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산학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RDF)
(RDF)
41번째 줄: 41번째 줄:
 
| [[오산학교]] || [[김소월]] || A를 B가 졸업했다. ||
 
| [[오산학교]] || [[김소월]] || A를 B가 졸업했다. ||
 
|-
 
|-
| [[오산학교]] || || ||
+
| [[오산학교]] || [[기독교사상]] || A가 B를 강조했다. ||
 
|-   
 
|-   
| [[오산학교]] || || ||
+
| [[오산학교]] || 일제 || A가 B에게 압박당했다. ||
 
|}
 
|}
  

2019년 6월 16일 (일) 15:27 판

소개

1900년대 초반 대중의 지식 수준 향상과 애국계몽운동이 일어나며, 일제 민족말살정책에 대해 민족을 지키고 국권회복을 위한 인재양성을 건학이념으로 1907년 남강 이승훈이 설립한 학교이다. 국권회복이라는 설립 취지였기에, 일제의 감시와 수난의 대상이기도 했다. 오산학교는 교육구국운동의 지표 중 하나이고, 국권회복이 이뤄질 때까지 인재양성의 요람으로 건재했으며, 다양한 교육 경험을 제공했고 민족 정신을 양육했다는 의의를 지니고 있는 학교이다.

참여인물

여준, 윤기섭, 유영모, 장지영, 이광수,염상섭, 김억 등이 교사로 참여했다.

역사

년도 내용
1907년 평안북도 정주군에서 개교.
1910년 교내에 교회 설립
1919년 독립운동의 본거지라 불리며 소각당함.
1923년 이승훈 출옥후 재건.
1934년 대화재로 본관 소진.
1934년 본관 재건축.
1942년 일본인 교장으로 교체.
1950년 부산으로 교사 옮김.
1956년 서울시 용산구 보광동으로 이전


오산학교


RDF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오산학교 이광수 A에서 B가 일했었다.
오산학교 이승훈 A를 B가 설립했다.
오산학교 김소월 A를 B가 졸업했다.
오산학교 기독교사상 A가 B를 강조했다.
오산학교 일제 A가 B에게 압박당했다.

참고문헌

'오산학교의 교육이념과 실천 연구-정주시대의 남강, 교직원, 학생들의 활동에 대한 분석-'/ 이경림 /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