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성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번째 줄: 2번째 줄:
 
{|class="metadata" style="background:#f2f2f2; width:320px; margin: 5px 5px 5px 5px;" cellspacing="10" align="right"  
 
{|class="metadata" style="background:#f2f2f2; width:320px; margin: 5px 5px 5px 5px;" cellspacing="10" align="right"  
 
|-
 
|-
! colspan="2" style="background:#3ca9a9; color:#ffffff; font-size:130%; text-align:center;" | '''첨성대'''
+
! colspan="2" style="background:#B40404; color:#FFFFFF; font-size:130%; text-align:center;" | '''국보 제31호
 +
경주 첨성대(慶州 瞻星臺) '''
 
|-
 
|-
|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 [[파일:첨성대.jpg|400px]]
+
|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파일:첨성대.jpg|400px]]<ref>국가문화유산포털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1_1_1_1&ccbaCpno=1111102240000</ref>
저작자: 이재성 CC BY-ND (저작자 표시, 변경금지)
+
|-
 +
| style="width:110px; text-align:center;"|'''분류''' || 유물 / 과학기술 / 천문지리기구 / 천문
 +
|-
 +
| style="text-align:center;"|'''시대''' || 신라시대
 +
|-  
 +
| style="text-align:center;"|'''수량/면적''' || 1기
 
|-  
 
|-  
| style="width:80px; text-align:center;" |'''명칭''' || [[첨성대]]
+
| style="text-align:center;"|'''지정(등록)일''' || 1962.12.20
 
|-  
 
|-  
| style="text-align:center;"|'''주소''' || 경북 경주시 인왕동 839-1
+
| style="text-align:center;"|'''소재지''' || 경북 경주시 인왕동 839-1번지
 +
|-
 +
| style="text-align:center;"|'''관리자(관리단체)''' || 경주시
 +
|-
 +
| style="text-align:center;"|'''소유자(소유단체)''' || 국유
 
|-  
 
|-  
 
|}
 
|}
 +
 +
 
</onlyinclude>
 
</onlyinclude>
=='''개요'''==
+
==개요==
국보 제31호. 높이 약 9.5m. [[첨성대]]가 위치한 곳은 옛날에는 [[경주]]부 남쪽 월남리라고 하였고, 계림의 북방 약 150∼200m, 내물왕릉 동북방 약 300m 되는 곳이다. 이 근방을 속칭 [[비두골]]이라고도 한다.동양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천문대]]. 1962년 12월 20일 국보 제31호로 지정되었다. [[경상북도]] [[경주]]시 [[인왕동]]에 소재하며 높이 9.17m, 밑지름 4.93m, 윗지름 2.85m이다. 밑에서부터 4.16m 되는 곳의 남쪽 허리에 한 변이 1m인 정사각형 문이 달려 있다. 모양은 원통형으로 남쪽 문에 사다리를 걸었던 자리가 있다. 30cm 높이의 돌 362개로 27단을 쌓아 만들었다.
+
===의미===
 +
*첨성대(瞻星臺)<br> 글자 풀이 : 첨(瞻 볼첨), 성(星 별성), 대(臺 돈대대)로 별을 보는 돈대라는 뜻.
 +
*1962년 12월 20일 국보 제31호로 지정되었다.
  
