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하이 임시정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역사)
(RDF표)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2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
 
{|class="metadata" style="width:300px; font- size:89%; border:1px dotted #4641D9; margin: 5px 5px 5px 5px;" cellspacing="2" align="right"  
 
{|class="metadata" style="width:300px; font- size:89%; border:1px dotted #4641D9; margin: 5px 5px 5px 5px;" cellspacing="2" align="right"  
 
|-  
 
|-  
 
!colspan="2" style="background: #FAF4C0;color:#FFRR00; font-size:120%; text-align:center;"|상하이 임시정부
 
!colspan="2" style="background: #FAF4C0;color:#FFRR00; font-size:120%; text-align:center;"|상하이 임시정부
 
|-
 
|-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 [[파일:png]]
+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 [[파일:상하이 임시정부.png|300px]]
 
|-  
 
|-  
 
|style="font-size:90%; text-align:center;" colspan="2"|
 
|style="font-size:90%; text-align:center;" colspan="2"|
41번째 줄: 42번째 줄:
  
  
 +
==개요==
 +
대통령은 행정부의 수반이며, 국가를 대표한다.
 +
대통령은 국무총리 이하 각 부처 장관을 임명한다.
 +
대통령은 국무원들과 정부위원으로 구성되는 국무원을 주재한다.
 +
의정원은 각 지역별 선거로 선출된 의원으로 구성되며, 임기는 2년이다.
 +
대통령은 의정원 의원들이 기명단기식 투표로 선출한다.
 +
 +
1919년 4월 11일 상하이에서 한국 독립운동가들이 수립했던 임시정부로 독립운동을 조직적으로 하기 위해 창설되었다. 그러나 국제법상 통치권이 미치는 국토와 국민이 없기에, 통치권을 행사할 수 있는 일반정부와는 성격이 달랐지만, 독립이란 이념을 기반으로 설립되었기에 정부적 조직이다.
 +
 +
==연표==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80%
 +
|-
 +
!'''연력'''||'''주요 활동'''
 +
|-
 +
|1919. 3. || 중국 상하이에 독립임시사무소 설치
 +
|-
 +
|1919. 4. 10~1. || 중국 상하이에서 1회 임시의정원 회의 개최, 대한민국 임시정부수립
 +
|-
 +
|1919. 4. 13. ||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선포.
 +
|-
 +
|1919. 5. 10. || 국가주권 승인 등의 공문서를 파리강화회의에 제출.
 +
|-
 +
|1919. 5. || [[교통부 안통지부 사무국]] 설치.
 +
|-
 +
|1919. 7. 10. || 국무원령 제 1호로 [[연통제]] 실시 공포.
 +
|-
 +
|1919. 8. 21. || 임시정부 기관지로 [[독립신문]] 창간.
 +
|-
 +
|1919. 9. 11. || 임시정부 공포, 통합 임시정부 수립.
 +
|-
 +
|1920. 1. || 전 국민의 광복군 전투 대열 참가를 당부하는 군무부 포고 1호 발표.
