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용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관련 인물)
661번째 줄: 661번째 줄:
  
 
==관련 인물==
 
==관련 인물==
 +
''김연곡''
 +
 +
한용운은 강원도 오대산 월정사·설악산 백담사 등지를 전전하다가 마침내 1월 26일 백담사에서 김연곡을 스승으로 득도하였다.
  
 
==출처==
 
==출처==

2022년 6월 4일 (토) 19:36 판

개요

(1879년 8월 29일 ~ 1944년 6월 29일) 고종 16년인 1879년 아버지 한응준과 어머니 방숙영 사이에서 태어났다. 그는 스님이자 독립운동가로 활동했으며, 만해라는 법명으로 활동했다. 그는 14살이 되던 해에 전정숙과 결혼했으나, 결혼생활은 평탄치 않았고, 결별하구서 훗날 유숙원과 결혼했고, 자녀는 한보국과 한잉숙을 두었다. 한용운은 독립운동가이자 승려로서 활동했으며, 대표작으로는 님의 침묵이 있다.

생애

출생과 성장

그는 어린 시절부터, 공부에 재능을 보여 6세 때부터 한학을 배웠고, 9세 때는 문리를 통달하여 16세의 나이에는 서당에서 아이들을 가르칠 수 있었다. 그는 아버지 한응순과 어머니 방숙영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집안 형편이 좋지는 않았다고 한다. 일시적으로 형인 한윤경이 토지를 마련했지만, 이마저도 한용운이 토지를 매각해 독립자금으로 썼다고 한다. 그는 14세떼 지주의 딸인 전정숙과 결혼했고, 이들 사이에는 한보국을 두었으나, 그는 가정에 소홀했다고 한다.

일제강점기 전

1894년 동학농민군에 가담을 했으나, 아버지가 농민군 토벌에 참여를 하셔서 대립을 했다고 한다. 그 후 1895년 고향을 떠나 1896년 오세암이라는 절에 들어갔다. 그 후 그는 머슴살이를 하며 불교의 기초지식을 쌓앟고, 학문적으로 관심이 많아 대장경을 열람한 뒤, 1896년 하산하여 시베리아행을 결심했다. 그러나 블라디보스크에서 죽을 고비를 넘기고 1876년 처가에 귀가해 2년간 은신하다가 출가했다.

대한제국기 활동

스님이 된 만해

그는 출가 후 백담사에 가서 김연곡을 은사로 하여 득도한 후 전영제에게 계를 받아 승려가 되었다. 그리고 만화에게서 법을 받은 뒤 계명을 봉완 법호는 만해라 하였다. 이 후 그는 불교 서적 뿐만 아니라 다양한 서적들을 수용하며 근대사상을 수용하였다. 그는 조선 전국 사찰 대표 52인의 한 사람으로 원흥사에서 원종종무원의 설립에 참여하고, 일본 각지를 돌아다니며 견문을 넓혔다. 그 후 1910년 그는 불교의 대중화작업에 주력했으며, 조선불교유신론을 저술하였다. 그는 대한제국 중추원과 한국통감부에 승려의 결혼 자유화의 진성서를 올렸는데, 부처님이 결혼을 금지하라고 가르친 것은 아니란 뜻에서였다. 그러나 그의 주장은 묵살되었고, 조선총독부에서도 마찬가지였다고 한다.

