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상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법정스님)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4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8번째 줄: 8번째 줄:
 
| style="width:80px; text-align:center;" |'''한문 명칭''' || 吉祥寺
 
| style="width:80px; text-align:center;" |'''한문 명칭''' || 吉祥寺
 
|-  
 
|-  
| style="text-align:center;"|'''영문''' || Kilsangsa
+
| style="text-align:center;"|'''영문 명칭''' || Kilsangsa
 
|-  
 
|-  
 
| style="text-align:center;"|'''주소''' ||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 2동 323
 
| style="text-align:center;"|'''주소''' ||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 2동 323
17번째 줄: 17번째 줄:
 
|}
 
|}
 
</onlyinclude>
 
</onlyinclude>
 +
 +
  
 
=='''개요'''==
 
=='''개요'''==
22번째 줄: 24번째 줄:
  
 
고급요정 '대원각(大苑閣)'을 운영하던 김영한님이 1987년 '무소유'를 읽고 감동하여 7,000여 평의 대지와 40여 동의 부동산을 법정스님에게 기증할 뜻을 전하여 1995년 그 뜻이 받아들여진다. 1995년 6월 '대법사'로 등록한 후 1997년 12월 14일 『맑고 향기롭게』 근본도량 길상사로 사찰명을 바꾸어 많은 사람들의 관심 속에서 개원되었다.
 
고급요정 '대원각(大苑閣)'을 운영하던 김영한님이 1987년 '무소유'를 읽고 감동하여 7,000여 평의 대지와 40여 동의 부동산을 법정스님에게 기증할 뜻을 전하여 1995년 그 뜻이 받아들여진다. 1995년 6월 '대법사'로 등록한 후 1997년 12월 14일 『맑고 향기롭게』 근본도량 길상사로 사찰명을 바꾸어 많은 사람들의 관심 속에서 개원되었다.
 +
  