내부는 제12단까지 흙이 차 있고, 제19단에서 제20단까지와 제25단에서 제26단까지의 두 곳에 정(井)자형 장대석이 걸쳐 있는데 그 양끝이 밖으로 나가 있다. 제27단 내부의 반원에는 판석이 있고, 맞은편에는 판목을 놓았던 곳으로 보이는 자리가 있다. 판석은 길이 156cm, 너비 60cm, 두께 24cm이다. 꼭대기에는 정자석(井字石)이 2단으로 짜여 있는데, 그 위에 관측기구를 놓았던 것으로 보인다. [[혼천의]]와 같은 관측기구를 정상에 설치하고 [[춘분]]·[[추분]]·[[동지]]·[[하지]] 등의 24절기를 별을 통하여 측정하였고, 정자석을 동서남북의 방위를 가리키는 기준으로 삼았던 것으로 보인다. 한편, [[첨성대]]가 제단이었다는 학설도 있다. 《삼국유사》에 신라 선덕여왕(재위 632~647) 때 건립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
===상태===
 +
*높이 9.17m, 밑지름 4.93m, 윗지름 2.85m <br> [[경상북도]] [[경주]]시 [[인왕동]]에 소재하며 높이 9.17m, 밑지름 4.93m, 윗지름 2.85m이다. 밑에서부터 4.16m 되는 곳의 남쪽 허리에 한 변이 1m인 정사각형 문이 달려 있다. 모양은 원통형으로 남쪽 문에 사다리를 걸었던 자리가 있다. 30cm 높이의 돌 362개로 27단을 쌓아 만들었다. 내부는 제12단까지 흙이 차 있고, 제19단에서 제20단까지와 제25단에서 제26단까지의 두 곳에 정(井)자형 장대석이 걸쳐 있는데 그 양끝이 밖으로 나가 있다.  
 +
*제27단 내부의 반원에는 판석이 있고, 맞은편에는 판목을 놓았던 곳으로 보이는 자리가 있다. 판석은 길이 156cm, 너비 60cm, 두께 24cm이다. 꼭대기에는 정자석(井字石)이 2단으로 짜여 있는데, 그 위에 관측기구를 놓았던 것으로 보인다. [[혼천의]]와 같은 관측기구를 정상에 설치하고 [[춘분]]·[[추분]]·[[동지]]·[[하지]] 등의 24절기를 별을 통하여 측정하였고, 정자석을 동서남북의 방위를 가리키는 기준으로 삼았던 것으로 보인다. 한편, [[첨성대]]가 제단이었다는 학설도 있다. 《삼국유사》에 신라 [[선덕여왕]](재위 632~647) 때 건립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첨성대]] 관련 역사'''==
+
----
  
 +
===가치===
 +
*동양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천문대]].<br> [[신라]] [[선덕여왕]](재위 632∼647) 때 건립된 것으로 추측되며 현재 동북쪽으로 약간 기울어져 있긴 하나 거의 원형을 간직하고 있다.
  
[[첨성대]][[삼국유사]] 기이(紀異) 권2의 별기(別記)에 “이 왕대(王代)에 돌을 다듬어서 [[첨성대]]를 쌓았다.”라고 기록되어 있어 [[신라]] [선덕여왕] 때(재위 632∼647)에 축조되었음을 알 수 있다.  
+
===의의===
이처럼 우리 나라 [[천문대]]의 역사는 [[삼국시대]]부터 시작된다. [[백제]]에 [[점성대]](占星臺)라는 [[천문대]]가 있었는데, 이 영향으로 [[경주]]에 [[첨성대]]가 세워졌을 것으로 추측된다. [[신라]]의 [[첨성대]]는 고대 [[천문대]]로서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 된 것 중의 하나이다. 첨성대의 첨(瞻)은 ‘우러러보다’, ‘쳐다보다’라는 뜻으로 ‘첨성’은 ‘별을 살피다’의 뜻이다. <[[삼국유사]]>에는 '이 임금' 때에 돌을 다듬어 첨성대를 쌓았다’는 간단한 기록이 처음으로 나온다. '이 임금'이란 [[선덕여왕]]을 가리킨다. 그 후 <[[세종실록]]>과 <[[동국여지승람]]>에는 좀더 자세한 기록이 나온다. [[첨성대]]가 세워지는 연대와 크기가 소개되고, 사람이 가운데를 통해 위로 올라가 천문을 관측했다는 것이다.
+
* [[천문학]]은 하늘의 움직임에 따라 농사 시기를 결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농업과 깊은 관계가 있으며, 관측 결과에 따라 국가의 길흉을 점치던 [[점성술]](占星術)이 고대국가에서 중요시되었던 점으로 미루어 보면 정치와도 관련이 깊음을 알 수 있다.따라서 일찍부터 국가의 큰 관심사가 되었으며, 이는 [[첨성대]] 건립의 좋은 배경이 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당시의 높은 과학 수준을 보여주는 귀중한 문화재라 할 수 있다.
  