 +
|-
 +
|1920. 2. || 미국캘리포니아에 비행사양성소 설립.
 +
|-
 +
|1920. 10. || 중국 호법정부, 임시정부 승인
 +
|-
 +
|1920. 2. 7. || [[광둥]]에 외무국 설치.
 +
|-
 +
|1923. 1. 3. || [[국민대표회의]] 개최
 +
|-
 +
|1923. 8. || 남만주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 육군 [[주만참의부]] 조직
 +
|-
 +
|1925. 4. 7. || 임시헌법 개정 공포 [[국무령 중심의 내각책임제]]
 +
|-
 +
|1927. 3. 5. || 임시약헌 개헌 공포 [[국무위원 집단지도체제]]
 +
|-
 +
|1930. 1. 25. || 상하이에서 [[한국독립당]] 창당
 +
|-
 +
|1931. 4. 18. || 삼균제도(정치 경제 교육의 평등)를 [[건국 원칙]]으로 발표.
 +
|-
 +
|1931. 12. || 대한민국임시정부 직속 [[한인애국단]] 조직
 +
|-
 +
|1932. 1. 8. || [[이봉창]] 의거
 +
|-
 +
|1932. 4. 29. || [[윤봉길]] 의거
 +
|-
 +
|1932. 5. || 임시정부 항저우로 이동
 +
|-
 +
|1932. 11. || 중국 난징에서 5개 단체가 합의하여 대일정선통일 동맹 결성.
 +
|-
 +
|1933. 11. 15. || 중국 뤄양 군관학교 한인특별반 설치
 +
|-
 +
|1934. 1. || 전장에서 각 단체 대표자 회의 소집.
 +
|-
 +
|1935. 7. || [[민족혁명당]] 창당
 +
|-
 +
|1935. 11. || 임시정부 자싱으로 이동
 +
|-
 +
|1936. 7. || [[한국국민당]] 창당
 +
|-
 +
|1937. 4. || 임시정부 전장으로 이동
 +
|-
 +
|1937. 7. 15. || [[군사위원회]] 설치 결의
 +
|-
 +
|1937. 8. 17. || [[한국광복운동단체연합회]] 결성
 +
|-
 +
|-
 +
|1937. 11. 23. || 임시정부 창사로 이동
 +
|-
 +
|1938. 7. 17. || 임시정부 광저우 이동
 +
|-
 +
|1938. 9. || 임시정부 류저우로 이동
 +
|-
 +
|1939. 5. 30. || 임시정부 지장으로 이동
 +
|-
 +
|1940. 4. 1. || 임시정부 여당으로 [[한국독립당]] 조직
 +
|-
 +
|1940. 9. || 임시정부 충칭으로 이동
 +
|-
 +
|1940. 9. 17. ||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성립 전례식 거행.
 +
|-
 +
|1940. 10. 9. || 대한민국 임시약헌 개정 공포(주석 및 국무위원제)
 +
|-
 +
|1941. 6. 4. || 임시정부 주미외교위원회 설치.
 +
|-
 +
|1941. 11. 28.  || 대한민국 건국강령 선포.
 +
|-
 +
|1941. 12. 9. || [[대일선전포고문]] 발표.
 +
|-
 +
|1942. 4. || 중국 국민당정부 국방최고위원회, 대한민국 임시정부 승인
 +
|-
 +
|1942. 10. 20. || 34회 임시의정원회의에 좌익 인물 참여
 +
|-
 +
|1942. 5. || [[조선의용대]], 한국광복군에 편입.
 +
|-
 +
|1943. 11. 22. || [[카이로선언]]에서 한국 독립 선언
 +
|-
 +
|1944. 4. 22. || 임시헌법 개정(주석부주석제)
 +
|-
 +
|1945. 5. || 광복군 O.S.S. 훈련 실시
 +
|-
 +
|1945. 8. 15. || 광복
 +
|-
 +
|1945. 11. 23. || 대한민국임시정부 1진 환국
 +
|-
 +
|1945. 12. 1. || 대한민국임시정부 2진 환국
 +
|-
 +
|1945. 12. 19. || 대한민국임시정부 환국 환영대회 개최.
 +
|}
 +
 +
==대한민국임시정부 이동경로==
 +
