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 오리모양 연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8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청자 오리모양 연적==
 
 
 
<onlyinclude>
 
<onlyinclude>
{|class="metadata" style="background:#f2f2f2; width:400px; margin: 5px 5px 5px 5px;" cellspacing="10" align="right"  
+
{|class="metadata" style="background:#f2f2f2; width:450px; margin: 5px 5px 5px 5px;" cellspacing="15" align="right"  
 
|-
 
|-
! colspan="2" style="background:#3ca9a9; color:#ffffff; font-size:160%; text-align:center;" | '''청자 오리모양 연전'''  
+
! colspan="2" style="background:#3ca9a9; color:#ffffff; font-size:160%; text-align:center;" | '''청자 오리모양 연적'''  
 
|-  
 
|-  
 
|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 [[파일:국보_제74호_청자_오리모양_연적(2014년_국보_동산_앱사진).jpg|400px]]
 
|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 [[파일:국보_제74호_청자_오리모양_연적(2014년_국보_동산_앱사진).jpg|400px]]
15번째 줄: 13번째 줄:
 
|-
 
|-
 
| style="text-align:center;"|'''소재지''' ||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 102-11 (성북동, [[간송미술관]])
 
| style="text-align:center;"|'''소재지''' ||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 102-11 (성북동, [[간송미술관]])
{{
+
|-
 
+
| style="text-align:center;"|'''시대''' || [[고려시대]]
[[파일:국보_제74호_청자_오리모양_연적(2014년_국보_동산_앱사진).jpg|400px]]
+
|-  
==소개==
+
| style="text-align:center;"|'''소재지''' ||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 102-11 ([[성북동]], 간송미술관)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이름''' || 청자 오리모양 연적
 
|-
 
|'''지정유형''' || 국보
 
|-
 
|'''종류''' || [[유물]]/공예
 
|-
 
|'''소유(관리)'''|| [[간송미술관]]
 
|-
 
|'''지정일'''|| 1962.12.20
 
|-
 
|'''소재시'''|| [[성북동]]
 
|-
 
|'''시대'''|| [[고려시대]]
 
|}
 
 
 
==소재지==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 102-11 ([[성북동]], 간송미술관)
 
 
{{
 
{{
 
#display_map:
 
#display_map:
50번째 줄: 29번째 줄:
 
|zoom=12
 
|zoom=12
 
}}​
 
}}​
 +
|}
  
 
==개요==
 
==개요==
55번째 줄: 35번째 줄:
  
 
==설명==
 
==설명==
높이는 8cm, 너비 12.5cm의 오리 모양 청자 연적으로, 물 위에 오리가 연꽃 줄기를 물고 있으며 연잎과 봉오리는 오리의 등에 자연스럽게 붙어 있다. 알맞은 크기와 세련된 조각 기법, [[고려청자]]와 같은 은은한 비색으로 보아 고려시대 귀족사회에서 향유한 문방구의 일면을 엿볼 수 있다. 유색과 복토의 질과 [[상형 기법]]의 세련됨으로 보아 12세기 전반경 전라남도 강진군 대구면 사당리가마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연적 전체는 거의 정확한 사실기법으로 깃털까지 세밀하게 음각으로 표현하였고, 알맞은 크기와 세련된 조각기법으로 보아 고려시대 문방 공예품의 세련도와 상류사회의 사치스런 문방취미의 한면을 엿볼 수 있다. 원래 이 연적은 도쿄[東京]에 살았던 영국인 수장가 J.가스비의 소장품이었으나, 그가 노후에 본국으로 귀국함에 앞서 이 오리연적과 아울러 그의 우수한 고려자기 수집품 전부를 넘겨 준 것이다.
+
높이는 8cm, 너비 12.5cm의 오리 모양 청자 연적으로, 물 위에 오리가 연꽃 줄기를 물고 연잎과 봉오리는 오리의 등에 붙어 있는 모습이다. 알맞은 크기와 세련된 조각 기법, [[고려청자]]와 같은 은은한 비색으로 보아 고려시대 귀족사회에서 향유했을 것으로 보인다. 유색과 복토의 질과 [[상형 기법]]의 세련됨으로 보아 12세기 전반경 전라남도 강진군 대구면 사당리가마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연적 전체는 거의 정확한 사실기법으로 깃털까지 세밀하게 음각으로 표현하였고, 크기와 세련된 조각기법으로 보아 고려시대 문방 공예품의 세련도와 상류사회의 사치스런 취미의 알 수 있다. 원래 이 연적은 도쿄[東京]에 살았던 영국인 수장가 J.가스비의 소장품이었으나, 그가 노후에 본국으로 귀국함에 앞서 이 오리연적과 아울러 그의 우수한 고려자기 수집품 전부를 넘겨 준 것이다.
  
 
==영상자료==
 
==영상자료==

2022년 12월 8일 (목) 21:08 기준 최신판

개요

간송미술관이 보유하고 있으며 고려시대 도자 공예품이다.

설명

높이는 8cm, 너비 12.5cm의 오리 모양 청자 연적으로, 물 위에 오리가 연꽃 줄기를 물고 연잎과 봉오리는 오리의 등에 붙어 있는 모습이다. 알맞은 크기와 세련된 조각 기법, 고려청자와 같은 은은한 비색으로 보아 고려시대 귀족사회에서 향유했을 것으로 보인다. 유색과 복토의 질과 상형 기법의 세련됨으로 보아 12세기 전반경 전라남도 강진군 대구면 사당리가마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연적 전체는 거의 정확한 사실기법으로 깃털까지 세밀하게 음각으로 표현하였고, 크기와 세련된 조각기법으로 보아 고려시대 문방 공예품의 세련도와 상류사회의 사치스런 취미의 알 수 있다. 원래 이 연적은 도쿄[東京]에 살았던 영국인 수장가 J.가스비의 소장품이었으나, 그가 노후에 본국으로 귀국함에 앞서 이 오리연적과 아울러 그의 우수한 고려자기 수집품 전부를 넘겨 준 것이다.

영상자료

[인어공주문화탐방51] 고려청자10. 청자 오리형 연적, 국보74호

기타

작성자:이다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