[[첨성대]]의 몸체는 27단인데 이것은 [[선덕여왕]]이 제27대 임금임을 나타내며, 창의 아래위가 각각 12단인 것은 1년 12개월을 나타내며, 합계 24단은 24절기를, 사용된 돌의 수가 362개인 것은 1년의 날수를 상징하는 것이라고 해석하는 사람도 있다. 또 옛날 사람들은 하늘은 둥글고 땅은 네모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는데, 첨성대의 기단이 사각형이고 몸체가 원으로 되어 있는 것은 바로 이 사상의 표현이라고도 한다.
+
===보존상태===
 +
*돌의 총 개수가 365개 인 것, 돌을 쌓은 단수가 27단 인 것 등을 알아볼 수 있는 것으로 보아 보존 상태가 매우 양호하다고 볼 수 있다. 6.25 당시 탱크가 경주 시가지를 지날 때 허술한 초가들이 탱크의 진동에 여지없이 무너질 때도 첨성대만은 끄덕 없었다고 한다.
  
우리나라의 [[첨성대]]는 점성학적인 비중이 컸던 시대에 시작되었다. [[경주]] [[첨성대]]의 용도가 별을 관측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수학적인 내용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탑이라거나 [[불교]]의 우주관인 [[수미산]]의 모양을 본떠서 만든 제단이라는 설도 제기되고 있으나, [[신라]]시대의 천체에 대한 관심은 꾸준히 이어져내려와 조선 세종 때의 천문관측소 <서운관>으로 열매를 맺는다.
+
==역사==
  
  
 +
*[[첨성대]]는 [[삼국유사]] 기이(紀異) 권2의 별기(別記)에 “이 왕대(王代)에 돌을 다듬어서 [[첨성대]]를 쌓았다.”라고 기록되어 있어 [[신라]] [선덕여왕] 때(재위 632∼647)에 축조되었음을 알 수 있다. <br>이처럼 우리 나라 [[천문대]]의 역사는 [[삼국시대]]부터 시작된다. [[백제]]에 [[점성대]](占星臺)라는 [[천문대]]가 있었는데, 이 영향으로 [[경주]]에 [[첨성대]]가 세워졌을 것으로 추측된다. [[신라]]의 [[첨성대]]는 고대 [[천문대]]로서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 된 것 중의 하나이다. 첨성대의 첨(瞻)은 ‘우러러보다’, ‘쳐다보다’라는 뜻으로 ‘첨성’은 ‘별을 살피다’의 뜻이다. <[[삼국유사]]>에는 '이 임금' 때에 돌을 다듬어 첨성대를 쌓았다’는 간단한 기록이 처음으로 나온다. '이 임금'이란 [[선덕여왕]]을 가리킨다. 그 후 <[[세종실록]]>과 <[[동국여지승람]]>에는 좀더 자세한 기록이 나온다. [[첨성대]]가 세워지는 연대와 크기가 소개되고, 사람이 가운데를 통해 위로 올라가 천문을 관측했다는 것이다.
  
 +
*[[첨성대]]의 몸체는 27단인데 이것은 [[선덕여왕]]이 제27대 임금임을 나타내며, 창의 아래위가 각각 12단인 것은 1년 12개월을 나타내며, 합계 24단은 24절기를, 사용된 돌의 수가 362개인 것은 1년의 날수를 상징하는 것이라고 해석하는 사람도 있다. 또 옛날 사람들은 하늘은 둥글고 땅은 네모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는데, 첨성대의 기단이 사각형이고 몸체가 원으로 되어 있는 것은 바로 이 사상의 표현이라고도 한다.
  