[[파일:이동경로.png|400px]]
 +
 +
 +
[[상하이]](1919-1932)
 +
 +
[[항저우]](1932-1935)
 +
 +
[[자싱]](1935)
 +
 +
[[난징]](1935-1937)
 +
 +
[[창사]](1937-1938)
 +
 +
[[광저우]](1936-1939)
 +
 +
[[치장]](1939-1940)
 +
 +
[[충칭]](1940-1945)
 +
 +
[[서울]](1945-1948)
 +
 +
==네트워크 그래프==
 +
 +
==RDF표==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20%"|항목B!!style="width:30%"|관계!!style="width:15%"|비고
 +
|-
 +
| [[임시정부]] || 여운형 || A는 B를 설립했다.||
 +
|-
 +
| [[임시정부]] || 조동호 || A는 B를 설립했다.||
 +
|-
 +
| [[임시정부]] || 손정도 || A는 B를 설립했다.||
 +
|-
 +
| [[임시정부]] || 조소앙 || A는 B를 설립했다.||
 +
|-
 +
| [[임시정부]] || 손정도 || A는 B를 설립했다.||
 +
|-
 +
| [[임시정부]] || 김철 || A는 B를 설립했다.||
 +
|-
 +
| [[임시정부]] || 선우혁 || A는 B를 설립했다.||
 +
|-
 +
| [[임시정부]] || 한진교 || A는 B를 설립했다.||
 +
|-
 +
| [[임시정부]] || 신석우 || A는 B를 설립했다.||
 +
|-
 +
| [[임시정부]] || 이광수 || A는 B를 설립했다.||
 +
|-
 +
| [[임시정부]] || 현순 || A는 B를 설립했다.||
 +
|-
 +
| [[임시정부]] || 신익희 || A는 B를 설립했다.||
 +
|-
 +
| [[임시정부]] || 조성환 || A는 B를 설립했다.||
 +
|-
 +
| [[임시정부]] || 이광 || A는 B를 설립했다.||
 +
|-
 +
| [[임시정부]] || 최근우 || A는 B를 설립했다.||
 +
|-
 +
| [[임시정부]] || 백남칠 || A는 B를 설립했다.||
 +
|-
 +
| [[임시정부]] || 김대지 || A는 B를 설립했다.||
 +
|-
 +
| [[임시정부]] || 남형우 || A는 B를 설립했다.||
 +
|-
 +
| [[임시정부]] || 이회영 || A는 B를 설립했다.||
 +
|-
 +
| [[임시정부]] || 이시영 || A는 B를 설립했다.||
 +
|-
 +
| [[임시정부]] || 이동녕 || A는 B를 설립했다.||
 +
|-
 +
| [[임시정부]] || 조완구 || A는 B를 설립했다.||
 +
|-
 +
| [[임시정부]] || 신채호 || A는 B를 설립했다.||
 +
|-
 +
| [[임시정부]] || 진희창 || A는 B를 설립했다.||
 +
|-
 +
| [[임시정부]] || 신철 || A는 B를 설립했다.||
 +
|-
 +
| [[임시정부]] || 이영근 || A는 B를 설립했다.||
 +
|-
 +
| [[임시정부]] || 조동진 || A는 B를 설립했다.||
 +
|-
 +
| [[임시정부]] || 여운홍 || A는 B를 설립했다.||
 +
|-
 +
| [[임시정부]] || 현장운 || A는 B를 설립했다.||
 +
|-
 +
| [[임시정부]] || 김동삼 || A는 B를 설립했다.||
 +
|-
 +
| [[임시정부]] || 독립운동 || A는 B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
|-
 +
| [[임시정부]] || 상하이 || A는 B에 설립되었다.||
 +
|-
 +
| [[임시정부 ]]||  [[민주공화정]] || A는 B의 성격을 띠고 있다.||
 +
|}
 +
 +
==출처==
 +
[https://www.hampyeong.go.kr/ilgang/contentsView.do?pageId=ilgang13. 일강김철선생기념관]
  