1879년 충청도 결성현 현내면 박철리에서 아버지 한응준, 어머니 방숙영의 차남으로 출생
1905년 설악산 백담사에서 정식으로 득도
1909년 《조선불교유신론》 집필
1910년 한일불교동을 반대철폐 및 이회영, 박은식, 김동삼 등의 독립지사들과 독립운동 협의
1914년 『채근담』 저술, 조선불교청년동맹 결성
1917년 조선불교회 회장 취임
1918년 불교 최초의 잡지인 《유심》 발행
1919년 3.1 만세 운동 당시 민족 대표 33인으로 독립선언을 하여 체포당한 뒤 3년간 서대문 형무소에서 복역 후 출소
1926년 님의 침묵〉 발표
1927년 신간회 결성에 주도적으로 참여
1931년 잡지 《불교》를 인수하여 사장으로 취임
1935년 『조선일보』에 장편소설 「흑풍」 연재
1944년 심우장에서 중풍으로 별세

작품목록

1. 님의 침묵

2. 이별은 미의 창조

3. 알 수 없어요

4. 나는 잊고저

5. 가지 마서요

6. 고적한 밤

7. 나의 길

8. 꿈 깨고서

9. 藝術家

10. 이별

11. 길이 막혀

12. 自由貞操

13. 하나가 되어주셔요

14. 나룻배와 행인

15. 차라리

16. 나의 노래

17. 당신이 아니더면

18. 잠 없는 꿈

19. 生命

20. 사랑의 測量

21. 眞珠

22. 슬픔의 삼매

23. 의심하지 마셔요

24. 당신은

25. 행복

26. 錯認

27. 밤은 고요하고

28. 秘密

29. 사랑의 存在

30. 꿈과 근심

31. 葡萄酒

32. 誹謗

33. 「?」

34. 님의 손길

35. 海棠花

36. 당신을 보았습니다

37. 비

38. 복종

39. 참아 주셔요

40. 어느것이 참이냐

41. 情天恨海

42. 첫 키스

43. 禪師의 說法

44. 그를 보내며

45. 金剛山

46. 님의 얼굴

47. 심은 버들

48. 樂園은 가시덤풀에서

49. 참말인가요

50. 꽃이 먼저 알아

51. 찬송

52. 論介의 愛人이 되어서 그의 廟에

53. 後悔

54. 사랑하는 까닭

55. 당신의 편지

56. 거짓 이별

57. 꿈이라면

58. 달을 보며

59. 因果律

60. 잠꼬대

61. 桂月香에게

62. 滿足

63. 反比例

64. 눈물

65. 어디라도

66. 떠날 때의 님의 얼굴

67. 最初의 님

68. 두견새

69. 나의 꿈

70. 우는 때

71. 타골의 詩를 읽고

72. 수의 비밀

73. 사랑의 불

74. 「사랑」을 사랑하여요

75. 버리지 아니하면

76. 당신 가신 때

77. 妖術

78. 당신의 마음

79. 여름밤이 길어요

80. 冥想

81. 칠석

82. 생의 예술

83. 꽃싸움

84. 거문고 탈 때

85. 오셔요

86. 쾌락

87. 苦待

88. 사랑의 끝판

89.讀者에게


한시

1. 영호 화상에게 만나보지 못하는 안타까움을 말함

2. 완호 학사를 보내며

3. 만화 화상을 대신하여 임향장을 조상함

4. 가을밤의 비

5. 선방의 뒷동산에 올라

6. 피난 도중 비에 갇혀 머물면서

7. 석왕사에서 영호·유운 두 스님을 만나 두 수를 지음

8. 영호 화상과 함께 유운 화상을 찾아갔다가 밤길을 같이 돌아옴

9. 산가의 새벽

10. 본 대로 느낀 대로(1)

11. 한적 두 수

12. 영호 화상의 시에 차운함(1)

13. 고향 생각(1)

14. 영호 화상의 시에 차운함(2)

15. 풍아에서 주자가 동파의 운을 써서 매화를 읊은 것을 읽고 나도 그 운을 사용하여 매화를 노래함

16. 또 옛 사람들이 매화를 두고 오언고시를 쓴 일이 없기에 호기심으로 시험삼아 읊어 봄

17. 새벽

18. 영호 화상의 향적봉 시에 차운함

19. 스스로 고민함

20. 스스로 즐거워함

21. 달 구경

22. 연말에 차가운 비가 내림을 보고 느낌이 있기에

23. 한가히 노닐며 달을 보고

24. 달이 돋으려 할 때

25. 달이 처음 뜰 때

26. 달이 하늘 한가운데 올 때

27. 달이 지려 할 때

28. 본 대로 느낀 대로(2)