 
=='''건물'''==
 
=='''건물'''==
 +
[[길상사/건물]] 문서 참고
 +
 +
===[[대원각]]===
 +
 +
1951년 무렵, 기생 김영한이 일제강점기에 '청암장'이라 불리던 별장을 매입하여 대원각이라는 이름을 붙이고 운영한 고급요정이다. 초창기에는 김영한이 바위 사이 골짜기에 맑은 물이 흐르는 배밭골과 청암장을 사들여 한식당으로 운영하였다. 그러나 [[제3공화국]] 시절 3대 요정의 하나였던 대원각이 되었다. 1997년 12월 14일 대원각이 길상사가 되기 전까지도 정·재계인물들 중에서도 고위층 인사들이 자주 드나드는 국내 3대 요정이었다.
 +
 +
 +
=='''인물'''==
 +
 +
===[[법정스님]]===
 +
법정스님(1932~2010); 1932년 전남 해남 우수영에서 태어났다. 스무 살 즈음 한국 전쟁의 비극을 경험하고 인간의 선의지와 삶과 죽음에 고뇌하며 진리의 길을 찾아 나섰다. 1955년 효봉 스님을 은사로 사미계를 받은 후 해인사 선원과 강원에서 수행자의 기초를 다지고 1959년 자운 율사를 계사로 비구계를 받았다. 1973년 불교계 처음으로 민주화 운동에 참여한 스님은 1975년 불일암을 짓고 무소유의 정신을 지성과 글쓰기로 널리 전파하였다. 하지만 끊임없이 찾아드는 사람들로 다시 출가하는 마음으로 1992년 강원도 산골 오두막으로 거처를 옮기고 홀로 수행 전진하였다. 1993년 순수 시민운동을 주창하고 여러 권의 저서를 통해 개인의 청정과 1994년 3월 사회적으로 맑고 향기롭게 살아가기 운동을 일관되게 주창하였다. 스님의 무소유 사상에 감동한 길상화 보살이 7천여 평의 대원각을 시주하여 1997년 12월 14일 '맑고 향기롭게 근본도량 길상사'를 창건하였다. 폐암이 깊어진 후에도 침상에서 예불을 거르지 않았으며 '금생에 저지른 허물은 생사를 넘어 참회할 것이다. 이제 시간과 공간을 버려야겠다.'는 말씀으로 생과 사가 다르지 않음을 일깨워주시고 2010년 3월 11일(음력 1월 26일)에 길상사 행지실(현재 진영각)에서 입적하였다.
 +
 +
===[[김영한|길상화 (김영한)]]===
 +
김영한(吉祥華:1916~1999); 1916년에 태어나 16세에 기생으로 입문하였다. 성북동 배발곹에서 대원각을 운영하다 생애의 높고 아름다운 회향을 생각하고 대원각 터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54436&cid=46648&categoryId=46648 무주상보시](無住相布施) 하였다. '길상사'로 창건되는 법석에서 법정스님으로부터 염주 한 벌과 '길상화(吉祥華)'라는 불명(佛名)을 받은 그녀는 '나 죽으면 화장해서 눈이 많이 내리는 날 길상헌 뒤 뜰에 뿌려 주시오'라는 유언을 남기고 1999년 11월 14일(음력 10월 7일) 돌아가셨다.
 +
 +
===[[백석]]===
 +
본명은 백기행(白夔行).
 +
1912년 7월 1일 평안북도 정주에서 태어나 오산소학교를 졸업하고 오산학교에 입학하였다. 그는 오산학교를 다니며 독서에 빠지게 되었고 6년 선배인 김소월을 동경하면서 시인의 꿈을 키웠다.
 +
1929년 오산학교 졸업 후 일본 도쿄의 아오야마 학원 영어사범과에 입학하였다. 그는 유학 중에 일본 시인 이시카와 다쿠보쿠(石川啄木)의 시를 즐겨 읽었고, 모더니즘 운동에 관심을 가졌다.
 +
졸업 후 귀국하여 조선일보 출판사에서 근무하였으며 1935년 조선일보에 시 '정주성'을 발표하며 등단하였다. 1936년 시집 <사슴>을 한정판으로 간행하였다. 같은 해에 조선일보사를 그만 두고 함경남도 함흥으로 가 영생고보의 영어 교사로 부임하였다. 함흥에서 기생 [[김영한]]을 만나 사랑에 빠지고 그녀에게 '자야'라는 이름을 지어주었다. 《통영(統營)》 《고향》 《북방(北方)에서》 《적막강산》 등 대표작은 토속적이고 향토색이 짙은 서정시들이다.
 +
지방적,민속적인 것에 집착하며 특이한 경지를 개척하는데 성공한 시인으로 8·15광복 후에는 고향에 머물렀다.
 +
1963년을 전후하여 협동농장에서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최근 연구자에 의해 유족 확인을 거친 후, 사망연도가 1996년임이 밝혀졌다.
 +
 +
 +
=='''[[맑고 향기롭게]]'''==
 +
 +
===시민모임 「맑고 향기롭게」===
 +
㈔시민모임 맑고 향기롭게; '맑음은 개인의 청정을, 향기로움은 그 청정의 사회적 메아리를 뜻한다.' 시민모임 『맑고 향기롭게』는 부처님의 가르침을 근본으로 지혜와 자비의 실천운동으로 마음, 세상, 자연을 맑고 향기롭게 가꾸기 위한 9가지 실천덕목을 생활 속에서 지향하는 순수 시민모임이다.
 +
 +
부처님의 가르침을 바탕으로 우리 마음과 세상, 자연을 본모습 그대로 맑고 향기롭게 가꾸며 살아가기 위한 활동과 구체적인 실천행을 도모하여 맑고 향기로운 사회를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법덩스님이 주창하신 '마음을, 세상을, 자연을 맑고 향기롭게'라는 아홉 가지 실천덕목을 바탕으로 1994년 3월 26일 첫 모임을 가짐.
 +
 +
1997년 길상화 보살의 무주상보시로 창건된 「맑고 향기롭게 근본도량」길상사내에 법인사무국을 두고 있다.
  
====일주문====
 
사찰에 들어갈 때 가장 먼저 통과하는 문으로 일심(一心)을 뜻한다. 본래 궁궐식 단청이었으나 2013년 6월 불교식 단청으로 새롭게 조성하였으며, '삼각산 길상사' 현판은 추사선생 이후 최고 명필로 손꼽히는 여초 김응현 선생의 작품이다. 일주문 양쪽주련에는 '神光不昧 萬古徽猷 入此門來 莫存知解(신광불매 만고휘유 입차문래 막존지해/신령스런 광명이 어둡지 않아 만고에 빛나니 이 문에 들어오거든 알음알이를 두지 말라.)'라는 글이 새겨져 있다.
 
