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광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onlyinclude> {|class="metadata" style="background:#f2f2f2; width:320px; margin: 5px 5px 5px 5px;" cellspacing="10" align="right" |- ! colspan="2" style="background:#3ca9a9; color:#f...)
 
31번째 줄: 31번째 줄:
 
일본 [[와세다대학교]] 철학과
 
일본 [[와세다대학교]] 철학과
 
===저서===
 
===저서===
[[사랑인가(愛か)]]
+
*[[사랑인가(愛か)]]
[[어린 희생]]
+
 
[[문학의 가치]]
+
*[[어린 희생]]
[[금일 아한용문(我韓用文)에 대하야]]
+
 
[[헌신자]]
+
*[[문학의 가치]]
[[금경]]
+
 
 +
*[[금일 아한용문(我韓用文)에 대하야]]
 +
 
 +
*[[헌신자]]
 +
 
 +
*[[금경]]
 +
 
 
[[문학이란 하오]]
 
[[문학이란 하오]]
[[위선 수가 되고 연후에 인이 되라]]
+
 
[[천재야 ! 천재야 !]]
+
*[[위선 수가 되고 연후에 인이 되라]]
[[혼인에 대한 관견]]
+
*[[천재야 ! 천재야 !]]
[[소년의 비애]]
+
 