29. 고향 생각(2)

30. 고향을 생각하는 괴로움

31. 스스로 시벽을 웃음

32. 청한

33. 바람과 눈을 막고자 안팎의 문틈을 모두 바르고 책을 보다가 장난삼아

시 두 수를 지음

34. 홀로 앉아

35. 동지

36. 눈 내린 새벽

37. 고의

38. 한가히 읊음

39. 유운 화상의 병들어 누움에 대한 상심과 더불어 고향 그리는 마음

40. 추운 계절인데도 옷이 안 오기에 장난삼아 지어 봄

41. 본 대로 느낀 대로(3)

42. 눈 온 뒤에 한가히 읊음

43. 병의 시름

44. 한가함

45. 병을 읊음 두 수

46. 홀로 읊음

47. 나그네의 회포

48. 새벽 경치 세 수

49. 밤에 혼자 두 수

50. 본 대로 느낀 대로

51. 회포를 읊음

52. 높은 네에 오름

53. 출정 군인 아내의 슬픔

54. 산중의 한낮

55. 멀리 생각함

56. 본 대로 느낀 대로(5) 두 수

57. 외로이 떠돎 두 수

58. 내원암에 모란나무 오래된 가지가 있어서

눈을 받아 꽃이 핀 것 같기에 읊음

59. 영호·유운 두 선백과 밤에 읊음 두 수

60. 백화암을 찾아감

61. 시모노세키 馬關의 배 안에서

62. 미야지마宮島의 배 안에서

63. 아사다 교수에게 화답함

64. 갠 날을 읊음

65. 비오는 날 홀로 읊음

66. 동경의 여관에서 매미소리를 듣고

67. 나비

68. 맑은 새벽

69. 봄 꿈

70. 조동종대학교 별원에서 읊은 두 수

71. 고의(2)

72. 증상사

73. 고향을 생각하는 밤에 빗소리를 듣고

74. 지광선백에게 화답함

75. 닛코日光로 가는 도중

76. 닛코日光의 남호

77. 홀로 있는 방에서 비바람 소리 듣고

78. 들길을 가면서 두 수

79. 가을밤에 빗소리를 듣고 느낌이 있어서

80. 가을 새벽

81. 영호 · 금봉 두 선사와 시를 지음

82. 중, 금봉 두 선사와 만나 함께 읊음 두 수 . 000

83. 서울에서 영호·금봉 두 선사를 만나 함께 읊음 두 수

84. 소일

85. 양진암에서 봄을 보냄

86. 양진암

87. 맑음 읊음

88. 구름과 물

89. 양진암을 떠나면서 학명선사에게 줌 두 수

90. 선암사에서 앓고 난 뒤에 두 수

91. 향로암에서 밤에 읊음

92. 금봉선사와 밤에 읊음

93. 선암사에 머물면서 매천의 시에 차운함

94. 향로암에서 느낀 대로 씀

95. 영산포의 배 안에서

96. 지는 매화를 보고 느낌이 있어서

97. 범어사에서 비가 온 뒤에 생각을 말함

98. 봄 안방의 슬픔

99. 장마가 갬

100. 어부의 피리소리

101. 파릉 고기잡이의 뱃노래

102. 안해주

103. 황매천

104. 화엄사에서 산보하며

105. 구곡령을 지나며

106. 산가의 흥취

107. 약사암 가는 길에

108. 구암사의 초가을

109. 회포를 말함

110. 구암폭

111. 구암사에서 송청암 형제와 같이 읊음

112. 쌍계루

113. 남형우에게 춤

114. 송청암에게 춤

115. 서울에서 오세암으로 돌아와 박한영에게 보냄

116. 중양

117. 정사년 12월 3일 밤 10경 좌선 중에 갑자기 바람이 불어 무슨 물건인가를 떨구는 소리를 118. 듣고, 의심하는 마음이 씻은 듯 풀렸다. 이에 한 수를 지음

