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정스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출처)
 
(사용자 3명의 중간 판 6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3번째 줄: 13번째 줄:
 
|-  
 
|-  
 
| style="text-align:center;"|'''고향''' || 전남 해남 우수영
 
| style="text-align:center;"|'''고향''' || 전남 해남 우수영
|-
 
| style="text-align:center;"|'''학력''' || 해인사 강원 대교과
 
 
|-  
 
|-  
 
| style="text-align:center;"|'''직업''' || 승려, 수필작가
 
| style="text-align:center;"|'''직업''' || 승려, 수필작가
20번째 줄: 18번째 줄:
 
|}
 
|}
 
</onlyinclude>
 
</onlyinclude>
 +
 +
=='''소개'''==
 +
1932년 전남 해남 우수영에서 태어났다. 스무 살 즈음 한국 전쟁의 비극을 경험하고 인간의 선의지와 삶과 죽음에 고뇌하며 진리의 길을 찾아 나섰다. 1955년 효봉 스님을 은사로 사미계를 받은 후 해인사 선원과 강원에서 수행자의 기초를 다지고 1959년 자운 율사를 계사로 비구계를 받았다. 1973년 불교계 처음으로 민주화 운동에 참여한 스님은 1975년 불일암을 짓고 무소유의 정신을 지성과 글쓰기로 널리 전파하였다. 하지만 끊임없이 찾아드는 사람들로 다시 출가하는 마음으로 1992년 강원도 산골 오두막으로 거처를 옮기고 홀로 수행 전진하였다. 1993년 순수 시민운동을 주창하고 여러 권의 저서를 통해 개인의 청정과 1994년 3월 사회적으로 맑고 향기롭게 살아가기 운동을 일관되게 주창하였다. 스님의 [[무소유]] 사상에 감동한 길상화 보살이 7천여 평의 대원각을 시주하여 1997년 12월 14일 '맑고 향기롭게 근본도량 길상사'를 창건하였다. 폐암이 깊어진 후에도 침상에서 예불을 거르지 않았으며 '금생에 저지른 허물은 생사를 넘어 참회할 것이다. 이제 시간과 공간을 버려야겠다.'는 말씀으로 생과 사가 다르지 않음을 일깨워주시고 2010년 3월 11일(음력 1월 26일)에 길상사 행지실(현재 [[길상사/건물|진영각]])에서 입적하였다.
 +
*학력
 +
**1956 전남대학교 상과대학 3년 수료
 +
**1959 [[해인사]] 강원 대교과
 +
*수상
 +
**2004 제2회 대원상 대상
 +
 +
=='''스님으로서의 활동'''==
 +
[[파일:법정스님2.jpg|오른쪽|법정스님]]
 +
*1954
 +
**송광사에서 득도(효봉 스님의 제자)
 +
*1960
 +
**통도사에서 <불교사전> 편찬 작업 동참
 +
*1967
 +
**서울 봉은사에서 운허스님과 함께 불교 경전 번역, 불교계 언론과 신문에 투서
 +
**동국역경원 편찬부장
 +
*1973
 +
**불교신문사 논설위원, 주필, 씨의 소리 편집위원
 +
**[[민주수호국민협의회]]와 유신 철폐 개헌 서명운동 참여
 +
*1985
 +
**경전공부 모임 법사
 +
*1987~1990
 +
**보조사상연구원 원장
 +
*1993
 +
**[[맑고 향기롭게]] 살아가기 운동 준비위 발족
 +
**프랑스 최초의 한국 사찰 인 파리 길상사 개원
 +
*1994
 +
**[[맑고 향기롭게]] 살아가기 운동 창립
 +
**[[맑고 향기롭게]] 살아가기 운동 창립 기념 첫 대중 법문을 서울, 부산, 대구, 경남, 전주,춘천, 거제, 제주, 광주, 대전 등지에서 하며 지부 발족
 +
*1994.01 ~ 2003.11
 +
**[[맑고 향기롭게]] 살아가기 운동 회주
 +
**[[대한불교조계종]] 송광사 수련원 원장
 +
**동국대 역경원 역경위원
 +
*~2003.11
 +
**대한불교조계종길상사 스님
 +
*<불교신문> 편집국장·역경국장, 송광사 수련원장 및 보조사상연구원장
 +
 +
=='''작가으로서의 활동'''==
 +
#1972년 첫 저서 「영혼의 모음」 발간
 +
#1976년 대표 저서 「무소유」 발간
 +
#1993년 7월 연꽃이 불교를 상징하는 꽃이라는 이유로 독립기념관, 창덕궁 부용정 연못의 연꽃이 모두 없어지는데, 그 어이없는 심정을 '연못에 연꽃이 없더라'는 글로 발표
 +
 +
=='''[[길상사]]와 관련 항목'''==
 +
*맑고 향기롭게 운동 주창
 +
*진영각에 입적
 +
 +
[[파일:진영.jpg|300px|진영각]]
 +
[[파일:법정스님유골.jpg|300px|법정스님유골]]
 +
 +
=='''[[맑고 향기롭게]] 운동==
 +
*의미: 맑음은 개인의 청정을, 향기로움은 그 청정의 사회적 메아리를 뜻함.
 +
*1993년 8월 '맑고 향기롭게 살아가기 운동 준비 모임'을 발족
 +
[[파일:맑향.JPG|오른쪽|맑고 향기롭게]]
 +
*실천덕목
 +
**마음을 맑고 향기롭게
 +
***욕심을 줄이고 만족하며 삽시다.
 +
***화내지 말고 웃으며 삽시다.
 +
***나 혼자만 생각 말고 더불어 삽시다.
 +
**세상을 맑고 향기롭게
 +
***나누어 주며 삽시다.
 +
***양보하며 삽시다.
 +
***남을 칭찬하며 삽시다.
 +
**자연을 맑고 향기롭게
 +
***우리 것을 아끼고 사랑합시다.
 +
***꽃 한 포기, 나무 한 그루 가꾸며 삽시다.
 +
***덜 쓰고 덜 버립시다.
 +
 +
=='''종교화합'''==
 +
1998년  명동성당 축석 100돌 기념 초청 강연
 +
 +
이해인 수녀님, [[김수환|김수환 추기경 신부님]]과 친분을 나눔
 +
 +
[[파일:광안리성당.jpg|125px|광안리성당에서]]
 +
[[파일:종교화합명동.JPG|150px|명동성당에서]]
 +
 +
=='''관련 도서 및 영상'''==
 +
 +
[[파일:무소유.jpg|250px|오른쪽|무소유]]
 +
 +
1. 관련 도서
 +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927971 진리의 말씀(법구경)]
 +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5112119 아름다운마무리(세월이 흐를수록 깊이를 더해 가는 법정 스님의 새로운 산문집)]
 +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6025222 일기일회]
 +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6180575 한 사람은 모두를 모두는 한 사람을(일즉일체다즉일)]
 +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595927 무소유]
 +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336423 서 있는 사람들]
 +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3753 버리고 떠나기]
 +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3754 물소리 바람소리]
 +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3755 산방한담]
