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홍도 필 마상청앵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김홍도 필 마상청앵도.jpg|200px]]
 
[[파일:김홍도 필 마상청앵도.jpg|200px]]
  
사진: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사진:[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1_1_2_0&ccbaCpno=1121119700000#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이름||'''김홍도 필 마상청앵도'''
+
|이름||'''김홍도 필 마상청앵도(金弘道 筆 馬上聽鶯圖)'''
 +
|-
 +
|작가||'''[[김홍도]]'''
 
|-
 
|-
 
|지정유형||보물
 
|지정유형||보물
14번째 줄: 16번째 줄:
 
|수량/면적||1폭
 
|수량/면적||1폭
 
|-
 
|-
|분류||유물 / 일반회화 / 풍속화
+
|분류||유물/일반회화/[[풍속화]]
 
|-
 
|-
 
|관리자(관리단체)||[[간송미술문화재단]]
 
|관리자(관리단체)||[[간송미술문화재단]]
21번째 줄: 23번째 줄:
 
|}
 
|}
  
간송미술관이 보유하고 있는 18세기 화가 [[김홍도]](1745~1806 이후)의 회화. 2018.2.22.에 대한민국의 보물 제 1970호로 지정되었다.
+
간송미술관이 보유하고 있는 18세기 화가 단원 [[김홍도]](1745~1806 이후)의 회화. 2018.2.22.에 대한민국의 보물 제 1970호로 지정되었다.
  
 
='''작품 설명'''=
 
='''작품 설명'''=
 
조선의 풍속을 소재로 삼아 자연과 교감하는 인간의 세심한 모습을 서정성 깊게 표현한 작품이다.
 
조선의 풍속을 소재로 삼아 자연과 교감하는 인간의 세심한 모습을 서정성 깊게 표현한 작품이다.
시동(侍童)을 대동한 선비가 말을 타고 길을 가던 중 꾀꼬리 한 쌍이 노니는 소리에 말을 멈추고 시선을 돌려 버드나무 위의 꾀꼬리를 무심히 바라보는 모습을 그린 것. 조선 풍속화 중 가장 서정미가 뛰어난 작품으로 학술적, 예술적 가치가 높다.
+
 
 +
시동(侍童)을 대동한 선비가 말을 타고 길을 가던 중 꾀꼬리 한 쌍이 노니는 소리에 말을 멈추고 시선을 돌려 버드나무 위의 꾀꼬리를 무심히 바라보는 모습을 그린 것.
 +
조선 풍속화 중 가장 서정미가 뛰어난 작품으로 학술적, 예술적 가치가 높다.
 
=='''기법과 정서'''==
 
=='''기법과 정서'''==
인물 묘사에 사용된 섬세한 필선, 말과 마구에 사용된 부드러운 필법, 선비의 시선과 표정, 대담한 공간감 등이 잘 어우러져 김홍도 한국적인 정서가 잘 표출되었다.  
+
인물 묘사에 사용된 섬세한 필선, 말과 마구에 사용된 부드러운 필법, 선비의 시선과 표정, 대담한 공간감 등이 잘 어우러져 한국적인 정서가 잘 표출되었다.  
 
=='''역사성'''==
 
=='''역사성'''==
이 작품은 김홍도의 화면 위에 동료 화가였던 [[이인문]](李寅文, 1745~1824)의 시문이 쓰여 있어 두 사람의 교류를 알게 해 준다는 점에서 역사성이 높다.
+
이 작품은 [[김홍도]]의 화면 위에 동료 화가였던 [[이인문]](李寅文, 1745~1824)의 시문이 쓰여 있어 두 사람의 교류를 알게 해 준다는 점에서 역사성이 높다.
 +
 
 +
*그림의 서체가 단원 [[김홍도]]의 글씨이므로 직접 제발했을 것이라는 이야기가 있지만 [[이인문]]이 지은 시를 [[김홍도]]가 옮겨 적은 것으로 보는 것이 맞는 듯 하다.
 +
*[[김홍도]]와 [[이인문]]은 도화서의 동갑내기 친구로 오랜 시간 서로의 작품을 보며 교류하였다.
 +
*두 사람은 서로의 작품에 흔적을 남겨 서로의 우정과 예술의식을 고양시켰다. 이인문의 <[[송하담소도]]>에서 [[김홍도]]의 흔적을 찾을 수 있다.
 +
=='''관련 영상'''==
 +
<youtube>gSQvXHuUl3I</youtube>
 
