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교육 자료로서 무정)
(평가)
41번째 줄: 41번째 줄:
  
 
==평가==
 
==평가==
 +
*여성의식
 +
봉건적 질서에 대한 부정적 시각을 바탕으로 여성문제를 포함한 당시 조선사회의 제문제들이 구체적으로 드러나 있어 당시 여성의 사회적 위치를 살펴볼 수 있는 적절한 텍스트다.
 +
 
==한계==
 
==한계==
 
==관련 콘텐츠==
 
==관련 콘텐츠==

2019년 6월 4일 (화) 09:27 판


무정

개요

<무정>은 신소설의 통속성에서 벗어나 계몽담론을 서사적으로 구현함으로써 등장한 ‘근대적인 장편소설이라는 점에서 한국문학사에서 중요하게 평가받고 있다.1

줄거리

  • 등장인물
    • 이형식
    • 박영채
    • 김병욱
    • 김선형

특징

교육 자료로서 무정

무정의 교과서 수록

<무정>은 문학 과목의 내용 체계 가운데서 주로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문학과 매체’, ‘한국 문학의 범위와 역사’에, 2011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한국문학의 갈래와 흐름’에 관련되어 있음.

<무정>은 13종 문학교과서 가운데 9종에서 본문이나 제재로 활용되었다. 이 가운데 5종에서는 문학사와 관련된 측면에서, 나머지 4종에서는 문학소통과 관련된 측면에서 다루어지고 있다.

  • ‘문학과 매체’에서는 근대로 오면서 소설이 신문 연재를 통해 소통되는 상황을 교육 내용으로 삼기 위해 선택했다. ‘문학의 소통과 매체 확장’이라는 대단원명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무정>은 소통 활동으로서 문학의 특성과 작가, 작품, 독자의 관계를 중심으로 문학소통의 특징과 양상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제재로 활용되고 있다.
  • ‘한국문학의 범위와 역사’나 ‘한국문학의 갈래와 흐름’과 관련해서는 <무정>을 비롯해 염상섭의 <만세전>, 최인훈의 <광장>이 다수의 교과서에 중복 수록된 점을 미루어 볼 때 문학사적 평가가 어떤 작품들에 집중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무정>의 문학사적 의의에 대한 부각과 함께 현실을 대하는 인물의 태도에 관한 질문을 학습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간이 지날수록 비중이 감소되고 있음과 문학사와 매체 영역에서 문학사 중심으로 단원이 편성되고 있다.

본문이 아닌 학습활동의 제재로 활용되면서 문학 과목에서의 활용도가 점차 줄어들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1

평가

  • 여성의식

봉건적 질서에 대한 부정적 시각을 바탕으로 여성문제를 포함한 당시 조선사회의 제문제들이 구체적으로 드러나 있어 당시 여성의 사회적 위치를 살펴볼 수 있는 적절한 텍스트다.

한계

관련 콘텐츠

  • 영화

RDF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무정 근대소설 A는 B이다.
무정 이광수 B가 A를 작성했다.
무정 자유연애사상 A에 B가 담겨있다.
무정 최초 근대 소설 A는 B이다.
무정 민족주의사상 A에 B가 담겨있다.

출처

1 박성근,(2016).교과서를 통해 본 무정 교육 연구.,51(),49-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