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북구 대학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한성대학교)
(한성대학교)
172번째 줄: 172번째 줄:
  
 
===='''[[한성대학교]]'''====
 
===='''[[한성대학교]]'''====
 
[[파일:한성대01.jpg|300px]]
 
*한성대학교 로고
 
 
[[한성대학교]]는 대한민국의 사립 4년제 대학이다.
 
 
 
 
  
 
'''1. 개요'''
 
'''1. 개요'''
187번째 줄: 179번째 줄:
 
[[한성대학교]]는 대한민국의 사립 4년제 대학이다.
 
[[한성대학교]]는 대한민국의 사립 4년제 대학이다.
  
*주소 : 서울특별시 성북구 안암로 145
+
*주소 : 서울특별시 성북구 삼선교로 16길 116
*사이트 : http://www.korea.ac.kr/
+
*사이트 : http://www.hansung.ac.kr/  
 
*학과 소개
 
*학과 소개
 
{|class="wikitable"
 
{|class="wikitable"

2019년 11월 25일 (월) 12:17 판

500px



개요

학문의 전당


역사

대학의 역사 블라블라

기능

대학의 기능 블라블라

성북구 대학교

성북구의 역사 성북구 사진 블라블라 화이팅


고려대학교

1. 개요

고려대학교 로고.png

[출처 위키백과]

학부 및 학과
경영대학
문과대학
정경대학
사범대학
생명과학대학
이과대학
공과대학
의과대학
간호대학
보건과학대학
정보대학
정보보호학부
국제학부
미디어학부
디자인조형학부
자유전공학부
  • 비전
①창의 융합형 콘텐츠 혁신(교육, 연구) ②참여 소통형 네트워킹 혁신(산학협력, 글로벌, 사회공헌) ③미래 선도형 인프라 혁신(행정, IT, 캠퍼스)이라는 3대 전략을 통해 창의적 미래 인재를 양성하고 세계를 변화시키는 대학
  • 이념
국가 교육이념인 홍익인간 육성, 인격도야, 자주적 생활능력, 민주시민의 자질, 인간다운 삶 영위, 민주국가발전 그리고 인류공영 실현과 고등교육의 목적인 인격도야, 학술의 교수와 연구, 국가와 인류사회에 공헌을 통해 자유, 정의, 진리를 수호하고 실현한다.
  • 설명(개요)
민족적·저항적·화합적·행동적·서민적 정신을 지향하는 고려대학교는 한국 최초로 민간인에 의한 근대적 고등교육 기관의 출현, 근대적 학문의 발상지, 민족주의의 교육적 실현과 항일 민족 투쟁의 산실이라는 개교의 역사적 의의를 갖는다. 이러한 고려대학교의 교육 목적은 민족교육의 근본이념을 바탕으로 학술이론과 그 응용방법을 교수 연구하는 동시에 국가와 인류사회 발전에 필요한 인재를 육성하는 것이다. 교육 목표는 지덕체를 겸비한 인격을 연마하고, 창의적 학문 탐구와 전문적 실천능력을 배양하며, 국제사회에 기여할 개방적 지도력을 육성하고자 한다.
  • 소개 영상

[출처 유튜브]


2. 역사

연도 내용
1905 고려대학교의 전신인 보성전문학교 설립
1910 천도교의 의암 손병희 선생이 보성전문학교를 인수
1932 인촌 김성수가 재단 인수
1934 지금의 안암동 교사로 학교 이전
1944 경성척식경제전문학교로 강제 개명
1946 현재의 4년제 대학인 고려대학교 개교
1960 4·19 혁명의 시발점인 4·18 의거에 대다수 학생 가담
1964 6·3 항쟁에 대다수 학생 가담하여 박정희 정권에 저항
1972 이후 계속해서 학생·교수·김상협 총장 모두 박정희 유신정권에 극도로 저항
1980 김준엽 총장을 필두로 전두환 정권에도 계속해서 저항,

충청남도 연기군 조치원읍 서창리에 조치원분교 설립(지금의 세종캠퍼스)

1987 6월 항쟁 때 반독재민주화투쟁을 위한 학생시위대의 주축이 됨
1990 90년대 이후 학교 재단, 경영진, 교수진 등은 점차 보수적 성향을 띠게 됨
1994 수학능력시험 도입 이후 강남 8학군 출신 학생들과 외고 출신 학생들의 비중이 급증하며 학생운동은 점차 쇠락
2007 고려대학교 출신 이명박이 대통령에 당선됨


3. 관련 인물

  • 이명박
제17대 대통령, 전 서울시장 (상과대학 61학번)

이명박 대통령.jpg

CC BY.png

[출처 공유마당 LP1610020088_임덕영_대통령-이명박]


  • 이정미
대한민국 헌정 사상 처음으로 대통령 탄핵 재판을 이끈 헌법재판소 재판관 (법학과 81학번)

[출처 유튜브]

국민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성신여대 로고.jpg
명칭 성신여자대학교
영문 명칭 Sungshin Women's University
표어 성신(誠信), 지신(知新), 자동(自動)
종류 사립
주소 돈암수정캠퍼스

서울특별시 성북구 보문로34다길 2

홈페이지 성신여자대학교 홈페이지
위치


동덕여자대학교

서경대학교

한국예술종합학교

한성대학교

1. 개요 한성대01.jpg

  • 한성대학교 로고

한성대학교는 대한민국의 사립 4년제 대학이다.

