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석 별장 현재 모습"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onlyinclude>
+
[[파일:별장대문.png|400px||]]
{|class="metadata" style="background:#f2f2f2; width:320px; margin: 5px 5px 5px 5px;" cellspacing="10" align="right"
 
|-
 
| style="width:80px; text-align:center;" |'''이름''' || 성북동 이종석별장
 
|-
 
| style="text-align:center;"|'''지정번호''' || 민속문화재 제10호
 
|-
 
| style="text-align:center;"|'''소재지''' ||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동 243-4
 
|-
 
| style="text-align:center;"|'''제작시기''' ||  1900년대로 추정
 
|-
 
| style="text-align:center;"|'''소유자''' || [http://ducksoo.net/ 덕수교회]
 
|-
 
|}
 
</onlyinclude>
 
  
==개요==
+
성북동길을 올라가다가 성북2동사무소 건너편에 있는 덕수교회를 왼쪽으로 끼고 꺾어 올라가
 +
이 가옥의 바깥마당을 지나 오른쪽으로 돌면 '''일각대문'''이 나온다.
  
서울특별시 민속자료 제10호. 마포 새우젓장사로 부자가 된 이종석이 70∼80년전 별장으로 건축한 집이다. 서향한 대문을 들어서면 바깥마당이고, 이의 동북쪽에 안채가 있고 북쪽에 행랑채가 자리잡고 있다.
 
  
==상세 내용==
+
[[파일:별장행랑채.jpg|400px|||행랑채]]
이 가옥은 크게 안채와 이에 부속된 행랑채로 구성되었다. 성북동길을 올라가다가 성북2동사무소 건너편에 있는 덕수교회를 왼쪽으로 끼고 꺾어 올라가 이 가옥의 바깥마당을 지나 오른쪽으로 돌면 대문이 나온다. 대지의 남쪽에 위치한 대문을 들어서면 행랑마당이 나오는데, 행랑마당 맞은쪽에 안마당으로 통하는 중문이 있고, 행랑마당 서쪽 모퉁이에 행랑채가 있다. 안마당 뒤, 서북쪽에 자리잡은 안채는 사랑채 비슷한 별장의 성격을 띤 건물이다. 안채는 동남향하며 자리잡았고, 동쪽으로는 정원이 가꾸어져 있다. 이 가옥 뒤편으로는 소나무와 전나무로 숲을 이루는 낮은 언덕이 펼쳐져 있고, 바깥마당 서북쪽으로는 우물이 있으며, 안마당에는 정원이 가꾸어져 있다. 대지 주위로는 회색 전벽돌로 쌓은 영롱담이 둘러져 있는데, 지금의 것은 1997년 다시 쌓은 것이라고 한다. 원래 안채 동남쪽 아래 현재 주차장 자리에는 연당과 정자가 있었다고 하나 지금은 없다.
 
  
 +
행랑마당 서쪽 모퉁이에 [[행랑채]]가 있다. '''[[행랑채]]'''는 일반적으로 지붕이 낮고 작은 규모인데 이 가옥의 행랑채는 특이하게도 ‘ㄱ’자형으로 일반적인 가옥의 공간 구성이다.
  
=='''이종석 별장의 원래 모습'''==
 
[[파일: 예전 별장 모습.png|300px]]
 
  
이 별장은 1960년부터 대림산업에서 소유하고 있다가 1995년에 덕수교회에서 매입 후 1997년 보수된 후에 성북동 덕수교회에서 관리하는 문화재이다.
+
[[파일:별장안채.jpg|400px||]] [[파일:별장누마루.png|400px||]]
현재는 교회의 교육관으로 쓰이면서 원래의 구조, 모습이 사용에 맞게 보수공사되어 있었다.
 
*덕수교회(대한예수교 장로회 통합측)는 1946년 3월 10일 원로목사이신 고 최거덕 목사와 7세대의 교인들이 모여 정동서학재에서 시작되었으며 1984년 성북동으로 이전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이종석 별장 외부 모습'''==
+
안마당 뒤, 서북쪽에 자리잡은 '''[[안채]]''''''[[사랑채]]'''와 비슷한 별장의 성격을 띤 건물이다. ‘ㄱ’자형의 [[안채]]는 동남향으로 자리잡았고, 대청을 중심으로 오른쪽에는 [[누마루]]를 두고 왼쪽에는 안방을 두었다. 조선시대 양반가옥에서 볼 수 있었던 '''[[누마루]]'''를 사용하였다는 점에서 [[조선 후기]] 신분에 따른 주거 형식의 경계가 허물어진 모습을 볼 수 있다. 동쪽으로는 정원이 가꿔져 있다. 이 가옥 뒤편으로는 소나무와 전나무로 숲을 이루는 낮은 언덕이 펼쳐져 있고, 바깥마당 서북쪽으로는 우물이 있으며, 안마당에는 정원이 가꿔져 있다.
 