*안내실
 
일주문 오른쪽에 있으며 사찰안내와 불교용품 등을 구입할 수 있다.
 
*종무소
 
일주문 왼쪽에 있으며 길상사의 종무 행정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극락전====
+
==='''맑고 향기롭게''' 실천 덕목===
길상사의 큰 법당으로 중앙에 주불인 아미타부처님을 모시고 좌우에 관세음보살과 지장보살을 모셨다. 시주자의 공덕을 기리고 불자들의 이고득락(離苦得樂)을 바라는 마음으로 정토(淨土)를 상징하는 아미타 부처님을 주불로 삼았으며 아미타후불탱화는 먹 바탕에 금니로 불화장 김의식 선생이 그렸다.
 
  
====지장전====
+
*마음을 맑고 향기롭게
지장보살을 주불로 모시고 좌우에 도명존자와 무독귀왕이 서 있다. 지장보살은 지옥을 포함해 모든 중생을 제도하고자 원력을 세운 분이다. 선운사 도솔암의 지장보살상을 모델로 삼았으며, 지장시왕탱화는 고려 분화 양식으로 홍바탕에 금니로 그렸다. 불단 뒤로 들어가면 영구 위패실이 있고, 주야로 아미타 염불 소리가 끊이없이 들리며 모든 영가들의 천도를 발원하고 있다.
+
맑고 향기로운 마음을 늘 지니고 살기 위해 참선수행을 하고
  
====설법전====
+
좋은 글을 항상 가까이 합니다.  
법을 설하는 공간으로, 일요법회, 불교대학, 불교강좌, 템플스테이이, 불교문화를 중심으로 교육을 진행하는 전각이다. 석가모니 부처님을 주불로 모셨고 탱화 대신 청불을 봉안하였다.
 
*교무실
 
설법전 옆에 있으며 불교대학, 템플스테이 등 불교 전반에 대한 교육 행정이 이뤄지는 곳이다.
 
  
====진영각====
+
욕심을 줄이고 만족하며 삽시다.  
[[법정스님]]이 길상사에 오시면 잠시 머무르던 처소로서(옛 행지실) 제자들에게 유훈을 남기시고 입적하신 곳이다. 법정스님의 맑고 향기로운 '무소유' 가르침을 기리고자 스님의 유품과 저서 등을 정리하여 2013년 3월 7일 법정스님 입적 3주기에 맞춰 개원했다. 입구에는 조고각하(자신의 존재를 살피시고 신발을 가지런히 벗으세요)가 적혀있다. 문에는 들어가서는 사진을 찍는 것을 금하고 있다. 앞에는 맑고 향기롭게 책자가 꽂혀있어 가져갈 수 있게 두었다.
 
  
====길상화 공덕비====
+
화내지 말고 웃으며 삽시다.
대원각 터를 무주상보시한 길상화 보살의 공덕을 기리기 위한 비석
 
  
====길상7층보탑====
+
나 혼자만 생각 말고 더불어 삽시다.
조선 중기에 걸린됩 것으로 추정되며 지혜와 용맹을 상징하는 네 마리 암수 사자가 기둥 역할을 하고 입을 연 두 마리는 교(敎)를 상징하고 입을 다문 두 마리는 선(禪)을 상징한다. 4사자 가운데 모셔진 석가모니 부처님의 수인(手印)은 정면에서 시계방향으로 선정인, 향마촉지인, 통인, 전법륜인을 하고 있다. 영안모자 백성학 회장님이 법정스님과 길상화보살님의 고귀한 뜻을 기리고 종교 화합의 의미로 기증하여 2012년 11월 11일 기단부에 오장경, 금강저, 오불, 108침향염주, 다라니 등을 봉안하였다. 시절인연으로 미얀마의 제1보궁 우뚜리와 완사 큰스님이 1600년 전 고탑 해체 과정에서 직접 출토하신 부처님 오색정골사리, 구강사리, 응혈사리와 제자인 목건련존자, 마하가섭존자, 라훌라존자 등 사리를 2013년 8월 25일 탑신부에 봉인하였다.
 