119. 오세암

120. 어느날 이웃방과 이야기하다가 간수에게 들켜 두 손을 2분 동안 가볍게 묶 이었다. 이에 121. 즉석에서 읊음

122. 옥중의 감회

123. 어느 학생에게 줌

124. 가을비

125. 가을 회포

126. 눈오는 밤

127. 벚꽃을 보고 느낌이 있어서

128. 기러기를 읊음 두 수

129. 병감의 후원

130. 고우에게 주는 선화

131. 다듬이 소리

132. 등불 그림자를 읊음

133. 송별

134. 한강

135. 눈 오는 밤 그림을 보고 느낌이 있어서

136. 무제(1) 여덟 수

137. 무제(2) 두 수

138. 신문 폐간

139. 회갑 날의 즉흥

140. 삼가 계초 선생의 생신을 축하함

141. 무제(3) 두 수

142. 곽암 십우송을 차운하다

기타시

1. 心

2. 一萃艸의 生命

3. 가갸날에 對하야

4. 成佛과 往生

5. 聖誕

6. 비바람

7. 반달과 小女

8. 山村의 여름 저녁

9. 歲暮

10. 淺日

11. 山居

12. 산골 물

13. 矛盾

14. 쥐

15. 日出

16. 海村의

17. 江배

18. 落花

19. 一萃草

20. 모기

21. 파리

시조

1. 尋牛在

2. 還家

3. 禪友에게

4. 早春

5. 春畵

6. 襌境

7. 秋夜短

8. 春朝

9. 코스모스

10. 漁翁

11. 男兒

12. 成功

13. 秋花

14. 織業婦人

15. 漂娥

16. 秋夜夢

17. 漢江에서

18. 사랑

19. 우리 님

20. 無題 一四 수

21. 無窮花 심으과저

소설

「黑風」, 《朝鮮日報》, 1935.4.9~1936.2.1

「後悔」(50회 연재중 폐간), 《朝鮮中央日報》, 1936

「鐵血美人」, 《新佛敎》 1~2호, 1937.3.~4

「薄命」, 《朝鮮日報》, 1938.5.18~1939.3.10

「三國志」, 《朝鮮日報》, 1939.11.1.~1940.8.11

단행본

조선불교유신론(朝鮮佛敎維新論)』, 불교서관. 1913

『불교대전(佛敎大典)』, 범어사, 1914

『정선강의(精選講義) 채근담(菜根譚)』, 신문관(新文館), 1917

『十玄談註解』, 法寶會, 1925.6.7

수상목록

기념관

경기 광주시 남한산성면 남한산성로792번길 24-7


만해기념관1.jpeg 만해기념관2.jpeg

만해기념관 링크

문학적 가치

한용운의 시는 그의 삶을 반영하고 있다. 그는 독립운동가이자, 스님으로서 살아왔고, 이를 은유적인 표현으로 아름답고도 자연스럽게 문학에 녹여내었다. 또한, 그는 산문시 대신 정형화되지 않은 자유시의 길을 열었으며, 표준어 대신 방언을 사용함으로써, 시를 정감있고도 진솔성있게 다가가게 했다. 그는 그 이외에도 시에 민중정신을 반영하려 하였지만, 그것을 사람들에게 강조하는 것이 아닌, 세속적인 사랑과 인간적인 설득으로 사람의 마음을 끌어담는 매력이 있다.


관련 인물

김연곡

한용운은 강원도 오대산 월정사·설악산 백담사 등지를 전전하다가 마침내 1월 26일 백담사에서 김연곡을 스승으로 득도하였다.

출처

기여자

느낌있조

강서연

박민선

송영찬

송찬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