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선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onlyinclude>
 
<onlyinclude>
{|class="metadata" style="background:#f2f2f2; width:320px; margin: 5px 5px 5px 5px;" cellspacing="10" align="right"  
+
{|class="metadata" style="background:#ffffcc; width:320px; margin: 5px 5px 5px 5px;" cellspacing="3" align="right"  
 
|-
 
|-
! colspan="2" style="background:#3ca9a9; color:#ffffff; font-size:130%; text-align:center;" | '''봉선사
+
! colspan="2" style="background:#ff8c00; color:#ffffff; font-size:130%; text-align:center;" | '''봉선사
 
[ 奉先寺 ]'''
 
[ 奉先寺 ]'''
 
|-
 
|-
 
|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 [[파일:봉선사1.jpg]]
 
|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 [[파일:봉선사1.jpg]]
 
|-  
 
|-  
| style="width:80px; text-align:center;" |'''종파''' || 대한불교 조계종
+
| style="background:#ffffcc;color:black;border:ridge;border-color:green;cellpadding=20;cellspacing=0;border=1;font-size:100%;text-align:center;" |'''종파''' || 대한[[불교]] [[조계종]]
 
|-  
 
|-  
| style="text-align:center;"|'''창건시기''' || 969년(광종 20)
+
| style="background:#ffffcc;color:black;border:ridge;border-color:green;cellpadding=20;cellspacing=0;border=1;font-size:100%;text-align:center;"|'''창건시기''' || 969년([[광종]] 20)
 
|-  
 
|-  
| style="text-align:center;"|'''창건시대''' || 고려
+
| style="background:#ffffcc;color:black;border:ridge;border-color:green;cellpadding=20;cellspacing=0;border=1;font-size:100%;text-align:center;"|'''창건자''' || 법인국사 탄문
 
|-  
 
|-  
| style="text-align:center;"|'''창건자''' || 법인국사 탄문
+
| style="background:#ffffcc;color:black;border:ridge;border-color:green;cellpadding=20;cellspacing=0;border=1;font-size:100%;text-align:center;"|'''위치''' ||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봉선사길 32(부평리255)
|-  
 
| style="text-align:center;"|'''위치''' ||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봉선사길 32(부평리255)
 
|-
 
| style="text-align:center;"|'''소재지''' || {{
 
#display_map:
 
Gyeonggi City;
 
37.746998, 127.183406
 
 
 
|service=googlemaps3
 
|width=400
 
|height=400
 
|type=normal
 
|overlays=videos-1,wikipedia
 
|icon=https://goo.gl/maps/JaeUxpTWHhzxoAsU6|zoom=18
 
}}​
 
 
 
 
 
|-
 
| style="text-align:center;"|'''주지''' || 일관스님
 
 
|-  
 
|-  
 +
| style="background:#ffffcc;color:black;border:ridge;border-color:green;cellpadding=20;cellspacing=0;border=1;font-size:100%;text-align:center;"|'''홈페이지''' || [http://www.bongsunsa.net/ 봉선사 공식 홈페이지]
 
|}
 
|}
 
</onlyinclude>
 
</onlyinclude>
==상세==
 
奉先寺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음 부평리에 있는 사찰. 대한불교 조계종 제25교구 본사이다.
 
  
[http://www.bongsunsa.net/ 봉선사 공식 홈페이지]
+
=='''개요'''==
 +
'''봉선사'''(奉先寺)는 [[경기도]] [[남양주]]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소속 사찰이다. 대한불교 조계종 제 25교구 본사이다.
  