[경주] 첨성대 [慶州瞻星臺]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우리나라의 [[첨성대]]는 점성학적인 비중이 컸던 시대에 시작되었다. [[경주]] [[첨성대]]의 용도가 별을 관측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수학적인 내용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탑이라거나 [[불교]]의 우주관인 [[수미산]]의 모양을 본떠서 만든 제단이라는 설도 제기되고 있으나, [[신라]]시대의 천체에 대한 관심은 꾸준히 이어져내려와 [[조선]] [[세종]] 때의 천문관측소 <[[서운관]]>으로 열매를 맺는다.
  
'''경주''' : 신라의 역사는 지금으로부터 2,100여 년 전인 기원전 57년, 한반도 동쪽에 자리한 사로국에서 시작되었어요. 박혁거세가 세운 신라는 작은 국가였어요.
 
  
4세기 후반, 신라의 제17대 왕인 내물왕이 주변 소국을 정복한 뒤 왕권을 강화했어요. 이때부터 신라는 강력한 왕권을 바탕으로 한 힘 있는 나라로 성장했지요. 6세기 후반, 제24대 왕인 진흥왕 때에는 강한 군사력으로 한강 주변 지역을 차지하고 고구려를 공격하는 등 삼국 통일의 기반을 다졌어요. 그러다가 마침내 7세기 후반, 제30대 왕인 문무왕이 백제와 고구려를 멸망시키고 삼국 통일을 이루었지요.
+
==용도==
  
통일 후 신라는 정치, 경제, 문화가 더욱 발달했어요. 불국사, 석굴암과 같은 귀중한 문화유산도 이 시기에 탄생했지요. 지리적으로 가까운 당나라와 왜뿐만 아니라 멀리 아라비아 상인들과도 교류1)했어요.
+
* 역사적으로 [[첨성대]]는 그 이름에서부터 별을 보는 용도로 사용되었다고 전해져 내려왔으며 [[조선]] 후기까지는 별 다른 이견이 없었으나, 광복 이후 새로운 견해가 등장하였다. 우선 [[삼국사기]]에는 [[첨성대]]의 기록이 등장하지 않으며, [[삼국유사]]에는 명칭과 용도, 사람이 오르내렸다는 기록이 있으나 실제로 그렇다고 하기엔 내부가 매우 좁고 불편하다. 게다가 천문 관측을 하는 시설인데 정작 다른 [[천문대]]처럼 산 위나 높은 곳이 아니라 왕궁 옆의 평지에 건설되었다는 점도 의문으로 제기되었다. 높이로 따지면 바로 옆에 있는 왕궁 경주 월성이 지형적으로 높은 언덕지형이라서 오히려 하늘에서 더 가깝고, 주변 [[남산]], [[토함산]] 등에 올라가면 훨씬 별을 관측하기 쉽다.
  
그러나 왕족과 귀족 간의 다툼이 심해져 점차 혼란에 빠진 신라는 제56대 경순왕이 고려에 항복하면서 935년에 멸망했어요.
+
*그래서 [[첨성대]]의 역할이 [[천문대]]가 아니라 일종의 기념비 혹은 제단, 창고였을 것이라는 설이 등장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종교적 상징물, 과학 수준을 과시하는 상징물, [[선덕여왕]]을 신성화하기 위한 도구 등으로 사용되었다는 설이 제기되었으며, 또는 [[삼국유사]]의 기록대로 이 자리에 과거 [[천문대]]가 있기는 했지만 목조 건물이었으므로 지금은 사라졌고 폐사지의 석탑, [[포석정]]지의 석구처럼 [[천문대]]의 부속 건물만 남은 것이 지금의 [[첨성대]]라는 주장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가설들 역시 추측에 불과할 뿐 문헌적・고고학적 증거가 없어 확신이 불가능하며, 주류 학계에서는 정사에 기록된 통설과 신라 천문기록의 정황 연구 등을 토대로 [[첨성대]]가 천문대였음을 정론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신라의 수도였던 경주는 신라의 천 년 역사가 담긴 살아 있는 박물관이에요. 신라 시대 초기부터 통일 이후까지 신라의 역사를 보여 주는 유적과 유물들로 가득하지요. 경주 곳곳에 남아 있는 유적지와 수많은 문화재들은 국보로 지정되었답니다.
+
*[[한국천문연구원]]의 [[김봉규]] 박사는 [[신라]] 시대의 고천문학 자료들을 종합연구하여, [[첨성대]]가 만들어진 뒤 [[신라]] 천문 관측 기록의 양이 대폭 증가하고, 기록 또한 자세해졌으며, 당시 관측된 유성의 낙하 지점들이 모두 첨성대 주변이었다는 결론을 도출했다. 이는 [[첨성대]]가 [[천문대]]로서의 실제적 기능을 수행했음을 알려주는 정황상의 증거이다.
  