[[개척자]]
+
*[[혼인에 대한 관견]]
[[어린 벗에게]]
+
 
[[우리의 이상]]
+
*[[소년의 비애]]
[[방황]]
+
 
[[부활의 서광]]
+
*[[개척자]]
[[현상소설 고선 여언]]
+
 
[[윤광호]]
+
*[[어린 벗에게]]
[[숙명론적 인생관에서 자력론적 인생관에]]
+
 
[[자녀중심론]]
+
*[[방황]]
[[무정]]
+
 
[[문사와 수양]]
+
*[[부활의 서광]]
[[소년에게]]
+
 
[[예술과 인생]]
+
*[[현상소설 고선 여언]]
[[민족개조론]]
+
*[[윤광호]]
[[개척자]]
+
 
[[가실]]
+
*[[숙명론적 인생관에서 자력론적 인생관에]]
[[거룩한 이의 죽음]]
+
 
[[선도자]]
+
*[[자녀중심론]]
[[조선의 현재와 장래]]
+
 
[[혈서]]
+
*[[무정]]
[[금십자가]]
+
 
[[문학강화]]
+
*[[문사와 수양]]
[[재생]]
+
 
[[H군을 생각하고]]
+
*[[소년에게]]
[[어떤 아침]]
+
 
[[민요소고]]
+
 
[[소설선후언]]
+
*[[예술과 인생]]
[[춘원 단편 소설집]]
+
*[[민족개조론]]
[[허생전]]
+
 
[[사랑에 주렸던 이들]]
+
*[[개척자]]
[[불교와 조선문학]]
+
 
[[소설선후감]]
+
*[[가실]]
[[조선문단의 현상과 장래]]
+
 
[[계급을 초월한 예술이라야]]
+
*[[거룩한 이의 죽음]]
[[첫번 쓴 것들]]
+
 
[[병상에서]]
+
*[[선도자]]
[[소설선후평]]
+
 
[[일설 춘향전]]
+
*[[조선의 현재와 장래]]
[[천안기]]
+
 
[[양주동씨의 ‘철저와 중용’을 읽고]]
+
*[[혈서]]
[[중용과 철저]]
+
 
[[예술평가의 표준]]
+
*[[문학강화]]
[[문예유용무용]]
+
 
[[잘못된 사고법]]
+
*[[재생]]
[[일설 춘향전]]
+
 
[[재생]]
+
*[[H군을 생각하고]]
[[젊은 꿈]]
+
 
[[유랑]]
+
*[[어떤 아침]]
[[상등인과 하등인]]
+
 
[[젊은 조선인의 소원]]
+
*[[민요소고]]
[[조선문학의 개념]]
+
 
[[단종애사]]
+
*[[소설선후언]]
[[시조]]
+
 
[[시조의 의적(意的) 구성)]]
+
*[[춘원 단편 소설집]]
[[시조의 자연율]]
+
*[[허생전]]
[[마의태자]]
+
 
[[조선문학의 개념]]
+
*[[사랑에 주렸던 이들]]
[[나의 속할 유형]]
+
 
[[동아일보 ‘단종애사’에 대하여]]
+
*[[불교와 조선문학]]
[[역사적 지리적이 같고 철학적 주의적이 다르다]]
+
*[[소설선후감]]
[[문학에 대한 소견 이삼]]
+
*[[조선문단의 현상과 장래]]
[[사막의 imagefont]]
+
*[[계급을 초월한 예술이라야]]
[[아들의 원수]]
+
*[[첫번 쓴 것들]]
[[근독이삼]]
+
*[[병상에서]]
[[혁명가의 안해]]
+
*[[소설선후평]]
[[작가로서 본 문단의 십년]]
+
*[[일설 춘향전]]
[[사랑의 다각형]]
+
*[[천안기]]
[[단종애사]]
+
*[[양주동씨의 ‘철저와 중용’을 읽고]]
[[혁명가의 안해]]
+
*[[중용과 철저]]
[[내가 소설을 추천하면]]
+
*[[예술평가의 표준]]
[[순결한 자의 노래]]
+
*[[문예유용무용]]
[[무명씨전]]]
+
*[[잘못된 사고법]]
[[여의 작가적 태도]]
+
*[[일설 춘향전]]
[[우리의 뜻]]
+
*[[재생]]
[[강용흘씨의 ‘초당’]]
+
*[[젊은 꿈]]
[[나의 해외망명시대]]
+
*[[유랑]]
[[조선민족운동의 삼기초 사업]]
+
*[[상등인과 하등인]]
[[책사와 지도자]]
+
*[[젊은 조선인의 소원]]
[[수암의 일기]]
+
*[[조선문학의 개념]]
[[흙]]
+
*[[단종애사]]
[[묵상기록]]
+
*[[시조]]
[[외래어 조선어]]
+
*[[시조의 의적(意的) 구성)]]
[[비상시의 비상인]]
+
*[[시조의 자연율]]
[[이순신]]
+
*[[마의태자]]
[[조선의 문학]]
+
*[[조선문학의 개념]]
[[조선문학의 개념]]
+
*[[나의 속할 유형]]
[[조선민족론]]
+
*[[동아일보 ‘단종애사’에 대하여]]
[[유정]]
+
*[[역사적 지리적이 같고 철학적 주의적이 다르다]]
[[그 여자의 일생]]
+
*[[문학에 대한 소견 이삼]]
[[나의 문단생활 삼십년]]
+
*[[사막의 imagefont]]
[[조선문학의 발전]]
+
*[[아들의 원수]]
[[재생]]
+
*[[근독이삼]]
[[나의 최근심경]]
+
*[[혁명가의 안해]]
[[번안각색과 극단전망]]
+
*[[작가로서 본 문단의 십년]]
[[소설의 정의]]
+
*[[사랑의 다각형]]
[[유고에 대한 회상]]
+
*[[단종애사]]
[[조선문학의 개념]]
+
*[[혁명가의 안해]]
[[나의 사십반생기]]
+
*[[내가 소설을 추천하면]]
[[문학과 문사와 문장]]
+
*[[순결한 자의 노래]]
[[전 ‘조선문단’ 추억담]]
+
*[[무명씨전]]]
[[이차돈의 사]]
+
*[[여의 작가적 태도]]
[[두옹과 나]]
+
*[[우리의 뜻]]
[[문학과 문장]]
+
*[[강용흘씨의 ‘초당’]]
[[장편소설을 쓰려는 사람에게]]
+
*[[나의 해외망명시대]]
[[천리밖의 애인]]