969년 법인국사 탄문이 창건하여 운악사라 하였다. 그 후 1469년(예종 1) 정희왕후 윤씨가 광릉의 세조를 추모하여 89칸으로 중창하고 봉선사라고 하였다. 1551년(명종 6)에는, 문정왕후에 의해 교종의 중심된 절로 지정되어 여기서 승과시라는 과거를 치르기도 하고, 전국 승려와 신도에 대하여 교학을 진흥하는 중추적 기관 역할을 하였다. 임진왜란 때 불타 여러 번 수축했다. 그러나 1951년 6.25 전쟁 때 다시 법당과 함께 14동 150칸의 건물이 소실되었다.
+
=='''상세'''==
  
1969년에는 주지 운허가 큰법당 등의 법당을 중건했다.
+
969년([[광종]]20)에 법인국사 탄문이 창건하여 운악사라고 하였다. 봉선사로 이름을 바꾼 것은 [[조선]] [[예종]] 때인 1469년이다. 왕의 어머니인 정희대비가 죽은 남편 [[세조]]의 능을 운악사으로 이장하여 광릉이라 하고, 이 절을 [[세조]]의 명복을 비는 사찰로 삼아 '선왕을 받든다'는 뜻으로 '''봉선사'''라는 이름을 붙였다. 1550년([[명종]])에 이 절은 교종의 수사찰로 지정되어 전국의 승려 및 신도에 대한 교학 진흥의 중추적 기관이 되었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때 소실되어 여러 번 중건하였으나 [[6.25전쟁]] 으로 건물이 완전히 소실되었다. 이후, 여러 번 중건되고 1970년에 주지 운허가 법당을 중건해 오늘에 이르고 있다.
  
 
[[파일:동종.png]]
 
[[파일:동종.png]]
52번째 줄: 31번째 줄:
  
  
[[파일:법당.jpg]]
+
[[파일:큰법당.jpg]]
 +
 
 
절의 주된 전각인 큰법당은 대웅전에 해당된다.
 
절의 주된 전각인 큰법당은 대웅전에 해당된다.
  
춘원 [[이광수]], [[최서해]]등의 인물들이 사찰에서 기거하며 작품활동을 하기도 했다.
+
[[춘원 이광수]]등의 인물들이 사찰에서 기거하며 작품활동을 하기도 했다.
  
==찾아가는 길==
+
=='''문화재'''==
'''주소 검색''' :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봉선사길 32(부평리255)
 
 
 
'''안내문의''' : '''사무실''' Tel:031)527-1951~3 '''종무소''' Tel:031)527.1956,1974
 
 
 
'''버스편'''
 
 
 
'''서울 → 의정부 → 봉선사'''
 
 
 
*의정부역 (동부광장에서 왼쪽으로 20M 정도 아래쪽) → 21번 광릉내행 버스 (배차간격 30분~40분) → 국립수목원 → 광릉 → 봉선사 입구
 
 
 
*의정부시외버스터미널 → 21번 → 봉선사
 
 
 
'''서울 → 석계 → 봉선사'''
 
 
 
*석계역(1호선, 2번 출구) → 73번 버스 → 장현리(장현농협하차) → 2번(마을버스) → 봉선사
 
 
 
'''서울 → 청량리 → 봉선사'''
 
 
 
*청량리역 환승센터 1번 승강장 (707번) → 장현(정광산호A앞 하차) → 2번(마을버스) → 봉선사
 
 
 
 
 
 
 
'''자가용편'''
 
 
 
'''중부 고속도로에서 오실 경우'''
 
*중부 고속도로에서 내리신 후에
 
*구리 톨게이트를 지나서 '퇴계원/이동' 방향으로 진입하십시오.
 
*이동 방향으로 계속 직진하시다 보면 '장현'이 나타날 것입니다.
 
*장현을 지나서 검문소(구리 톨게이트 이후, 최초로 만나는 상설 검문소)를 지나자마자
 
*오른쪽으로 접어들면 '광릉/수목원/봉선사'를 가리키는 이정표가 보입니다.
 
*검문소에서는 약 2km 정도의 거리입니다.
 
'''의정부를 통해서 오는 길'''
 
*의정부시내에서 포천으로 가는 국도를 찾으시는게 우선입니다.
 
*포천행 국도를 얼마간 달리시면 축석검문소(상설검문소입니다)를 만나실겁니다.
 
*축석검문소에서 바로 오른쪽 좁은길로 접어들면, 그 길이 유명한 수목원길입니다.
 