 +
*[[첨성대]]의 위치나 높이에 관한 경우에도 다음과 같은 부연 설명이 가능하다. 고대의 천문 관측은 현대의 [[천문학]]과는 성격이 매우 달라서, 과학 연구를 목적으로 하지 않았으며 대개 국가의 길흉을 점치는 용도로 사용되었는데, 이런 역할을 수행하는 시설은 당연히 왕궁에 가까워야 했다. 즉, 부지선정에서의 고려대상은 천체 관측의 용이성이 아닌 교통 접근성이었다는 것이다.
  
===주요시설===
+
==[[첨성대]] 가는 길==
* 전시 및 관리실, 매점, 화장실, 정자등 건축시설
+
===자동차 편===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90%;"
*
+
!style="width:30%"|출발지점||style:"width:30"|이동 경로||style="width:30%"|예상 시간
*
+
|+ 표1. 자동차
*
+
|-
 +
|서울||[[중부고속도로]] 40.6km ↷ [[중부내륙고속도로]]127.5km ↷ 92.5km||3시간 52분
 +
|-
 +
|서울||[[영동고속도로] 46.7km ↷ [[중부내륙고속도로]]127.5km ↷ [[상주영천고속도로]] 92.5km||3시간 55분
 +
|}
  
  
===이용 안내===
+
===고속버스 편===
* 연락처: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90%;"
* 입장시간: 00시~24시
+
!style="width:30%"|버스정류장||style:"width:30"|버스번호||style="width:30%"|이동 경로||style="width:30%"|예상 시간
* 입장료: 무료
+
|+ 표2. 고속버스
* 주차장: 공영주차장 운영
+
|-
 +
|[[시청앞]],[[덕수궁]]||401||[[서울고속터미널]] 환승 ↷ [[경주고속터미널]] 하차||4시간 41분
 +
|}
 +
 
 +
===기차, 고속버스 편===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90%;"
 +
!style="width:30%"|기차역||style:"width:30"|기차종류||style="width:30%"|이동 경로||style="width:30%"|예상 시간
 +
|+ 표3. 기차, 고속버스
 +
|-
 +
|[[서울역]] 승차||KTX||[[동대구터미널]] 고속버스 환승 ↷ [[경주고속버스터미널]] 하차||3시간 13분
 +
|}
  