+
*[[조선민족운동의 삼기초 사업]]
[[문학론]]
+
*[[책사와 지도자]]
[[전쟁기의 작가적 태도]]
+
*[[수암의 일기]]
[[다난한 반생의 도정]]
+
*[[흙]]
[[모르는 여인]]
+
*[[묵상기록]]
[[애욕의 피안]]
+
*[[외래어 조선어]]
[[조선문학의 개념]]
+
*[[비상시의 비상인]]
[[드문 사람들]]
+
*[[이순신]]
[[황해의 미인]]
+
*[[조선의 문학]]
[[문단생활 이십년의 회고]]
+
*[[조선문학의 개념]]
[[조선문학의 개념]]
+
*[[조선민족론]]
[[그의 자서전]]
+
*[[유정]]
[[작가 작품 연대표]]
+
*[[그 여자의 일생]]
[[공민왕]]
+
*[[나의 문단생활 삼십년]]
[[해태의 열매]]
+
*[[조선문학의 발전]]
[[그의 자서전]]
+
*[[재생]]
[[애욕의 피안]]
+
*[[나의 최근심경]]
[[길놀이]]
+
*[[번안각색과 극단전망]]
[[무명]]
+
*[[소설의 정의]]
[[상근령의 소녀]]
+
*[[유고에 대한 회상]]
[[늙은 절도범]]
+
*[[조선문학의 개념]]
[[옥수수]]
+
*[[나의 사십반생기]]
[[시가집을 내며]]
+
*[[문학과 문사와 문장]]
[[모, 매, 처에게]]
+
*[[전 ‘조선문단’ 추억담]]
[[육장기]]
+
*[[이차돈의 사]]
[[선행장]]
+
*[[두옹과 나]]
[[군상]]
+
*[[문학과 문장]]
[[이광수 단편집]]
+
*[[장편소설을 쓰려는 사람에게]]
[[신체제하의 예술의 방향]]
+
*[[천리밖의 애인]]
[[국민문학의 의의]]
+
*[[문학론]]
[[문학과 인격문제]]
+
*[[전쟁기의 작가적 태도]]
[[문학과 진실성]]
+
*[[다난한 반생의 도정]]
[[예술의 조건]]
+
*[[모르는 여인]]
[[내 시가]]
+
*[[애욕의 피안]]
[[황민화와 조선문학]]
+
*[[조선문학의 개념]]
[[예술의 금일 명일]]
+
*[[드문 사람들]]
[[심적 신체제와 조선문화의 진로]]
+
*[[황해의 미인]]
[[조선문학의 참회]]
+
*[[문단생활 이십년의 회고]]
[[세조대왕]]
+
*[[조선문학의 개념]]
[[춘원시가집]]
+
*[[그의 자서전]]
[[문학과 평론]]
+
*[[작가 작품 연대표]]
[[그들의 사랑]]
+
*[[공민왕]]
[[신체제와 신예술론]]
+
*[[해태의 열매]]
[[봄의 노래]]
+
*[[그의 자서전]]
[[삼봉이네 집]]
+
*[[애욕의 피안]]
[[同胞に寄す
+
*[[길놀이]]
[[원효대사]]
+
*[[무명]]
[[가천교장]]
+
*[[상근령의 소녀]]
[[사천년]]
+
*[[늙은 절도범]]
[[元述の出征]]
+
*[[옥수수]]
[[유랑]]
+
*[[시가집을 내며]]
[[혁명가의 안해]]
+
*[[모, 매, 처에게]]
[[나‧소년편]]
+
*[[육장기]]
[[꿈]]
+
*[[선행장]]
[[나]]
+
*[[군상]]
[[도산 안창호]]
+
*[[이광수 단편집]]
[[나‧스무 살 고개]]
+
*[[신체제하의 예술의 방향]]
[[나의 고백]]
+
*[[국민문학의 의의]]
[[스무 살 고개]]
+
*[[문학과 인격문제]]
[[이순신]]
+
*[[문학과 진실성]]
[[방랑자]]
+
*[[예술의 조건]]
[[선도자]]
+
*[[내 시가]]
[[애욕의 피안]]
+
*[[황민화와 조선문학]]
[[서울]]
+
*[[예술의 금일 명일]]
[[사랑의 동명왕]]
+
*[[심적 신체제와 조선문화의 진로]]
[[사랑]]
+
*[[조선문학의 참회]]
[[사랑의 죄]]
+
*[[세조대왕]]
[[유정]]
+
*[[춘원시가집]]
[[방랑자]]
+
*[[문학과 평론]]
[[그 여자의 일생]]
+
*[[그들의 사랑]]
[[그의 자서전]]
+
*[[신체제와 신예술론]]
[[스무 살 고개]]
+
*[[봄의 노래]]
[[흙]]
+
*[[삼봉이네 집]]
[[문장독본]]
+
*[[同胞に寄す]]
[[운명]]
+
*[[원효대사]]
[[단종애사]]
+
*[[가천교장]]
[[사랑의 피안]]
+
*[[사천년]]
[[사랑]]
+
*[[元述の出征]]
[[사랑의 동명왕]]
+
*[[유랑]]
[[파리; 무명]]
+
*[[혁명가의 안해]]
[[춘원 선집]]
+
*[[나‧소년편]]
[[문학과 평론]]
+
*[[꿈]]
[[이광수 전집]]
+
*[[나]]
[[이광수 대표작선집]]
+
*[[도산 안창호]]
[[이광수 전집]]
+
*[[나‧스무 살 고개]]
[[문학에 뜻을 두는 이에게]]
+
*[[나의 고백]]
 +
*[[스무 살 고개]]
 +
*[[이순신]]
 +
*[[방랑자]]
 +
*[[선도자]]
 +
*[[애욕의 피안]]
 +
*[[서울]]
 +
*[[사랑의 동명왕]]
 +
*[[사랑]]
 +
*[[사랑의 죄]]
 +
*[[유정]]
 +
*[[방랑자]]
 +
*[[그 여자의 일생]]
 +
*[[그의 자서전]]
 +
*[[스무 살 고개]]
 +
*[[흙]]
 +
*[[문장독본]]
 +
*[[운명]]
 +
*[[단종애사]]
 +
*[[사랑의 피안]]
 +
*[[사랑]]
 +
*[[사랑의 동명왕]]
 +
*[[파리; 무명]]
 +
*[[춘원 선집]]
 +
*[[문학과 평론]]
 +
*[[이광수 전집]]
 +
*[[이광수 대표작선집]]
 +
 