 +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3758 새들이 떠간 숲은 적막하다]
 +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6013830 산에는 꽃이 피네]
 +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2628623 오두막 편지]
 +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4379830 홀로 사는 즐거움]
 +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6039284 인연 이야기]
 +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2482421 맑고 향기롭게]
 +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17741 말과 침묵]
 +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3756 텅빈 충만]
 +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14400 그물에 걸리지 않는 바람처럼]
 +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3757 영혼의 모음]
 +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2493065 인도기행]
 +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76258 숫파니파타]
 +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76268 봄여름가을겨울]
 +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62580 참 좋은 이야기]
 +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17347 화엄경]
 +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17348 인연 이야기]
 +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62579 참 맑은 이야기]
 +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17346 스승을 찾아서]
 +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4578162 마음이 머무는 자리]
 +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3377815 마음에 따르지 말고 마음의 주인이 되어라(법정의 산중편지)]
 +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3585476 간다, 봐라(법정의 사유 노트와 미발표 원고)]
 +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1990942 길이 아니면 가지 말라]
 +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2096310 법정 "행복은 간장밥"(그립고 그리운 법정 스님의 목소리)]
 +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1480768 시작할 때 그 마음으로(법정이 우리의 가슴에 새긴 글씨)]
 +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8796600 꽃잎이 떨어져도 꽃은 지지 않네(법정과 최인호의 산방 대담)]
 +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0235586 설전(법정이 묻고 성철이 답하다)]
 +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2203744 법정의 애송 선지(올 때는 흰 구름 더불어 왔고 갈 때는 함박눈 따라서 갔네)]
 +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2098057 살아 있는 것은 다 행복하라]
 +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6385489 법정스님 선묵]
 +
*[http://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1466252 대화]
 +
2. 관련영상
 +
*[https://search.naver.com/p/crd/rd?m=1&px=398&py=621.0999755859375&sx=398&sy=481&p=&q=%B9%FD%C1%A4&ssc=tab.people.all&f=people&w=people&s=&time=1527602034112&a=pam.image&r=1&i=1800000D_000000019091&u=http%3A//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3Fcode%3D84193 법정 스님의 의자]
 +
*[https://www.nl.go.kr/nl/search/SearchDetail.nl?service=KOLIS&vdkvgwkey=119979356&colltype=DAN_AV KBS 특집다큐 무소유의 삶, 법정스님]
 +
*[http://www.clean94.or.kr/Menu.do;jsessionid=8B15366811E1BBFE5289C3BA072A3ECC?MenuID=1015 맑고 향기롭게 법정스님 영상]
 +
 +
=='''관련 항목'''==
 +
[[파일:불일암.jpg|오른쪽|300px|불일암]]
 +
*[[길상사]]
 +
*[[맑고 향기롭게]]
 +
*비구
 +
*효봉 스님
 +
*불일암
 +
*[[무소유]]
 +
*[[김수환|김수환 추기경 신부님]]
 +
*[[김영한]]
 +
 +
=='''관계'''==
 +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길상사]] || [[법정스님]] || A는 B에 의해 만들어졌다. ||
 +
|-
 +
| [[법정스님]] || [[김영한]] || A는 B의 요청으로 길상사를 맡았다. ||
 +
|-
 +
| [[법정스님]] || [[맑고 향기롭게]] || B는 A가 창제한 운동이다. ||
 +
|-
 +
| [[법정스님]] || [[김수환]] || B는 A와 함께 종교화합을 보여줬다. || 
 +
|
 +
|}
 +
 +
=='''출처'''==
 +
[http://www.clean94.or.kr/ 맑고향기롭게]
 +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232686&cid=40942&categoryId=34266 두산백과]
 +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937743&cid=43667&categoryId=43667 시사상식사전]
 +
 +
[https://ko.wikipedia.org/wiki/%EB%B2%95%EC%A0%95_(%EC%8A%B9%EB%A0%A4) 위키백과]
 +
 +
=='''작성자 및 기여자'''==
 +
 +
작성자 : [[변지현]]
 +
 +
[[분류:인물]] [[분류:변지현]]