 +
[https://ko.wikipedia.org/wiki/%EB%8C%80%ED%95%9C%EB%AF%BC%EA%B5%AD_%EC%9E%84%EC%8B%9C%EC%A0%95%EB%B6%80 위키피디아-대한민국임시정부]
  
==개요==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5017.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19년 중국 상하이에서 한국독립운동가들이 수립했던 임시정부.  
 
  
<<년표>>
+
[[분류:대한민국임시정부]][[분류:독립운동]][[분류:일제강점기]]
임시정부란 정식정부를 수립하기 위한 준비정부를 가리키는 말이다. 국내외에서 3·1운동이 전민족운동으로 확산될 때, 독립정신을 집약하여 우리 민족이 주권국민이라는 뜻을 표현하고, 독립운동을 능률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조직하였다.그 뒤 1945년 8·15광복까지 27년 동안 상하이[上海]를 비롯한 중국 각처에서 한국인의 독립과 자유를 위해 투쟁하였다. 그런데 정부라고 하면 국제법상 통치권이 미치는 국토와 국민이 있어야 하는데, 통치권을 행사할 대상이 없었으므로 일반 정부와는 성격이 달랐다.그리고 망명정부도 아니었다. 대한제국과 시간적 연속성이 없고 주체세력이 다르고 이념이 달랐으므로 망명정부가 될 수 없었다. 그러나 전민족운동이었던 3·1운동에 의해 수립된 임시정부였으므로 전민족의 의지와 이념적 기반 위에 설립된 정부적 조직임에는 틀림없었다. 따라서, 국제적으로는 주권국민의 대표기관(정부)으로서, 또 대내적으로는 독립운동의 통할기구로서의 구실을 가지고 탄생하였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대한민국임시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
 

2022년 6월 17일 (금) 23:58 기준 최신판












개요

대통령은 행정부의 수반이며, 국가를 대표한다.
대통령은 국무총리 이하 각 부처 장관을 임명한다.
대통령은 국무원들과 정부위원으로 구성되는 국무원을 주재한다.
의정원은 각 지역별 선거로 선출된 의원으로 구성되며, 임기는 2년이다.
대통령은 의정원 의원들이 기명단기식 투표로 선출한다.

1919년 4월 11일 상하이에서 한국 독립운동가들이 수립했던 임시정부로 독립운동을 조직적으로 하기 위해 창설되었다. 그러나 국제법상 통치권이 미치는 국토와 국민이 없기에, 통치권을 행사할 수 있는 일반정부와는 성격이 달랐지만, 독립이란 이념을 기반으로 설립되었기에 정부적 조직이다.

연표

연력 주요 활동
1919. 3. 중국 상하이에 독립임시사무소 설치
1919. 4. 10~1. 중국 상하이에서 1회 임시의정원 회의 개최, 대한민국 임시정부수립
1919. 4. 13.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선포.
1919. 5. 10. 국가주권 승인 등의 공문서를 파리강화회의에 제출.
1919. 5. 교통부 안통지부 사무국 설치.
1919. 7. 10. 국무원령 제 1호로 연통제 실시 공포.
1919. 8. 21. 임시정부 기관지로 독립신문 창간.
1919. 9. 11. 임시정부 공포, 통합 임시정부 수립.
1920. 1. 전 국민의 광복군 전투 대열 참가를 당부하는 군무부 포고 1호 발표.
1920. 2. 미국캘리포니아에 비행사양성소 설립.
1920. 10. 중국 호법정부, 임시정부 승인
1920. 2. 7. 광둥에 외무국 설치.
1923. 1. 3. 국민대표회의 개최
1923. 8. 남만주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 육군 주만참의부 조직
1925. 4. 7. 임시헌법 개정 공포 국무령 중심의 내각책임제
1927. 3. 5. 임시약헌 개헌 공포 국무위원 집단지도체제
1930. 1. 25. 상하이에서 한국독립당 창당
1931. 4. 18. 삼균제도(정치 경제 교육의 평등)를 건국 원칙으로 발표.
1931. 12. 대한민국임시정부 직속 한인애국단 조직
1932. 1. 8. 이봉창 의거
1932. 4. 29. 윤봉길 의거
1932. 5. 임시정부 항저우로 이동
1932. 11. 중국 난징에서 5개 단체가 합의하여 대일정선통일 동맹 결성.
1933. 11. 15. 중국 뤄양 군관학교 한인특별반 설치
1934. 1. 전장에서 각 단체 대표자 회의 소집.
1935. 7. 민족혁명당 창당
1935. 11. 임시정부 자싱으로 이동
1936. 7. 한국국민당 창당
1937. 4. 임시정부 전장으로 이동
1937. 7. 15. 군사위원회 설치 결의
1937. 8. 17. 한국광복운동단체연합회 결성
1937. 11. 23. 임시정부 창사로 이동
1938. 7. 17. 임시정부 광저우 이동
1938. 9. 임시정부 류저우로 이동
1939. 5. 30. 임시정부 지장으로 이동
1940. 4. 1. 임시정부 여당으로 한국독립당 조직
1940. 9. 임시정부 충칭으로 이동
1940. 9. 17.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성립 전례식 거행.
1940. 10. 9. 대한민국 임시약헌 개정 공포(주석 및 국무위원제)
1941. 6. 4. 임시정부 주미외교위원회 설치.
1941. 11. 28. 대한민국 건국강령 선포.
1941. 12. 9. 대일선전포고문 발표.
1942. 4. 중국 국민당정부 국방최고위원회, 대한민국 임시정부 승인
1942. 10. 20. 34회 임시의정원회의에 좌익 인물 참여
1942. 5. 조선의용대, 한국광복군에 편입.
1943. 11. 22. 카이로선언에서 한국 독립 선언
1944. 4. 22. 임시헌법 개정(주석부주석제)
1945. 5. 광복군 O.S.S. 훈련 실시
1945. 8. 15. 광복
1945. 11. 23. 대한민국임시정부 1진 환국
1945. 12. 1. 대한민국임시정부 2진 환국
1945. 12. 19. 대한민국임시정부 환국 환영대회 개최.