==지도==
 
  
<div>
+
===위치===
 
{{
 
{{
 +
#display_map:
 +
Gyeongju-si;
 +
35.834856, 129.21902
 +
|service=googlemaps3
 +
|width=400
 +
|height=400
 +
|type=normal
 +
|overlays=videos-1,wikipedia
 +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zoom=12
 +
}}
 +
 +
==이용안내==
 +
* '''전화번호''': +82-54-7723843<br/>
 +
* '''추천 관광시간''': 1시간
 +
* '''주소''': [[경상북도]] [[경주시]] [[인왕동]] 839-1
 +
*''' 이용요금''' : 무료
 +
 +
==관련 사진==
 +
 +
<gallery mode=packed>
 +
파일:첨성대_야경_모습_1.jpg|첨성대 야경 모습 1
 +
파일:첨성대_야경_모습_2.jpg|첨성대 야경 모습 2
 +
파일:첨성대_야경_모습_3.jpg|첨성대 야경 모습 3
 +
파일:첨성대_야경_모습_4.jpg|첨성대 야경 모습 4
 +
파일:첨성대 과거 수학여행.jpg|첨성대 과거 수학여행 사진
 +
파일:첨성대12.jpg|첨성대 낮 풍경 사진
 +
</gallery>
 +
 +
==관련 영상==
 +
 +
 +
* 별의 역사를 간직하다, [[첨성대]]
 +
 +
<youtube>https://www.youtube.com/watch?v=myUIBYidsl4</youtube>
  
}}
+
* 지진에도 무너지지 않는 [[첨성대]] 축조의 비밀
 +
 
 +
<youtube>https://www.youtube.com/watch?v=tvb4_fam0Xg</youtube>
 +
 
 +
*우리 문화유산 [[첨성대]]
 +
<youtube>https://www.youtube.com/watch?v=7VsVVBu_KFY</youtube>
  
 +
==작성자==
 +
[[이재성]]
  
===첨성대 가는 길===
+
== 출처 ==
*지하철 ?호선 [[ㅇ ]]
+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3359&cid=46637&categoryId=46637 첨성대, <네이버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63359&cid=46637&categoryId=46637]
 
  
 +
*[https://ko.wikipedia.org/wiki/%EC%B2%A8%EC%84%B1%EB%8C%80 첨성대,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C%B2%A8%EC%84%B1%EB%8C%80]
  
===위치===
+
*[https://map.naver.com/v5/entry/place/13491802?c=14384595.1175880,4277903.9785627,15,0,0,0,dh&placePath=%2Fphoto%3F 첨성대, <네이버 지도>, https://map.naver.com/v5/entry/place/13491802?c=14384595.1175880,4277903.9785627,15,0,0,0,dh&placePath=%2Fphoto%3F]
===준공시기===
 
===용도===
 
  
[[분류:장소]]
 
 
[[분류:한국의 건축문화재]]
 
[[분류:한국의 건축문화재]]
 
[[분류:유적]]
 
[[분류:유적]]
 
[[분류:경주]]
 
[[분류:경주]]

2020년 12월 7일 (월) 17:19 기준 최신판


개요

의미

  • 첨성대(瞻星臺)
    글자 풀이 : 첨(瞻 볼첨), 성(星 별성), 대(臺 돈대대)로 별을 보는 돈대라는 뜻.
  • 1962년 12월 20일 국보 제31호로 지정되었다.

상태

  • 높이 9.17m, 밑지름 4.93m, 윗지름 2.85m
    경상북도 경주인왕동에 소재하며 높이 9.17m, 밑지름 4.93m, 윗지름 2.85m이다. 밑에서부터 4.16m 되는 곳의 남쪽 허리에 한 변이 1m인 정사각형 문이 달려 있다. 모양은 원통형으로 남쪽 문에 사다리를 걸었던 자리가 있다. 30cm 높이의 돌 362개로 27단을 쌓아 만들었다. 내부는 제12단까지 흙이 차 있고, 제19단에서 제20단까지와 제25단에서 제26단까지의 두 곳에 정(井)자형 장대석이 걸쳐 있는데 그 양끝이 밖으로 나가 있다.
  • 제27단 내부의 반원에는 판석이 있고, 맞은편에는 판목을 놓았던 곳으로 보이는 자리가 있다. 판석은 길이 156cm, 너비 60cm, 두께 24cm이다. 꼭대기에는 정자석(井字石)이 2단으로 짜여 있는데, 그 위에 관측기구를 놓았던 것으로 보인다. 혼천의와 같은 관측기구를 정상에 설치하고 춘분·추분·동지·하지 등의 24절기를 별을 통하여 측정하였고, 정자석을 동서남북의 방위를 가리키는 기준으로 삼았던 것으로 보인다. 한편, 첨성대가 제단이었다는 학설도 있다. 《삼국유사》에 신라 선덕여왕(재위 632~647) 때 건립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가치

  • 동양에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천문대.
    신라 선덕여왕(재위 632∼647) 때 건립된 것으로 추측되며 현재 동북쪽으로 약간 기울어져 있긴 하나 거의 원형을 간직하고 있다.