2018년 6월 21일 (목) 13:33 기준 최신판


소개

1932년 전남 해남 우수영에서 태어났다. 스무 살 즈음 한국 전쟁의 비극을 경험하고 인간의 선의지와 삶과 죽음에 고뇌하며 진리의 길을 찾아 나섰다. 1955년 효봉 스님을 은사로 사미계를 받은 후 해인사 선원과 강원에서 수행자의 기초를 다지고 1959년 자운 율사를 계사로 비구계를 받았다. 1973년 불교계 처음으로 민주화 운동에 참여한 스님은 1975년 불일암을 짓고 무소유의 정신을 지성과 글쓰기로 널리 전파하였다. 하지만 끊임없이 찾아드는 사람들로 다시 출가하는 마음으로 1992년 강원도 산골 오두막으로 거처를 옮기고 홀로 수행 전진하였다. 1993년 순수 시민운동을 주창하고 여러 권의 저서를 통해 개인의 청정과 1994년 3월 사회적으로 맑고 향기롭게 살아가기 운동을 일관되게 주창하였다. 스님의 무소유 사상에 감동한 길상화 보살이 7천여 평의 대원각을 시주하여 1997년 12월 14일 '맑고 향기롭게 근본도량 길상사'를 창건하였다. 폐암이 깊어진 후에도 침상에서 예불을 거르지 않았으며 '금생에 저지른 허물은 생사를 넘어 참회할 것이다. 이제 시간과 공간을 버려야겠다.'는 말씀으로 생과 사가 다르지 않음을 일깨워주시고 2010년 3월 11일(음력 1월 26일)에 길상사 행지실(현재 진영각)에서 입적하였다.