대한민국임시정부 이동경로

이동경로.png


상하이(1919-1932)

항저우(1932-1935)

자싱(1935)

난징(1935-1937)

창사(1937-1938)

광저우(1936-1939)

치장(1939-1940)

충칭(1940-1945)

서울(1945-1948)

네트워크 그래프

RDF표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임시정부 여운형 A는 B를 설립했다.
임시정부 조동호 A는 B를 설립했다.
임시정부 손정도 A는 B를 설립했다.
임시정부 조소앙 A는 B를 설립했다.
임시정부 손정도 A는 B를 설립했다.
임시정부 김철 A는 B를 설립했다.
임시정부 선우혁 A는 B를 설립했다.
임시정부 한진교 A는 B를 설립했다.
임시정부 신석우 A는 B를 설립했다.
임시정부 이광수 A는 B를 설립했다.
임시정부 현순 A는 B를 설립했다.
임시정부 신익희 A는 B를 설립했다.
임시정부 조성환 A는 B를 설립했다.
임시정부 이광 A는 B를 설립했다.
임시정부 최근우 A는 B를 설립했다.
임시정부 백남칠 A는 B를 설립했다.
임시정부 김대지 A는 B를 설립했다.
임시정부 남형우 A는 B를 설립했다.
임시정부 이회영 A는 B를 설립했다.
임시정부 이시영 A는 B를 설립했다.
임시정부 이동녕 A는 B를 설립했다.
임시정부 조완구 A는 B를 설립했다.
임시정부 신채호 A는 B를 설립했다.
임시정부 진희창 A는 B를 설립했다.
임시정부 신철 A는 B를 설립했다.
임시정부 이영근 A는 B를 설립했다.
임시정부 조동진 A는 B를 설립했다.
임시정부 여운홍 A는 B를 설립했다.
임시정부 현장운 A는 B를 설립했다.
임시정부 김동삼 A는 B를 설립했다.
임시정부 독립운동 A는 B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임시정부 상하이 A는 B에 설립되었다.
임시정부 민주공화정 A는 B의 성격을 띠고 있다.

출처

일강김철선생기념관

위키피디아-대한민국임시정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