의의

  • 천문학은 하늘의 움직임에 따라 농사 시기를 결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농업과 깊은 관계가 있으며, 관측 결과에 따라 국가의 길흉을 점치던 점성술(占星術)이 고대국가에서 중요시되었던 점으로 미루어 보면 정치와도 관련이 깊음을 알 수 있다.따라서 일찍부터 국가의 큰 관심사가 되었으며, 이는 첨성대 건립의 좋은 배경이 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당시의 높은 과학 수준을 보여주는 귀중한 문화재라 할 수 있다.

보존상태

  • 돌의 총 개수가 365개 인 것, 돌을 쌓은 단수가 27단 인 것 등을 알아볼 수 있는 것으로 보아 보존 상태가 매우 양호하다고 볼 수 있다. 6.25 당시 탱크가 경주 시가지를 지날 때 허술한 초가들이 탱크의 진동에 여지없이 무너질 때도 첨성대만은 끄덕 없었다고 한다.

역사

  • 첨성대삼국유사 기이(紀異) 권2의 별기(別記)에 “이 왕대(王代)에 돌을 다듬어서 첨성대를 쌓았다.”라고 기록되어 있어 신라 [선덕여왕] 때(재위 632∼647)에 축조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우리 나라 천문대의 역사는 삼국시대부터 시작된다. 백제점성대(占星臺)라는 천문대가 있었는데, 이 영향으로 경주첨성대가 세워졌을 것으로 추측된다. 신라첨성대는 고대 천문대로서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 된 것 중의 하나이다. 첨성대의 첨(瞻)은 ‘우러러보다’, ‘쳐다보다’라는 뜻으로 ‘첨성’은 ‘별을 살피다’의 뜻이다. <삼국유사>에는 '이 임금' 때에 돌을 다듬어 첨성대를 쌓았다’는 간단한 기록이 처음으로 나온다. '이 임금'이란 선덕여왕을 가리킨다. 그 후 <세종실록>과 <동국여지승람>에는 좀더 자세한 기록이 나온다. 첨성대가 세워지는 연대와 크기가 소개되고, 사람이 가운데를 통해 위로 올라가 천문을 관측했다는 것이다.
  • 첨성대의 몸체는 27단인데 이것은 선덕여왕이 제27대 임금임을 나타내며, 창의 아래위가 각각 12단인 것은 1년 12개월을 나타내며, 합계 24단은 24절기를, 사용된 돌의 수가 362개인 것은 1년의 날수를 상징하는 것이라고 해석하는 사람도 있다. 또 옛날 사람들은 하늘은 둥글고 땅은 네모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는데, 첨성대의 기단이 사각형이고 몸체가 원으로 되어 있는 것은 바로 이 사상의 표현이라고도 한다.
  • 우리나라의 첨성대는 점성학적인 비중이 컸던 시대에 시작되었다. 경주 첨성대의 용도가 별을 관측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수학적인 내용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탑이라거나 불교의 우주관인 수미산의 모양을 본떠서 만든 제단이라는 설도 제기되고 있으나, 신라시대의 천체에 대한 관심은 꾸준히 이어져내려와 조선 세종 때의 천문관측소 <서운관>으로 열매를 맺는다.