 
===바깥===
 
 
 
바깥마당에는 우물, 연당, 계단, 그리고 작은 정자가 있었지만 현재는 교회의 편의를 위해 콘크리트 주차장으로 변하였고 우물 등등이 사라졌다.
 
*우물-음료수를 얻기 위하여 땅을 파서 지하수를 괴게 한 설비
 
*연당-연꽃을 구경하기 위하여 연못가에 지어 놓은 정자
 
*정자-경치가 좋은 곳에 놀거나 쉬기 위하여 지은 집. 벽이 없이 기둥과 지붕만 있다.
 
 
 
===담===
 
 
 
[[파일: 01.png|300px]]
 
 
 
원래 이종석 별장의 담은 전통적인 한옥 돌담양식이었다. 그러나 현재는 한양도성 바깥쪽 숲 속에 높게 축대를 쌓은 다음에 구운 검은색 벽돌로 쌓아 올린 담으로 보수되어 있다. 이는 1997년에 보수하면서 이렇게 변화하였다. 미학적으로 디자인하기 위해 벽돌을 십자모양으로 빈 공간을 만들어 놓았다.
 
 
 
 
 
=='''이종석 별장 내부 모습'''==
 
 
 
===앞마당===
 
 
 
 
 
편의를 위해 가로등 하나가 설치되어 있으며 작은 외부 수도시설이 작게 나마 설치되어 있다. 마당에 심어진 잔디가 관리되고 있고 담 쪽에 심은 식물마다 이름표를 적어놓았다. 기록을 보면 행랑채와 사랑채 사이에 중문으로 두 공간을 나눠 놓았지만 현재는 중문과 함께 있던 담이 철거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파일: 03.jpg|150px]]
 
 
 
앞마당에는 지금은 사용용도를 알 수 없는 낮은 기둥이 하나 있는데 예전에는 이 곳에 앙구일부같은 해시계가 설치되어 있었다고 한다.  
 
 
 
===뒷마당===
 
 
 
[[파일: 04.jpg|300px]]
 
 
 
뒷마당에는 현재도 사용하고 있는 흔적이 있는 장독대들과 작은 텃밭이 있었다. 지금까지도 사용되고 있다. 이 별장이라는 공간을 보존보다는 활용에 초점을 둔 것을 알 수 있었다.
 
 
 
===별장내부===
 
 
 
[[파일: 051.jpg|100px]][[파일: 052.jpg|400px]][[파일: 053.jpg|100px]]
 
 
 
별장내부는 현대식으로 구성되었다. 내부에는 덕수교회사람들이 이용하기 위해 에어컨, 냉장고, 전등, 철제의자, 감시카메라, 현대식 현관이 있다. 사람들이 개인적으로 사용한 흔적들도 많이 있었다. 최근 기록들을 보면 곳을 수양관 뿐만 아니라 교육관, 회의실, 여가생활의 공간으로 자주 사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종석 별장이 이런 모습인 이유: 보수공사의 급'''==
 
  
 +
==이종석 별장이 이런 모습인 이유: 보수공사의 급'==
 
문화재는 각각 급이 나뉘어져 있다. 제일인 것이 국보, 그 다음으로 보물,이 둘인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66316&cid=43667&categoryId=43667 '''국가지정문화재'''] 이외에도 세 번째로 나라 지정 문화재, 가장 낮은 급이 지역 지정 문화재이다.
 
문화재는 각각 급이 나뉘어져 있다. 제일인 것이 국보, 그 다음으로 보물,이 둘인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66316&cid=43667&categoryId=43667 '''국가지정문화재'''] 이외에도 세 번째로 나라 지정 문화재, 가장 낮은 급이 지역 지정 문화재이다.
 