*맑은 공기를 마시며 수목원과 광릉을 지나면 얼마 지나지 않아 봉선사 입구 팻말이 나타납니다.
 
 
 
==진행 법회==
 
'''초하루 신중기도법회''' 매월 음력 1일부터 3일 오전 10시 [[청풍루]]
 
 
 
'''보름 미타지장기도법회''' 매월 음력 15일 오전 10시 [[청풍루]]
 
 
 
'''관음재일기도법회''' 매월 음력 24일 오전 10시 [[관음전]]
 
 
 
'''일요가족법회''' 매주 일요일 오전 10시
 
 
 
'''청소년법회''' 매주 일요일 오전 10시
 
 
 
'''어린이법회''' 매주 일요일 오전 10시
 
 
 
'''새벽 예불''': 오전 4시  '''사시불공''' : 오전 10시
 
 
 
==문화재==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region=1&searchCondition=%EB%B4%89%EC%84%A0%EC%82%AC&searchCondition2=&s_kdcd=00&s_ctcd=00&ccbaKdcd=12&ccbaAsno=03970000&ccbaCtcd=31&ccbaCpno=1123103970000&ccbaCndt=&stCcbaAsno=&endCcbaAsno=&stCcbaAsdt=&endCcbaAsdt=&ccbaPcd1=99&culPageNo=1&chGubun=&header=view&returnUrl=%2Fheri%2Fcul%2FculSelectViewList.do&gbn=3&pageNo=5_2_1_0&sCond=%EB%B4%89%EC%84%A0%EC%82%AC 보물 제397호 남양주 봉선사 동종]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region=1&searchCondition=%EB%B4%89%EC%84%A0%EC%82%AC&searchCondition2=&s_kdcd=00&s_ctcd=00&ccbaKdcd=12&ccbaAsno=03970000&ccbaCtcd=31&ccbaCpno=1123103970000&ccbaCndt=&stCcbaAsno=&endCcbaAsno=&stCcbaAsdt=&endCcbaAsdt=&ccbaPcd1=99&culPageNo=1&chGubun=&header=view&returnUrl=%2Fheri%2Fcul%2FculSelectViewList.do&gbn=3&pageNo=5_2_1_0&sCond=%EB%B4%89%EC%84%A0%EC%82%AC 보물 제397호 남양주 봉선사 동종]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region=1&searchCondition=%EB%B4%89%EC%84%A0%EC%82%AC&searchCondition2=&s_kdcd=00&s_ctcd=00&ccbaKdcd=12&ccbaAsno=17920000&ccbaCtcd=31&ccbaCpno=1123117920000&ccbaCndt=&stCcbaAsno=&endCcbaAsno=&stCcbaAsdt=&endCcbaAsdt=&ccbaPcd1=99&culPageNo=1&chGubun=&header=view&returnUrl=%2Fheri%2Fcul%2FculSelectViewList.do&gbn=3&pageNo=5_2_1_0&sCond=%EB%B4%89%EC%84%A0%EC%82%AC 보물 제1792호 남양주 봉선사 비로자나삼신괘불도]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region=1&searchCondition=%EB%B4%89%EC%84%A0%EC%82%AC&searchCondition2=&s_kdcd=00&s_ctcd=00&ccbaKdcd=12&ccbaAsno=17920000&ccbaCtcd=31&ccbaCpno=1123117920000&ccbaCndt=&stCcbaAsno=&endCcbaAsno=&stCcbaAsdt=&endCcbaAsdt=&ccbaPcd1=99&culPageNo=1&chGubun=&header=view&returnUrl=%2Fheri%2Fcul%2FculSelectViewList.do&gbn=3&pageNo=5_2_1_0&sCond=%EB%B4%89%EC%84%A0%EC%82%AC 보물 제1792호 남양주 봉선사 비로자나삼신괘불도]
119번째 줄: 46번째 줄: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region=1&searchCondition=%EB%B4%89%EC%84%A0%EC%82%AC&searchCondition2=&s_kdcd=00&s_ctcd=00&ccbaKdcd=79&ccbaAsno=05220000&ccbaCtcd=31&ccbaCpno=4413105220000&ccbaCndt=&stCcbaAsno=&endCcbaAsno=&stCcbaAsdt=&endCcbaAsdt=&ccbaPcd1=99&culPageNo=1&chGubun=&header=view&returnUrl=%2Fheri%2Fcul%2FculSelectViewList.do&gbn=3&pageNo=5_2_1_0&sCond=%EB%B4%89%EC%84%A0%EC%82%AC 등록문화재 제 522호 남양주 봉선사 큰법당]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region=1&searchCondition=%EB%B4%89%EC%84%A0%EC%82%AC&searchCondition2=&s_kdcd=00&s_ctcd=00&ccbaKdcd=79&ccbaAsno=05220000&ccbaCtcd=31&ccbaCpno=4413105220000&ccbaCndt=&stCcbaAsno=&endCcbaAsno=&stCcbaAsdt=&endCcbaAsdt=&ccbaPcd1=99&culPageNo=1&chGubun=&header=view&returnUrl=%2Fheri%2Fcul%2FculSelectViewList.do&gbn=3&pageNo=5_2_1_0&sCond=%EB%B4%89%EC%84%A0%EC%82%AC 등록문화재 제 522호 남양주 봉선사 큰법당]
  