용도

  • 역사적으로 첨성대는 그 이름에서부터 별을 보는 용도로 사용되었다고 전해져 내려왔으며 조선 후기까지는 별 다른 이견이 없었으나, 광복 이후 새로운 견해가 등장하였다. 우선 삼국사기에는 첨성대의 기록이 등장하지 않으며, 삼국유사에는 명칭과 용도, 사람이 오르내렸다는 기록이 있으나 실제로 그렇다고 하기엔 내부가 매우 좁고 불편하다. 게다가 천문 관측을 하는 시설인데 정작 다른 천문대처럼 산 위나 높은 곳이 아니라 왕궁 옆의 평지에 건설되었다는 점도 의문으로 제기되었다. 높이로 따지면 바로 옆에 있는 왕궁 경주 월성이 지형적으로 높은 언덕지형이라서 오히려 하늘에서 더 가깝고, 주변 남산, 토함산 등에 올라가면 훨씬 별을 관측하기 쉽다.
  • 그래서 첨성대의 역할이 천문대가 아니라 일종의 기념비 혹은 제단, 창고였을 것이라는 설이 등장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종교적 상징물, 과학 수준을 과시하는 상징물, 선덕여왕을 신성화하기 위한 도구 등으로 사용되었다는 설이 제기되었으며, 또는 삼국유사의 기록대로 이 자리에 과거 천문대가 있기는 했지만 목조 건물이었으므로 지금은 사라졌고 폐사지의 석탑, 포석정지의 석구처럼 천문대의 부속 건물만 남은 것이 지금의 첨성대라는 주장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가설들 역시 추측에 불과할 뿐 문헌적・고고학적 증거가 없어 확신이 불가능하며, 주류 학계에서는 정사에 기록된 통설과 신라 천문기록의 정황 연구 등을 토대로 첨성대가 천문대였음을 정론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 한국천문연구원김봉규 박사는 신라 시대의 고천문학 자료들을 종합연구하여, 첨성대가 만들어진 뒤 신라 천문 관측 기록의 양이 대폭 증가하고, 기록 또한 자세해졌으며, 당시 관측된 유성의 낙하 지점들이 모두 첨성대 주변이었다는 결론을 도출했다. 이는 첨성대천문대로서의 실제적 기능을 수행했음을 알려주는 정황상의 증거이다.
  • 첨성대의 위치나 높이에 관한 경우에도 다음과 같은 부연 설명이 가능하다. 고대의 천문 관측은 현대의 천문학과는 성격이 매우 달라서, 과학 연구를 목적으로 하지 않았으며 대개 국가의 길흉을 점치는 용도로 사용되었는데, 이런 역할을 수행하는 시설은 당연히 왕궁에 가까워야 했다. 즉, 부지선정에서의 고려대상은 천체 관측의 용이성이 아닌 교통 접근성이었다는 것이다.

첨성대 가는 길

자동차 편

출발지점 이동 경로 예상 시간
표1. 자동차
서울 중부고속도로 40.6km ↷ 중부내륙고속도로127.5km ↷ 92.5km 3시간 52분
서울 [[영동고속도로] 46.7km ↷ 중부내륙고속도로127.5km ↷ 상주영천고속도로 92.5km 3시간 55분


고속버스 편

버스정류장 버스번호 이동 경로 예상 시간
표2. 고속버스
시청앞,덕수궁 401 서울고속터미널 환승 ↷ 경주고속터미널 하차 4시간 41분

기차, 고속버스 편

기차역 기차종류 이동 경로 예상 시간
표3. 기차, 고속버스
서울역 승차 KTX 동대구터미널 고속버스 환승 ↷ 경주고속버스터미널 하차 3시간 13분


위치

지도를 불러오는 중...

이용안내

관련 사진

관련 영상

  • 지진에도 무너지지 않는 첨성대 축조의 비밀

작성자

이재성

출처

  • 국가문화유산포털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pageNo=1_1_1_1&ccbaCpno=1111102240000
  • 원본 주소 "https://hwiki.eumstory.co.kr/index.php?title=첨성대&oldid=94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