국보와 보물을 나라에서 지시하지 않는 이상 고칠 수 없다. 나라 지정 문화재 같은 경우도 전통, 기록의 가치를 보존하기 위한 협회의 복원, 발굴, 보수공사만이 허락될 뿐이다.  
 
국보와 보물을 나라에서 지시하지 않는 이상 고칠 수 없다. 나라 지정 문화재 같은 경우도 전통, 기록의 가치를 보존하기 위한 협회의 복원, 발굴, 보수공사만이 허락될 뿐이다.  
 
그러나 지역 지정 문화재는 기업이나 개인이 보수가 가능하다. 지역 지정 문화재는 가치가 있지만 나라에서 관리할 만큼의 중요도는 없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지역 지정 문화재인 이종석 별장은 개인의 생활공간이나 단체의 활용공간으로 쓸 수 있도록 보수, 개조공사가 가능하다. 때문에 이 별장은 복원이 아니라 사용에 초점을 맞춘 보수공사를 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지역 지정 문화재는 기업이나 개인이 보수가 가능하다. 지역 지정 문화재는 가치가 있지만 나라에서 관리할 만큼의 중요도는 없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지역 지정 문화재인 이종석 별장은 개인의 생활공간이나 단체의 활용공간으로 쓸 수 있도록 보수, 개조공사가 가능하다. 때문에 이 별장은 복원이 아니라 사용에 초점을 맞춘 보수공사를 한 것으로 보인다.
 
=='''관련 영상'''==
 
*이종석 별장의 현재 모습↓
 
<youtube>0mFDbzpJd-g</youtube>
 
 
==관련항목==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 [[성북동 이종석별장]] || [[보수공사]] || 성북종 이종석별장을 1997년 보수됨 ||
 
|-
 
|}
 
 
 
=='''작성자 및 기여자'''==
 
*작성자 : [[임석준]]
 
*기여자 : [[김현지]]
 
[[분류:장소]][[분류:임석준]][[분류:김현지]]
 

2018년 6월 21일 (목) 21:06 기준 최신판

별장대문.png

성북동길을 올라가다가 성북2동사무소 건너편에 있는 덕수교회를 왼쪽으로 끼고 꺾어 올라가 이 가옥의 바깥마당을 지나 오른쪽으로 돌면 일각대문이 나온다.


행랑채

행랑마당 서쪽 모퉁이에 행랑채가 있다. 행랑채는 일반적으로 지붕이 낮고 작은 규모인데 이 가옥의 행랑채는 특이하게도 ‘ㄱ’자형으로 일반적인 가옥의 공간 구성이다.


별장안채.jpg 별장누마루.png

안마당 뒤, 서북쪽에 자리잡은 안채사랑채와 비슷한 별장의 성격을 띤 건물이다. ‘ㄱ’자형의 안채는 동남향으로 자리잡았고, 대청을 중심으로 오른쪽에는 누마루를 두고 왼쪽에는 안방을 두었다. 조선시대 양반가옥에서 볼 수 있었던 누마루를 사용하였다는 점에서 조선 후기 신분에 따른 주거 형식의 경계가 허물어진 모습을 볼 수 있다. 동쪽으로는 정원이 가꿔져 있다. 이 가옥 뒤편으로는 소나무와 전나무로 숲을 이루는 낮은 언덕이 펼쳐져 있고, 바깥마당 서북쪽으로는 우물이 있으며, 안마당에는 정원이 가꿔져 있다.

이종석 별장이 이런 모습인 이유: 보수공사의 급'

문화재는 각각 급이 나뉘어져 있다. 제일인 것이 국보, 그 다음으로 보물,이 둘인 국가지정문화재 이외에도 세 번째로 나라 지정 문화재, 가장 낮은 급이 지역 지정 문화재이다. 국보와 보물을 나라에서 지시하지 않는 이상 고칠 수 없다. 나라 지정 문화재 같은 경우도 전통, 기록의 가치를 보존하기 위한 협회의 복원, 발굴, 보수공사만이 허락될 뿐이다. 그러나 지역 지정 문화재는 기업이나 개인이 보수가 가능하다. 지역 지정 문화재는 가치가 있지만 나라에서 관리할 만큼의 중요도는 없다고 판단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지역 지정 문화재인 이종석 별장은 개인의 생활공간이나 단체의 활용공간으로 쓸 수 있도록 보수, 개조공사가 가능하다. 때문에 이 별장은 복원이 아니라 사용에 초점을 맞춘 보수공사를 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