[[분류:고려시대의 절]]
+
=='''네트워크 그래프'''==
 +
<html>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input type="button" value="새로고침" onclick="reload();" />
 +
<iframe width="1200" height="800" src="https://hwiki.eumstory.co.kr/work/A/2111046/Bong/Bong.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
=='''참고문헌'''==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B%B4%89%EC%84%A0%EC%82%AC&ridx=0&tot=12471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
 
 +
=='''작성자'''==
 +
[[노경빈]]
 +
 
 +
[[분류:건축물]]
 +
[[분류:한국의 건축물]]
 +
[[분류:종교 건축물]]
 +
[[분류:불교 건축물]]
 +
[[분류:절]]
 +
[[분류:한국의 절]]
 
[[분류:경기도의 절]]
 
[[분류:경기도의 절]]
 
[[분류:남양주의 절]]
 
[[분류:남양주의 절]]
[[분류:운악산]]
+
[[분류:대한불교조계종의 절]]
[[분류:불교]]
+
[[분류:이광수]]
[[분류:조계종]]
 
[[분류:문화재]]
 
[[분류:김경민]]
 
[[분류:장소]]
 

2022년 6월 13일 (월) 18:00 기준 최신판


개요

봉선사(奉先寺)는 경기도 남양주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소속 사찰이다. 대한불교 조계종 제 25교구 본사이다.

상세

969년(광종20)에 법인국사 탄문이 창건하여 운악사라고 하였다. 봉선사로 이름을 바꾼 것은 조선 예종 때인 1469년이다. 왕의 어머니인 정희대비가 죽은 남편 세조의 능을 운악사으로 이장하여 광릉이라 하고, 이 절을 세조의 명복을 비는 사찰로 삼아 '선왕을 받든다'는 뜻으로 봉선사라는 이름을 붙였다. 1550년(명종)에 이 절은 교종의 수사찰로 지정되어 전국의 승려 및 신도에 대한 교학 진흥의 중추적 기관이 되었다. 임진왜란병자호란 때 소실되어 여러 번 중건하였으나 6.25전쟁 으로 건물이 완전히 소실되었다. 이후, 여러 번 중건되고 1970년에 주지 운허가 큰 법당을 중건해 오늘에 이르고 있다.

동종.png

절 종각에 보존되어 있는 동종은 조선 전기의 것으로 보물 제397호로 지정되어 있다.


큰법당.jpg

절의 주된 전각인 큰법당은 대웅전에 해당된다.

춘원 이광수등의 인물들이 사찰에서 기거하며 작품활동을 하기도 했다.

문화재

네트워크 그래프

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작성자

노경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