  • 학력
    • 1956 전남대학교 상과대학 3년 수료
    • 1959 해인사 강원 대교과
  • 수상
    • 2004 제2회 대원상 대상

스님으로서의 활동

법정스님
  • 1954
    • 송광사에서 득도(효봉 스님의 제자)
  • 1960
    • 통도사에서 <불교사전> 편찬 작업 동참
  • 1967
    • 서울 봉은사에서 운허스님과 함께 불교 경전 번역, 불교계 언론과 신문에 투서
    • 동국역경원 편찬부장
  • 1973
    • 불교신문사 논설위원, 주필, 씨의 소리 편집위원
    • 민주수호국민협의회와 유신 철폐 개헌 서명운동 참여
  • 1985
    • 경전공부 모임 법사
  • 1987~1990
    • 보조사상연구원 원장
  • 1993
    • 맑고 향기롭게 살아가기 운동 준비위 발족
    • 프랑스 최초의 한국 사찰 인 파리 길상사 개원
  • 1994
    • 맑고 향기롭게 살아가기 운동 창립
    • 맑고 향기롭게 살아가기 운동 창립 기념 첫 대중 법문을 서울, 부산, 대구, 경남, 전주,춘천, 거제, 제주, 광주, 대전 등지에서 하며 지부 발족
  • 1994.01 ~ 2003.11
  • ~2003.11
    • 대한불교조계종길상사 스님
  • <불교신문> 편집국장·역경국장, 송광사 수련원장 및 보조사상연구원장

작가으로서의 활동

  1. 1972년 첫 저서 「영혼의 모음」 발간
  2. 1976년 대표 저서 「무소유」 발간
  3. 1993년 7월 연꽃이 불교를 상징하는 꽃이라는 이유로 독립기념관, 창덕궁 부용정 연못의 연꽃이 모두 없어지는데, 그 어이없는 심정을 '연못에 연꽃이 없더라'는 글로 발표

길상사와 관련 항목

  • 맑고 향기롭게 운동 주창
  • 진영각에 입적

진영각 법정스님유골

맑고 향기롭게 운동

  • 의미: 맑음은 개인의 청정을, 향기로움은 그 청정의 사회적 메아리를 뜻함.
  • 1993년 8월 '맑고 향기롭게 살아가기 운동 준비 모임'을 발족
맑고 향기롭게
  • 실천덕목
    • 마음을 맑고 향기롭게
      • 욕심을 줄이고 만족하며 삽시다.
      • 화내지 말고 웃으며 삽시다.
      • 나 혼자만 생각 말고 더불어 삽시다.
    • 세상을 맑고 향기롭게
      • 나누어 주며 삽시다.
      • 양보하며 삽시다.
      • 남을 칭찬하며 삽시다.
    • 자연을 맑고 향기롭게
      • 우리 것을 아끼고 사랑합시다.
      • 꽃 한 포기, 나무 한 그루 가꾸며 삽시다.
      • 덜 쓰고 덜 버립시다.

종교화합

1998년 명동성당 축석 100돌 기념 초청 강연

이해인 수녀님, 김수환 추기경 신부님과 친분을 나눔

광안리성당에서 명동성당에서

관련 도서 및 영상

무소유

1. 관련 도서

2. 관련영상

관련 항목

불일암

관계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길상사 법정스님 A는 B에 의해 만들어졌다.
법정스님 김영한 A는 B의 요청으로 길상사를 맡았다.
법정스님 맑고 향기롭게 B는 A가 창제한 운동이다.
법정스님 김수환 B는 A와 함께 종교화합을 보여줬다.

출처

맑고향기롭게

두산백과

시사상식사전

위키백과

작성자 및 기여자

작성자 : 변지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