  
====길상도서관====
+
*세상을 맑고 향기롭게
여러 가지 불교도서와 일반장서를 갖추고 있으며,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독서의 공간이다.
+
외로운 이들, 결식이웃들을 위해
  
====길상선원====
+
작은 정성이라도 나누고 덜어주기를 성심껏 합니다.
재가자를 위한 시민선원으로 참선을 위한 수행 공간이다.
 
  
====길상헌====
+
나누어 주며 삽시다.
길상화 보살이 생전 머물던 곳이며 구참스님이나 법사스님이 오셨을 때 머무는 처소로 이용된다
 
  
====적묵당====
+
양보하며 삽시다.
신행단체 모임 및 연등공방 등으로 이용된다
 
  
====[[맑고 향기롭게]]====
+
남을 칭찬하며 삽시다.
사단법인 맑고 향기롭게 법인사무국으로 법정스님의 가르침에 따라 마음, 세상, 자연을 맑고 향기롭게 가꾸며 실천하는 운동을 전국적으로 펼치고 있다.
 
  
====범종각====
+
*자연을 맑고 향기롭게
소리를 통해 부처님의 진리를 중생에게 전하고 지옥중생들을 규제 빛 교화하기 위한 사물 중의 하나로 개원 당시 길상화 보살의 단독 시주로 조성되었다가 2009년 범종에 금이 가 불자들의 시주를 모아 새로 봉안하면서 단청 하였다.
+
우리꽃과 나무를 심고 가꾸며 생명의 존엄을 배우고
  
====침묵의 집====
+
사소한 일상생활일지라도 생태적으로 살고자 합니다.
일반인들이 조용히 참선, 명상을 할 수 있는 공간이다.
 
  
====나누는 기쁨(찻집)====
+
우리 것을 아끼고 사랑합시다.
차를 마시며 대화와 휴식을 할 수 있는 공간이다.
 
  
====정랑====
+
꽃 한 포기, 나무 한 그루 가꾸며 삽시다.
뒷간을 불가에서 전통적으로 부르는 이름이다. 법정스님이 2009년 2월 동안거 해제법회에서 정랑이라는 말을 회복하자고 하셨다.
 
  
<gallery>
+
덜 쓰고 덜 버립시다.
파일:일주문2.jpg|700px|일주문
+
 
파일:상담실.jpg|700px|안내실
+
=='''길상사 위치'''==
파일:극락전.jpg|700px|극락전
+
 
파일:지장전2.jpeg|700px|지장전
+
<div>
파일:설법전.jpg|700px|설법전
+
{{
파일:진영각.jpg|700px|진영각
+
#display_map:  
파일:공덕비.jpg|700px|길상화 공덕비
+
37.599122, 126.994388~ ~ ~ ~ ~[[길상사]]
파일:종교화합.jpg|700px|관음석상
+
|service=googlemaps3
파일:7층보탑.jpg|700px|길상7층보탑
+
|width=550
파일:길상도서관.jpeg|700px|길상도서관 및 나누는 기쁨(찻집)
+
|height=400
파일:길상선원.jpg|700px|길상선원
+
|type=normal
파일:적묵당.jpg|700px|적묵당
+
|overlays=videos-1,wikipedia
파일:송월각.jpg|700px|스님들의 방사 중 송월각
+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파일:스님들방사.jpg|700px|스님들의 방사 중 하나
+
|zoom=12
파일:스님들방사2.jpg|700px|스님들의 방사 중 하나
+
}}
파일:침묵의_집.jpg|700px|침묵의 집
+
</div>
파일:맑고.jpg|700px|맑고 향기롭게 사무국
 