 +
*[[이광수 전집]]
 +
 
 +
*[[문학에 뜻을 두는 이에게]]
  
 
==참고문헌==
 
==참고문헌==

2018년 6월 14일 (목) 02:05 판


이광수(李光洙)

개요

요약

문학 초기를 화려하게 장식했던 대표적인 문인. 일제 말기에 친일 행각으로 인해 한국 근대문학사에 지울 수 없는 오점을 남긴 인물이기도 하다.

생애

일제강점기소설가. 소설가 외에도 시인, 동아일보독립신문 편집국장, 조선일보 부사장 등을 역임하였다. 호는 '춘원(春園)'. 일본식 이름은 '가야마 미쓰로(香山光郞)'. 1905년 8월 일진회의 유학생으로 뽑혀 이듬해 일본에 있는 메이지학원 중학부 3학년에 편입학하게 된다. 이광수는 망명 도중 오산에서 신채호와 만나게 된다. 1911년 이승훈이 ‘105인 사건’으로 구속되자 학감으로 취임해 오산학교의 실질적인 책임자가 된다. 그런데 기독교계인 오산학교에서 학생들에게 생물 진화론톨스토이를 가르친 것이 빌미가 되어 교직에서 물러난다. 이후 와세대 대학에서 공부하며 유학생 잡지 『학지광』을 편집했다. 1918년 북경에서 조선청년독립단 조직에 가담했다. 이후 흥사단에도 가입하였다. 1921년 귀국 이후 국내에서 「허생전」, 「재생」, 「마의 태자」, 「단종애사」, 「이순신」, 「흙」, 「그 여자의 일생」 등의 소설과 「문사와 수양」, 「민족개조론」, 「민족적 경륜」 등의 논설을 써서 발표했다. 1939년에는 친일 문학인들의 모임인 조선문인협회 회장이 되었다. 이후 줄곧 친일 연설을 하며 전국을 순회했다. 해방이 되자 친일파로 지목되어 곤란을 겪었고, 1949년 반민법에 걸려 서대문 형무소에 수감되기도 했다. 6·25전쟁 중인 1950 미처 피난을 떠나지 못하고 7월 12일 납북된다. 이후 강계에서 30여km 떨어진 산악지대의 강추위 속에서 심한 동상에 걸리고, 건강이 더 악화된다. 이후 북한 만포의 한 병원에 있다가 1950년 10월 25일 생을 마감한다.

학력

광무학교 일본 메이지학원 일본 와세다대학교 철학과

저서

문학이란 하오


참고문헌

이광수

이광수

작성자 및 기여자

작성자 : 안애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