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급문학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서동훈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6월 7일 (화) 00:37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요

무산계급의 해방을 위하여 노동자, 농민 등을 대상으로 삼는 계몽적 성격의 문학이다. 흔히들 프롤레타리아 문학이라고도 한다.

역사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사회주의 사상은 전 세계로 퍼지게 되었고, 조선 또한 그런 사회의 영향 아래에 있었다.
3.1운동 이후 조선인들 사이에서 일어난 조선인들의 자아각성, 문화정책으로 노선을 바꾼 일제, 일본 유학을 통해 받아들인 서구 문학 등 여러 사건들이 맞물려 1920년대의 문단은 낭만주의와 계급주의 문학이 성행하게 되었다.
이러한 계급문학은 신경향 문학으라는 이름으로 김기진과 박영희에 의해 조선으로 들어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1]

김기진과 박영희에 조선에서 퍼져나가던 신경향 문학, 이른바 계급문학은 1925년에 본격적으로 세를 불리기 시작하는데.
그 중심에는 1922년에 조직된 염군사(焰群社)와 1923년에 조직된 파스큘라(PASKYULA)가 하나가 된 조직 조선 프롤레타리아 예술가동맹 약칭 카프(KAPF : Korea Artista Proleta Federatio)가 있었다.
이렇게 탄생한 카프는 기관지 <문예운동>을 창간하며 계급문학운동을 본격적으로 시작하였으며, 계급 문단을 집중하고 조직화 시키는 등 계급문학에 있어서 강대한 영향력을 끼쳤다.

계급문학에 대한 인식을 확대시키고 그 중심이 되었던 카프이지만, 동시에 조선에서의 계급문학은 크든 적든 카프의 영향 아래에 있게 되었고, 이는 후술할 두 번의 방향전환 논쟁의 영향을 받게 되었다.

두 번의 방향전환 논쟁

1927년 카프의 주요 인물이었던 김기진이 박영희의 <철야>와 <지옥순례>를 비평한 것으로부터 한 논란이 점화되었다.
이를 시작으로 카프의 문인들은 계급문학에서 추구해야할 것이 예술적 완성인가, 계급 이념의 전파를 위한 수단인가로 분리되었으며, 이를 흔히들 내용-형식 논쟁이라 한다.

이 논쟁으로 인해 김기진을 필두로 하여 무산자 계급을 위한 문학이되, 현실 대중적 확산을 위해 예술적 완성도를 중요시 하는 예술대중화론이 주장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박영희를 필두로 하여 계급문학의 이념성을 강화하기 위해, 경제투쟁에서 정치투쟁으로, 자연발생적 현실의 문학에서 목적의식적 문학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를 목적의식론이라 한다.

내용-형식 논쟁은 박영희의 부전승으로 끝났으며, 이로 인해 카프에서는 계급문학운동의 지향성을 분명하게 정하고 나아갈 수 있었다.
또한 이로인해 계급문학은 형식적 완결성보다는 이념을 중요시하게 되었고, 또한 극도의 정치지향성을 띠게 되었다.
이렇게 1차 방향 전환은 일단락 되었다.

그러나 사회운동의 방향전환이 조직적, 이념적으로 변화하자 계급문학에 있어서도 방향전환 문제가 대두되었다.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