</gallery>
 
  
=='''인물'''==
 
  
===[[법정스님]]===
+
* 찾아오는 길
법정스님(1932~2010); 1932년 전남 해남 우수영에서 태어났다. 스무 살 즈음 한국 전쟁의 비극을 경험하고 인간의 선의지와 삶과 죽음에 고뇌하며 진리의 길을 찾아 나섰다. 1955년 효봉 스님을 은사로 사미계를 받은 후 해인사 선원과 강원에서 수행자의 기초를 다지고 1959년 자운 율사를 계사로 비구계를 받았다. 1973년 불교계 처음으로 민주화 운동에 참여한 스님은 1975년 불일암을 짓고 무소유의 정신을 지성과 글쓰기로 널리 전파하였다. 하지만 끊임없이 찾아드는 사람들로 다시 출가하는 마음으로 1992년 강원도 산골 오두막으로 거처를 옮기고 홀로 수행 전진하였다. 1993년 순수 시민운동을 주창하고 여러 권의 저서를 통해 개인의 청정과 1994년 3월 사회적으로 맑고 향기롭게 살아가기 운동을 일관되게 주창하였다. 스님의 무소유 사상에 감동한 길상화 보살이 7천여 평의 대원각을 시주하여 1997년 12월 14일 '맑고 향기롭게 근본도량 길상사'를 창건하였다. 폐암이 깊어진 후에도 침상에서 예불을 거르지 않았으며 '금생에 저지른 허물은 생사를 넘어 참회할 것이다. 이제 시간과 공간을 버려야겠다.'는 말씀으로 생과 사가 다르지 않음을 일깨워주시고 2010년 3월 11일(음력 1월 26일)에 길상사 행지실(현재 진영각)에서 입적하였다.
+
지하철 4호선 한성대입구역 6번 출구 -> 삼선교, 성북문화원 정류장에서 성북02번 버스 탑승
  
===김영한===
+
=='''관련 항목'''==
김영한(吉祥華:1916~1999); 1916년에 태어나 16세에 기생으로 입문하였다. 성북동 배발곹에서 대원각을 운영하다 생애의 높고 아름다운 회향을 생각하고 대원각 터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54436&cid=46648&categoryId=46648 무주상보시](無住相布施) 하였다. '길상사'로 창건되는 법석에서 법정스님으로부터 염주 한 벌과 '길상화(吉祥華)'라는 불명(佛名)을 받은 그녀는 '나 죽으면 화장해서 눈이 많이 내리는 날 길상헌 뒤 뜰에 뿌려 주시오'라는 유언을 남기고 1999년 11월 14일(음력 10월 7일) 돌아가셨다.
 
  
===[[백석]]===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
| [[길상사]] || [[법정스님]] || A는 B에 의해 만들어졌다. ||
 +
|-
 +
| [[길상사]] || [[김영한]] || A는 B에 의해 만들어졌다. ||
 +
|-
 +
| [[길상사]] || [[대원각]] || B는 A의 과거 건물 이름이다. ||
 +
|-
 +
| [[길상사]] || [[맑고 향기롭게]] || B는 A의 대표 운동이다. || 
 +
|
 +
|}
  
=='''[[맑고 향기롭게]]'''==
+
=='''참고문헌'''==
  
===시민모임 「맑고 향기롭게」===
+
[http://kilsangsa.info/home/default_in.asp 길상사]
㈔시민모임 맑고 향기롭게; '맑음은 개인의 청정을, 향기로움은 그 청정의 사회적 메아리를 뜻한다.' 시민모임 『맑고 향기롭게』는 부처님의 가르침을 근본으로 지혜와 자비의 실천운동으로 마음, 세상, 자연을 맑고 향기롭게 가꾸기 위한 9가지 실천덕목을 생활 속에서 지향하는 순수 시민모임이다.
 
  
부처님의 가르침을 바탕으로 우리 마음과 세상, 자연을 본모습 그대로 맑고 향기롭게 가꾸며 살아가기 위한 활동과 구체적인 실천행을 도모하여 맑고 향기로운 사회를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법덩스님이 주창하신 '마음을, 세상을, 자연을 맑고 향기롭게'라는 아홉 가지 실천덕목을 바탕으로 1994년 3월 26일 첫 모임을 가짐.
+
[http://www.clean94.or.kr/ 맑고 향기롭게]
  
1997년 길상화 보살의 무주상보시로 창건된 「맑고 향기롭게 근본도량」길상사내에 법인사무국을 두고 있다.
+
[https://namu.wiki/w/%EA%B8%B8%EC%83%81%EC%82%AC 나무위키 길상사]
  
==='''맑고 향기롭게'''실천 덕목===
+
=='''작성자 및 기여자'''==
 +
작성자 및 기여자 : 삼삼오오 조원 전체
  
=='''[[연등]]'''==
+
[[분류:장소]] [[분류:삼삼오오]] [[분류:양준]] [[분류:권순영]] [[분류:변지현]] [[분류:정윤서]] [[분류:김연정]] [[분류:디지털휴머니티의 이해]] [[분류: 장소]]

2019년 6월 4일 (화) 09:16 기준 최신판



개요

길상사(吉祥寺)는 대한불교 조계종 21교구 송광사 말사로 삼각산 남쪽 자락에 자리 잡고 있다.

