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용운 시인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한용운 시인

소개

한용운(韓龍雲,1879년 8월 29일 ~ 1944년 6월 29일)은 일제 강점기의 시인, 승려, 독립운동가이다. 본관은 청주. 호는 만해(萬海)이다. 불교를 통한 언론, 교육 활동을 하였다. 종래의 무능한 불교를 개혁하고 불교의 현실참여를 주장하였으며, 그것에 대한 대안점으로 불교사회개혁론을 주장했다. 3·1 만세 운동 당시 민족대표 33인의 한사람이며 광복 1년을 앞둔 1944년 6월 29일에 중풍과 영양실조 등의 합병증으로 병사(입적)하였다. 독립선언서의 "공약 3장"을 추가보완하였다.[1] 또한 옥중에서 '조선 독립의 서'(朝鮮獨立之書)를 지어 독립과 자유를 주장하였다. 1910년 일본이 주장하는 한일불교동맹을 반대철폐하고 이회영, 박은식, 김동삼 등의 독립지사(志士)들을 만나 독립운동을 협의하였다. 1918년 11월부터는 불교 최초의 잡지인 《유심》을 발행하였고 1919년 3.1 만세 운동 당시 독립선언을 하여 체포당한 뒤 3년간 서대문 형무소에서 복역하다 풀려났다. 1920년대에는 대처승 운동을 주도하여 중에게도 결혼할 권리를 달라고 호소하기도 하였다. 1926년 시집 《님의 침묵》을 출판하여 저항문학에 앞장섰고, 불교를 통한 청년운동, 언론활동에 참여하였다. 1927년 2월부터는 신간회에 참여하여 중앙집행위원과 이듬해 신간회 경성지부장을 지냈다. 일제와 조선총독부에 대한 저항 정신으로 집도 조선총독부 반대 방향인 북향으로 지었고, 식량 배급도 거부했다는 이야기는 매우 유명하다. 그러나 실제로 심우장에 가보면 주변의 집들이 대부분 심우장과 같은 방향으로 지어져 있고 이것은 그곳의 지형상 불가피한 것으로 보인다. 총독부를 등지고 싶어서 북향으로 지었다는 이야기는 성북구에서 세워놓은 심우장의 푯말에만 보이는데 아마도 후세의 창작이 아닐까 짐작된다. 또한, 친일로 변절한 최남선에 관하여서는 1937년 자신에게 최남선을 언급한 김홍규에게는 "아직도 최남선이 살아 있소?"라고 하는가 하면, 최남선이 탑골공원에서 인사를 하자, 처음에는 알은체도 하지 않다가 최남선이 자신을 못 알아보겠냐면서 계속 이름을 말하자 "내가 아는 육당은 이미 죽었소."라면서 차갑게 대했다.

연보

  • 1879년 충청남도 홍성군 결성면 성곡리 출생
  • 1905년 강원도 인제군 백담사에서 수계
  • 1906년 명진학교 입학
  • 1908년 명진학교 졸업
  • 1908년 조동종대학림에서 연구
  • 28세에 설악산 백담사에서 불문에 귀의
  • 1911년 박한영 등과 친일불교에 맞서 승려대회 개최
  • 1918년 청년계몽운동지 유심지를 창간,주재
  • 1919년 3월 1일 (→ 3·1 운동) 불교 대표로 독립 운동에 참가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3년간 감옥살이

  • 1924년 불교청년회 회장, 총재
  • 1926년 시집 님의 침묵 출판
  • 1927년 신간회 중앙위원회 위원
  • 1928년 경성지부장
  • 1929년 광주학생운동 민중대회 개최

조선불교동맹 지도자

  • 1931년 만당 당수
  • 1931년 월간 불교지를 인수, 2년간 간행
  • 1944년 서울에서 중풍으로 사망

저서

  • 시집

《님의 침묵》


《유마힐소설경강의 維摩詰所說經講義》(1933년)


《십현담주해 (十玄談註解)》


《불교와 고려제왕 (高麗諸王)》


《조선독립의 서 (朝鮮獨立之書)》

  • 소설

《흑풍》(1935년)


《후회》(1936년)


《박명 (薄命)》(1938년)


《죽음》

'꿈과 근심'


'실제 (實際)'


'나룻배와 행인'


‘님의 침묵’


‘수의 비밀’

대표작품

<<님의 침묵>> 
                                            
님은 갔습니다. 아아, 사랑하는 나의님은 갔습니다.
푸른 산빛을 깨치고 단풍나무 숲을 향하여 난 작은 길을 걸어서 차마 떨치고 갔습니다.
황금의 꽃같이 굳고 빛나던 옛 맹세는 차디찬 티끌이 되어서 한숨의 미풍에 날아갔습니다.
날카로운 첫 키스의 추억은 나의 운명의 지침을 돌려놓고 뒷걸음쳐서 사라졌습니다.
나는 향기로운 님의 말소리에 귀먹고 꽃다운 님의 얼굴에 눈멀었습니다.
사랑도 사람의 일이라 만날 때에 미리 떠날 것을 염려하고 경계하지 아니한 것은 아니지만, 이별은 뜻밖의 일이 되고 놀란 가슴은 새로운 슬픔에 터집니다.
그러나 이별을 쓸데없는 눈물의 원천으로 만들고 마는 것은 스스로 사랑을 깨치는 것인 줄 아는 까닭에 걷잡을 수 없는 슬픔의 힘을 옮겨서 새 희망의 정수박이에 들어부었습니다.
우리는 만날 때에 떠날 것을 염려하는 것과 같이 떠날 때에 다시 만날 것을 믿습니다.
아아, 님은 갔지마는 나는 님을 보내지 아니하였습니다.
제 곡조를 못 이기는 사랑의 노래는 님의 침묵을 휩싸고 돕니다.
<<수(繡)의 비밀>> 
                                  
나는 당신의 옷을 다 지어 놓았습니다.
심의(深衣)*도 짓고, 도포도 짓고, 자리옷도 지었습니다. 짓지 아니한 것은 작은 주머니에 수놓는 것뿐입니다.
그 주머니는 나의 손때가 많이 묻었습니다. 짓다가 놓아두고 짓다가 놓아두고 한 까닭입니다. 다른 사람들은 나의 바느질 솜씨가 없는 줄로 알지마는, 그러한 비밀은 나밖에는 아는 사람이 
없습니다. 나는 마음이 아프고 쓰린 때에 주머니에 수를 놓으려면, 나의 마음은 수놓는 금실을 따라서 바늘구멍으로 들어가고, 주머니 속에서 맑은 노래가 나와서 나의 마음이 됩니다.
그리고 아직 이 세상에는 그 주머니에 넣을 만한 무슨 보물이 없습니다. 이 작은 주머니는 짓기 싫어서 짓지 못하는 것이 아니라, 짓고 싶어서 다 짓지 않는 것입니다.

참고문헌

한용운-위키백과 님의 침묵 수의 비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