학부 및 학과
경영대학
문과대학
정경대학
사범대학
생명과학대학
이과대학
공과대학
의과대학
간호대학
보건과학대학
정보대학
정보보호학부
국제학부
미디어학부
디자인조형학부
자유전공학부
  • 비전
①창의 융합형 콘텐츠 혁신(교육, 연구) ②참여 소통형 네트워킹 혁신(산학협력, 글로벌, 사회공헌) ③미래 선도형 인프라 혁신(행정, IT, 캠퍼스)이라는 3대 전략을 통해 창의적 미래 인재를 양성하고 세계를 변화시키는 대학
  • 이념
국가 교육이념인 홍익인간 육성, 인격도야, 자주적 생활능력, 민주시민의 자질, 인간다운 삶 영위, 민주국가발전 그리고 인류공영 실현과 고등교육의 목적인 인격도야, 학술의 교수와 연구, 국가와 인류사회에 공헌을 통해 자유, 정의, 진리를 수호하고 실현한다.
  • 설명(개요)
민족적·저항적·화합적·행동적·서민적 정신을 지향하는 고려대학교는 한국 최초로 민간인에 의한 근대적 고등교육 기관의 출현, 근대적 학문의 발상지, 민족주의의 교육적 실현과 항일 민족 투쟁의 산실이라는 개교의 역사적 의의를 갖는다. 이러한 고려대학교의 교육 목적은 민족교육의 근본이념을 바탕으로 학술이론과 그 응용방법을 교수 연구하는 동시에 국가와 인류사회 발전에 필요한 인재를 육성하는 것이다. 교육 목표는 지덕체를 겸비한 인격을 연마하고, 창의적 학문 탐구와 전문적 실천능력을 배양하며, 국제사회에 기여할 개방적 지도력을 육성하고자 한다.
  • 소개 영상

[출처 유튜브]


2. 역사

연도 내용
1905 고려대학교의 전신인 보성전문학교 설립
1910 천도교의 의암 손병희 선생이 보성전문학교를 인수
1932 인촌 김성수가 재단 인수
1934 지금의 안암동 교사로 학교 이전
1944 경성척식경제전문학교로 강제 개명
1946 현재의 4년제 대학인 고려대학교 개교
1960 4·19 혁명의 시발점인 4·18 의거에 대다수 학생 가담
1964 6·3 항쟁에 대다수 학생 가담하여 박정희 정권에 저항
1972 이후 계속해서 학생·교수·김상협 총장 모두 박정희 유신정권에 극도로 저항
1980 김준엽 총장을 필두로 전두환 정권에도 계속해서 저항,

충청남도 연기군 조치원읍 서창리에 조치원분교 설립(지금의 세종캠퍼스)

1987 6월 항쟁 때 반독재민주화투쟁을 위한 학생시위대의 주축이 됨
1990 90년대 이후 학교 재단, 경영진, 교수진 등은 점차 보수적 성향을 띠게 됨
1994 수학능력시험 도입 이후 강남 8학군 출신 학생들과 외고 출신 학생들의 비중이 급증하며 학생운동은 점차 쇠락
2007 고려대학교 출신 이명박이 대통령에 당선됨


3. 관련 인물

  • 이명박
제17대 대통령, 전 서울시장 (상과대학 61학번)

이명박 대통령.jpg

CC BY.png

[출처 공유마당 LP1610020088_임덕영_대통령-이명박]


  • 이정미
대한민국 헌정 사상 처음으로 대통령 탄핵 재판을 이끈 헌법재판소 재판관 (법학과 81학번)

[출처 유튜브]

한성대 연혁 출처 위키백과
연도 내용
1972.12.21 한성여자대학 설립
1978.1.11 한성여자대학을 한성대학으로 교명 변경
1985.12.04 R.O.T.C 창설
1993.03.01 종합대학교 승격
2015년 교육부 대학구조개혁평가 결과 D+ 등급
2017년 교육부 2차년도 이행점검 결과 재정지원제한 완전 해제

대학 위치

지도를 불러오는 중...


관련 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대학교 성북구 A는 B

참고문헌

작성자 및 기여자

작성자 및 기여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