고급요정 '대원각(大苑閣)'을 운영하던 김영한님이 1987년 '무소유'를 읽고 감동하여 7,000여 평의 대지와 40여 동의 부동산을 법정스님에게 기증할 뜻을 전하여 1995년 그 뜻이 받아들여진다. 1995년 6월 '대법사'로 등록한 후 1997년 12월 14일 『맑고 향기롭게』 근본도량 길상사로 사찰명을 바꾸어 많은 사람들의 관심 속에서 개원되었다.


건물

길상사/건물 문서 참고

대원각

1951년 무렵, 기생 김영한이 일제강점기에 '청암장'이라 불리던 별장을 매입하여 대원각이라는 이름을 붙이고 운영한 고급요정이다. 초창기에는 김영한이 바위 사이 골짜기에 맑은 물이 흐르는 배밭골과 청암장을 사들여 한식당으로 운영하였다. 그러나 제3공화국 시절 3대 요정의 하나였던 대원각이 되었다. 1997년 12월 14일 대원각이 길상사가 되기 전까지도 정·재계인물들 중에서도 고위층 인사들이 자주 드나드는 국내 3대 요정이었다.


인물

법정스님

법정스님(1932~2010); 1932년 전남 해남 우수영에서 태어났다. 스무 살 즈음 한국 전쟁의 비극을 경험하고 인간의 선의지와 삶과 죽음에 고뇌하며 진리의 길을 찾아 나섰다. 1955년 효봉 스님을 은사로 사미계를 받은 후 해인사 선원과 강원에서 수행자의 기초를 다지고 1959년 자운 율사를 계사로 비구계를 받았다. 1973년 불교계 처음으로 민주화 운동에 참여한 스님은 1975년 불일암을 짓고 무소유의 정신을 지성과 글쓰기로 널리 전파하였다. 하지만 끊임없이 찾아드는 사람들로 다시 출가하는 마음으로 1992년 강원도 산골 오두막으로 거처를 옮기고 홀로 수행 전진하였다. 1993년 순수 시민운동을 주창하고 여러 권의 저서를 통해 개인의 청정과 1994년 3월 사회적으로 맑고 향기롭게 살아가기 운동을 일관되게 주창하였다. 스님의 무소유 사상에 감동한 길상화 보살이 7천여 평의 대원각을 시주하여 1997년 12월 14일 '맑고 향기롭게 근본도량 길상사'를 창건하였다. 폐암이 깊어진 후에도 침상에서 예불을 거르지 않았으며 '금생에 저지른 허물은 생사를 넘어 참회할 것이다. 이제 시간과 공간을 버려야겠다.'는 말씀으로 생과 사가 다르지 않음을 일깨워주시고 2010년 3월 11일(음력 1월 26일)에 길상사 행지실(현재 진영각)에서 입적하였다.

길상화 (김영한)

김영한(吉祥華:1916~1999); 1916년에 태어나 16세에 기생으로 입문하였다. 성북동 배발곹에서 대원각을 운영하다 생애의 높고 아름다운 회향을 생각하고 대원각 터를 무주상보시(無住相布施) 하였다. '길상사'로 창건되는 법석에서 법정스님으로부터 염주 한 벌과 '길상화(吉祥華)'라는 불명(佛名)을 받은 그녀는 '나 죽으면 화장해서 눈이 많이 내리는 날 길상헌 뒤 뜰에 뿌려 주시오'라는 유언을 남기고 1999년 11월 14일(음력 10월 7일) 돌아가셨다.

