%EA%B4%80 간송미술관]
+
'''관리자(관리단체)'''
  
 +
간송미술관
  
 
----
 
----
  
 +
===관련자료===
 +
 +
'''사진자료'''
 +
 +
청자 기린형뚜껑 향로
  
 +
[[파일:청자 기린형뚜껑 향로.jpg]]
  
12세기경에 만들어진 높이 20㎝의 청자향로다. 향을 피우는 부분인 몸체와 기린이 꿇어 앉아있는 모습을 한 뚜껑으로 이루어져 있다.
+
출처: 문화제청 국가문화유산 포털
몸체의 윗부분은 넓게 퍼져 있고 3개의 다리가 몸체를 떠받치고 있다. 몸통과 윗면 가장자리에 구름무늬가 있다. 뚜껑 가운데에는 뒤를 돌아보고 있는 기린이 조각되어 있고, 기린의 옆면에는 번개무늬가 있다. 기린의 머리에는 부러져 있는 뿔이 있는 상태이고, 목뒤의 부분도 잘 표현되였다. 향의 연기는 기린의 입을 통하여 나오도록 만들어졌다.
 
비취색 특유의 은은한 광택이 향로 전체를 감싸며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형성하고 있다. 1962년 12월 20일 국보로 지정되었다.
 
  
 +
'''영상자료'''
  
 +
청자 상감기법
  
----
+
<youtube>i-mTtSK4Srs</youtube>
  
[https://www.heritage.go.kr/main/?v=1667469626280 문화제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문서자료'''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s_kdcd=&s_ctcd=11&ccbaKdcd=11&ccbaAsno=00650000&ccbaCtcd=11&ccbaCpno=1111100650000&ccbaLcto=16&culPageNo=1&header=region&pageNo=1_1_3_0&returnUrl=%2Fheri%2Fcul%2FculSelectRegionList.do&assetnamel= 문화제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우리지역 문화재 청자 기린형 뚜껑 향로]
+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1_1_1_1&ccbaCpno=1111100650000 문화제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청자 기린형뚜껑 향로]
  
  

2022년 11월 26일 (토) 16:34 판

청자 기린형뚜껑 향로 (靑磁 麒麟形蓋 香爐)

Celadon Incense Burner with Girin-shaped Lid

소개

이름 청자 기린형뚜껑 향로
지정유형 국보
종류 유물 / 생활공예 / 토도자공예 / 청자
지정일 1962.12.20
수량 1개
시대 고려시대(12세기)

내용

고려청자의 전성기인 12세기경에 만들어진 청자향로로 높이는 20㎝이다. 향을 피우는 부분인 몸체와 상상속의 동물인 기린이 꿇어 앉아있는 모습을 한 뚜껑으로 구성되어 있다.

몸체는 윗부분이 넓게 바깥쪽으로 벌어져 있고 짐승모양을 한 3개의 다리가 떠받치고 있다. 몸통에는 구름무늬가 장식되었고 윗면 가장자리에도 세 곳에 구름무늬가 배치되었으며, 그 위에 뚜껑을 덮도록 하였다. 뚜껑 한복판에는 뒤를 돌아보고 있는 기린이 조각되어 있고, 기린이 앉아있는 자리의 옆면에는 번개무늬가 돌아가며 음각되었다. 기린의 머리에는 뿔이 돋아있으나 부러져 있는 상태이고, 목뒤의 부분은 곱슬곱슬하게 표현하였다. 눈은 검은색 안료를 사용해 점을 찍었다. 구조상 향의 연기는 벌려진 기린의 입을 통하여 뿜어 나오도록 만들어졌다.

비취색 특유의 은은한 광택이 향로 전체를 품위있게 감싸고 있다.12세기에 비취색의 청자가 절정에 달하였을 때, 이와 같이 상서로운 동물이나 식물을 본뜬 상형청자가 많이 만들어졌다.

출처 : 문화제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소재

소재지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 102-11 (성북동, 간송미술관)

지도를 불러오는 중...


소유자(소유단체)

전***

관리자(관리단체)

간송미술관


관련자료

사진자료

청자 기린형뚜껑 향로

청자 기린형뚜껑 향로.jpg

출처: 문화제청 국가문화유산 포털

영상자료

청자 상감기법

문서자료

문화제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청자 기린형뚜껑 향로


작성자 및 기여자

디지털과 지식콘텐츠(22-2) 수업의 일환으로 작성.
작성자 김민종

선화봉사고려도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