=소재지=
 
=소재지=
'''간송미술관'''
+
'''[http://kansong.org/museum/ 간송미술관]'''
 
<div>
 
<div>
 
{{
 
{{
47번째 줄: 57번째 줄:
 
=미디어 위키=
 
=미디어 위키=
 
*[[김현희]]에 의해 작성된 페이지입니다.(2022.11.03.)
 
*[[김현희]]에 의해 작성된 페이지입니다.(2022.11.03.)
[[분류:보물]][[분류:김홍도]][[분류:유물]][[분류:일반회화]][[분류:풍속화]][[분류:조선시대]][[분류:18세기]][[분류:19세기]][[분류:성북동]][[분류:성북구의 문화재]][[분류:간송미술관]]
+
 
 +
=참고문헌=
 +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1_1_2_0&ccbaCpno=1121119700000#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s://7-luck.tistory.com/19 칠복선사]
 +
 
 +
[[분류:보물]][[분류:김홍도]][[분류:이인문]][[분류:유물]][[분류:일반회화]][[분류:풍속화]][[분류:조선시대]][[분류:18세기]][[분류:19세기]][[분류:성북동]][[분류:성북구의 문화재]][[분류:간송미술관]]

2022년 12월 7일 (수) 21:59 기준 최신판

김홍도 필 마상청앵도.jpg

사진: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이름 김홍도 필 마상청앵도(金弘道 筆 馬上聽鶯圖)
작가 김홍도
지정유형 보물
지정일 2018.02.22
소재지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 102-11 (성북동, 간송미술관)
수량/면적 1폭
분류 유물/일반회화/풍속화
관리자(관리단체) 간송미술문화재단
시대 조선시대, 18세기 말 ~ 19세기 초

간송미술관이 보유하고 있는 18세기 화가 단원 김홍도(1745~1806 이후)의 회화. 2018.2.22.에 대한민국의 보물 제 1970호로 지정되었다.

작품 설명

조선의 풍속을 소재로 삼아 자연과 교감하는 인간의 세심한 모습을 서정성 깊게 표현한 작품이다.

시동(侍童)을 대동한 선비가 말을 타고 길을 가던 중 꾀꼬리 한 쌍이 노니는 소리에 말을 멈추고 시선을 돌려 버드나무 위의 꾀꼬리를 무심히 바라보는 모습을 그린 것. 조선 풍속화 중 가장 서정미가 뛰어난 작품으로 학술적, 예술적 가치가 높다.

기법과 정서

인물 묘사에 사용된 섬세한 필선, 말과 마구에 사용된 부드러운 필법, 선비의 시선과 표정, 대담한 공간감 등이 잘 어우러져 한국적인 정서가 잘 표출되었다.

역사성

이 작품은 김홍도의 화면 위에 동료 화가였던 이인문(李寅文, 1745~1824)의 시문이 쓰여 있어 두 사람의 교류를 알게 해 준다는 점에서 역사성이 높다.

  • 그림의 서체가 단원 김홍도의 글씨이므로 직접 제발했을 것이라는 이야기가 있지만 이인문이 지은 시를 김홍도가 옮겨 적은 것으로 보는 것이 맞는 듯 하다.
  • 김홍도이인문은 도화서의 동갑내기 친구로 오랜 시간 서로의 작품을 보며 교류하였다.
  • 두 사람은 서로의 작품에 흔적을 남겨 서로의 우정과 예술의식을 고양시켰다. 이인문의 <송하담소도>에서 김홍도의 흔적을 찾을 수 있다.

관련 영상

소재지

간송미술관

지도를 불러오는 중...

미디어 위키

  • 김현희에 의해 작성된 페이지입니다.(2022.11.03.)

참고문헌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칠복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