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경시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작품)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개요'''=
 
='''개요'''=
진경시대란 조선시대 후기 문화가 [[중국]]영향에서 벗어나 [[조선]]만의 고유한 성격을 드러내며 발전했던 문화의 절정기를 일컫는 '''문화사적인 시대 구분 명칭'''이다. 대체로 숙종의 재위(1675~1720)를 기점으로부터 정조의 통치 기간(1777-1800)에 이르는 약 125년간의 시기를 가리킨다.
+
진경시대란 [[조선시대]] 후기 문화가 중국의 영향에서 벗어나 [[조선]]만의 고유한 성격을 드러내며 발전했던 '''문화의 절정기를 일컫는 문화사적인 시대 구분 명칭'''이다. 숙종 46년, 경종 4년, 영조 51년, 정조 24년 약 125년간의 시기를 가리킨다.
  
 
='''배경'''=
 
='''배경'''=
1392년 태조 이성계가 새로운 나라를 개창했을 당시만 해도 [[조선왕조]]는 명나라에 많은 부분을 의존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특히 나라의 기틀이 되는 성리학이라는 새로운 학문에 기반을 두고 있었는데, 당시까지만 해도 성리학은 조선 사회에서 생소하고 이해하기 어려운 것이었다.  
+
조선왕조 500여 년의 긴 시간 속에서 유독 125년 동안에 조선만의 고유한 문화를 가지게 되었는데 그 이유는 조선 전기 200여년 동안 수많은 사람들에 의해 준비된 것으로 볼 수 있다.
 +
1392년 태조 [[이성계]]가 새로운 나라를 개창했을 당시만 해도 [[조선왕조]]는 명나라에 많은 부분을 의존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특히 나라의 기틀이 되는 성리학이라는 새로운 학문에 기반을 두고 있었다. [[중국]]에서 정립된 성리학을 조선에서 시행하고자 할 때 발생하는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상당히 오랜 시간과 노력이 필요했다. 조선 전기에 발생했던 여러 사화는 바로 그런 고민의 흔적이라 할 수 있다.
  
 
='''중요 인물'''=
 
='''중요 인물'''=
*퇴계 이황, 율곡 이이: 성리학을 이해하고 조선의 현실에 적용할 수 있도록 노력했던 대표적인 인물
+
*'''겸재 [[정선]]''': 절파와 오파를 적절히 혼용하여 자신만의 독특한 화법을 만들었다. 이것은 우리나라 산수를 그리기에 적합했으며, 진경산수화의 대가임을 보여준다. 이후 담졸 [[강희언]], 단원 김홍도 등 많은 화가들에 영향을 준다.
*송강 정철: 한글을 이용한 가사문학을 통해 우리 산천의 아름다움을 마음껏 노래하며 국문학 발전의 서막을 열었음
+
 
*석봉 한호: 조선의 고유한 글시체인 석봉체를 이루어냄
+
*'''김만중''': 전문 한글인 <[[구운몽]]>으로 [[숙종]] 때 소설문학의 선구자가 되었다. 그 외 「[[사씨남정기]]」, 「[[서포만필]]」 등의 작품이 있다.
 +
 
 +
*'''김창흡''': 조선 중기에서 후기로 넘어오는 시기에 있어 학술상, 문학상 여러 문제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참고가 된다. 진경시에 대가로서 우리나라 산수의 아름다움을 시로 지었다.
 +
 
 +
*'''헌재 심사정''': 겸재의 제자로서 북종과 남종화법을 적절히 혼용한 문인화의 대표화가이다.
 +
 
 +
*'''표암 [[강세황]]''': [[남종화]]를 받아들여 남종 문인화를 그림으로써 서구의 화법도 받아들였다.
 +
 
 +
*'''담졸 강희언''': 18세기 후반 급부상하는 중인 계층의 문예활동의 선구적인 역할을 하였다. 정선 풍의 진경산수화에 사실적인 음영법 · 원근법 등을 가미하였다.
 +
 
 +
*'''[[단원 김홍도]]''': 산수, 인물, 도석, 불화, 화조, 풍속 등 모든 장르에 능하였지만, 특히 산수화와 풍속화에서 뛰어난 작품을 남겼다.
 +
 
  
 
='''작품'''=
 
='''작품'''=
 
<gallery>
 
<gallery>
파일:11.png
+
파일:정선2.jpg|*겸재 정선 ‘인왕제색도’
  
파일:22.png
+
파일:강희언12.jpg|*담졸 강희언 ‘인왕산'
  
파일:그림33.png
+
파일:22.png|*단원 김홍도 ‘초원시명'
 +
</gallery>
  
</gallery>
+
='''작성자'''=
 +
[[박하은]]
 +
 
 +
==출처==
 +
[https://ko.wikipedia.org/wiki/%EC%A7%84%EA%B2%BD%EC%8B%9C%EB%8C%80%EC%9D%98_%ED%9A%8C%ED%99%94 ]
 +
 
 +
[[분류: 조선의 미술]] [[분류: 문화의 절정기]]

2022년 12월 7일 (수) 02:21 기준 최신판

개요

진경시대란 조선시대 후기 문화가 중국의 영향에서 벗어나 조선만의 고유한 성격을 드러내며 발전했던 문화의 절정기를 일컫는 문화사적인 시대 구분 명칭이다. 숙종 46년, 경종 4년, 영조 51년, 정조 24년 약 125년간의 시기를 가리킨다.

배경

조선왕조 500여 년의 긴 시간 속에서 유독 125년 동안에 조선만의 고유한 문화를 가지게 되었는데 그 이유는 조선 전기 200여년 동안 수많은 사람들에 의해 준비된 것으로 볼 수 있다. 1392년 태조 이성계가 새로운 나라를 개창했을 당시만 해도 조선왕조는 명나라에 많은 부분을 의존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특히 나라의 기틀이 되는 성리학이라는 새로운 학문에 기반을 두고 있었다. 중국에서 정립된 성리학을 조선에서 시행하고자 할 때 발생하는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상당히 오랜 시간과 노력이 필요했다. 조선 전기에 발생했던 여러 사화는 바로 그런 고민의 흔적이라 할 수 있다.

중요 인물

  • 겸재 정선: 절파와 오파를 적절히 혼용하여 자신만의 독특한 화법을 만들었다. 이것은 우리나라 산수를 그리기에 적합했으며, 진경산수화의 대가임을 보여준다. 이후 담졸 강희언, 단원 김홍도 등 많은 화가들에 영향을 준다.
  • 김창흡: 조선 중기에서 후기로 넘어오는 시기에 있어 학술상, 문학상 여러 문제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참고가 된다. 진경시에 대가로서 우리나라 산수의 아름다움을 시로 지었다.
  • 헌재 심사정: 겸재의 제자로서 북종과 남종화법을 적절히 혼용한 문인화의 대표화가이다.
  • 표암 강세황: 남종화를 받아들여 남종 문인화를 그림으로써 서구의 화법도 받아들였다.
  • 담졸 강희언: 18세기 후반 급부상하는 중인 계층의 문예활동의 선구적인 역할을 하였다. 정선 풍의 진경산수화에 사실적인 음영법 · 원근법 등을 가미하였다.
  • 단원 김홍도: 산수, 인물, 도석, 불화, 화조, 풍속 등 모든 장르에 능하였지만, 특히 산수화와 풍속화에서 뛰어난 작품을 남겼다.


작품

작성자

박하은

출처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