백석

본명은 백기행(白夔行). 1912년 7월 1일 평안북도 정주에서 태어나 오산소학교를 졸업하고 오산학교에 입학하였다. 그는 오산학교를 다니며 독서에 빠지게 되었고 6년 선배인 김소월을 동경하면서 시인의 꿈을 키웠다. 1929년 오산학교 졸업 후 일본 도쿄의 아오야마 학원 영어사범과에 입학하였다. 그는 유학 중에 일본 시인 이시카와 다쿠보쿠(石川啄木)의 시를 즐겨 읽었고, 모더니즘 운동에 관심을 가졌다. 졸업 후 귀국하여 조선일보 출판사에서 근무하였으며 1935년 조선일보에 시 '정주성'을 발표하며 등단하였다. 1936년 시집 <사슴>을 한정판으로 간행하였다. 같은 해에 조선일보사를 그만 두고 함경남도 함흥으로 가 영생고보의 영어 교사로 부임하였다. 함흥에서 기생 김영한을 만나 사랑에 빠지고 그녀에게 '자야'라는 이름을 지어주었다. 《통영(統營)》 《고향》 《북방(北方)에서》 《적막강산》 등 대표작은 토속적이고 향토색이 짙은 서정시들이다. 지방적,민속적인 것에 집착하며 특이한 경지를 개척하는데 성공한 시인으로 8·15광복 후에는 고향에 머물렀다. 1963년을 전후하여 협동농장에서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최근 연구자에 의해 유족 확인을 거친 후, 사망연도가 1996년임이 밝혀졌다.


맑고 향기롭게

시민모임 「맑고 향기롭게」

㈔시민모임 맑고 향기롭게; '맑음은 개인의 청정을, 향기로움은 그 청정의 사회적 메아리를 뜻한다.' 시민모임 『맑고 향기롭게』는 부처님의 가르침을 근본으로 지혜와 자비의 실천운동으로 마음, 세상, 자연을 맑고 향기롭게 가꾸기 위한 9가지 실천덕목을 생활 속에서 지향하는 순수 시민모임이다.

부처님의 가르침을 바탕으로 우리 마음과 세상, 자연을 본모습 그대로 맑고 향기롭게 가꾸며 살아가기 위한 활동과 구체적인 실천행을 도모하여 맑고 향기로운 사회를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법덩스님이 주창하신 '마음을, 세상을, 자연을 맑고 향기롭게'라는 아홉 가지 실천덕목을 바탕으로 1994년 3월 26일 첫 모임을 가짐.

1997년 길상화 보살의 무주상보시로 창건된 「맑고 향기롭게 근본도량」길상사내에 법인사무국을 두고 있다.


맑고 향기롭게 실천 덕목

  • 마음을 맑고 향기롭게

맑고 향기로운 마음을 늘 지니고 살기 위해 참선수행을 하고

좋은 글을 항상 가까이 합니다.

욕심을 줄이고 만족하며 삽시다.

화내지 말고 웃으며 삽시다.

나 혼자만 생각 말고 더불어 삽시다.

  • 세상을 맑고 향기롭게

외로운 이들, 결식이웃들을 위해

작은 정성이라도 나누고 덜어주기를 성심껏 합니다.

나누어 주며 삽시다.

양보하며 삽시다.

남을 칭찬하며 삽시다.

  • 자연을 맑고 향기롭게

우리꽃과 나무를 심고 가꾸며 생명의 존엄을 배우고

사소한 일상생활일지라도 생태적으로 살고자 합니다.

우리 것을 아끼고 사랑합시다.

꽃 한 포기, 나무 한 그루 가꾸며 삽시다.

덜 쓰고 덜 버립시다.

길상사 위치

지도를 불러오는 중...


  • 찾아오는 길

지하철 4호선 한성대입구역 6번 출구 -> 삼선교, 성북문화원 정류장에서 성북02번 버스 탑승

관련 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길상사 법정스님 A는 B에 의해 만들어졌다.
길상사 김영한 A는 B에 의해 만들어졌다.
길상사 대원각 B는 A의 과거 건물 이름이다.
길상사 맑고 향기롭게 B는 A의 대표 운동이다.

참고문헌

길상사

맑고 향기롭게

나무위키 길상사

작성자 및 기여자

작성자 및 기여자 : 삼삼오오 조원 전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