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선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21번째 줄: 21번째 줄:
 
=='''개요'''==
 
=='''개요'''==
 
  '''봉선사'''(奉先寺)는 [[경기도]] [[남양주]]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소속 사찰이다. 대한불교 조계종 제 25교구 본사이다.
 
  '''봉선사'''(奉先寺)는 [[경기도]] [[남양주]]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소속 사찰이다. 대한불교 조계종 제 25교구 본사이다.
 +
 
=='''상세'''==
 
=='''상세'''==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음 부평리에 있는 사찰. 대한불교 조계종 제25교구 본사이다.
+
969년([[광종]]20)에 법인국사 탄문이 창건하여 운악사라고 하였다. 봉선사로 이름을 바꾼 것은 [[조선]] [[예종]] 때인 1469년이다. 왕의 어머니인 정희대비가 죽은 남편 [[세조]]의 능을 운악사으로 이장하여 광릉이라 하고, 이 절을 [[세조]]의 명복을 비는 사찰로 삼아 '선왕을 받든다'는 뜻으로 봉선사라는 이름을 붙였다. 1550년([[명종]])에 이 절은 교종의 수사찰로 지정되어 전국의 승려 및 신도에 대한 교학 진흥의 중추적 기관이 되었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소실되어 여러 번 중건하였으나 [[6.25전쟁]] 으로 건물이 완전히 소실되었다. 이후, 여러 번 중건되고 1970년에 주지 운허가 법당을 중건해 오늘에 이르고 있다.
 
 
969년 법인국사 탄문이 창건하여 운악사라 하였다. 그 후 1469년(예종 1) 정희왕후 윤씨가 광릉의 세조를 추모하여 89칸으로 중창하고 봉선사라고 하였다. 1551년(명종 6)에는, 문정왕후에 의해 교종의 중심된 절로 지정되어 여기서 승과시라는 과거를 치르기도 하고, 전국 승려와 신도에 대하여 교학을 진흥하는 중추적 기관 역할을 하였다. 임진왜란 때 불타 여러 번 수축했다. 그러나 1951년 6.25 전쟁 때 다시 법당과 함께 14동 150칸의 건물이 소실되었다.  
 
 
 
1969년에는 주지 운허가 큰법당 등의 법당을 중건했다.
 
  
 
[[파일:동종.png]]
 
[[파일:동종.png]]
48번째 줄: 45번째 줄: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region=1&searchCondition=%EB%B4%89%EC%84%A0%EC%82%AC&searchCondition2=&s_kdcd=00&s_ctcd=00&ccbaKdcd=31&ccbaAsno=01650000&ccbaCtcd=31&ccbaCpno=3413101650000&ccbaCndt=&stCcbaAsno=&endCcbaAsno=&stCcbaAsdt=&endCcbaAsdt=&ccbaPcd1=99&culPageNo=1&chGubun=&header=view&returnUrl=%2Fheri%2Fcul%2FculSelectViewList.do&gbn=3&pageNo=5_2_1_0&sCond=%EB%B4%89%EC%84%A0%EC%82%AC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65호 남양주 봉선사 독성도]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region=1&searchCondition=%EB%B4%89%EC%84%A0%EC%82%AC&searchCondition2=&s_kdcd=00&s_ctcd=00&ccbaKdcd=31&ccbaAsno=01650000&ccbaCtcd=31&ccbaCpno=3413101650000&ccbaCndt=&stCcbaAsno=&endCcbaAsno=&stCcbaAsdt=&endCcbaAsdt=&ccbaPcd1=99&culPageNo=1&chGubun=&header=view&returnUrl=%2Fheri%2Fcul%2FculSelectViewList.do&gbn=3&pageNo=5_2_1_0&sCond=%EB%B4%89%EC%84%A0%EC%82%AC 경기도 문화재자료 제165호 남양주 봉선사 독성도]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region=1&searchCondition=%EB%B4%89%EC%84%A0%EC%82%AC&searchCondition2=&s_kdcd=00&s_ctcd=00&ccbaKdcd=79&ccbaAsno=05220000&ccbaCtcd=31&ccbaCpno=4413105220000&ccbaCndt=&stCcbaAsno=&endCcbaAsno=&stCcbaAsdt=&endCcbaAsdt=&ccbaPcd1=99&culPageNo=1&chGubun=&header=view&returnUrl=%2Fheri%2Fcul%2FculSelectViewList.do&gbn=3&pageNo=5_2_1_0&sCond=%EB%B4%89%EC%84%A0%EC%82%AC 등록문화재 제 522호 남양주 봉선사 큰법당]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region=1&searchCondition=%EB%B4%89%EC%84%A0%EC%82%AC&searchCondition2=&s_kdcd=00&s_ctcd=00&ccbaKdcd=79&ccbaAsno=05220000&ccbaCtcd=31&ccbaCpno=4413105220000&ccbaCndt=&stCcbaAsno=&endCcbaAsno=&stCcbaAsdt=&endCcbaAsdt=&ccbaPcd1=99&culPageNo=1&chGubun=&header=view&returnUrl=%2Fheri%2Fcul%2FculSelectViewList.do&gbn=3&pageNo=5_2_1_0&sCond=%EB%B4%89%EC%84%A0%EC%82%AC 등록문화재 제 522호 남양주 봉선사 큰법당]
=='''관련 항목'''==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style="width:30%"|주어(S)!!style="width:30%"|목적어(O)!!style="width:25%"|관계:A는 B를 ~하다(P)!!style="width:15%"|비고
 
|-
 
| [[봉선사]] || [[경기도 남양주]] || A는 B에 위치해 있다 ||
 
|-
 
| [[봉선사]] || [[대한불교 조계종]] || A는 B의 제25교구의 본사이다 ||
 
|-
 
| [[봉선사]] || [[고려]] || A는 B시대에 건축되었다 ||
 
|-
 
| [[운악사]] || [[봉선사]] || A는 B의 초기 이름이었다 ||
 
|-
 
| [[봉선사]] || [[교종]] || A는 B의 중심이었다 ||
 
|-
 
| [[봉선사]] || [[교학]] || A는 B의 중추적 기관이었다 ||
 
|-
 
| [[봉선사]] || [[임진왜란]] || A는 B시기 때 소실되었다 ||
 
|-
 
| [[봉선사]] || [[6.25전쟁]] || A는 B시기 때 소실되었다 ||
 
|-
 
| [[이광수]] || [[봉선사]] || A는 B에서 기거했었다 ||
 
|-
 
| [[봉선사 큰법당]] || [[운허스님]] || A는 B가 중건하였다 ||
 
|-
 
  
|}
 
 
=='''네트워크 그래프'''==
 
=='''네트워크 그래프'''==
 
[[파일:봉선사 그래프.png]]
 
[[파일:봉선사 그래프.png]]

2022년 6월 13일 (월) 16:57 판


개요

봉선사(奉先寺)는 경기도 남양주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소속 사찰이다. 대한불교 조계종 제 25교구 본사이다.

상세

969년(광종20)에 법인국사 탄문이 창건하여 운악사라고 하였다. 봉선사로 이름을 바꾼 것은 조선 예종 때인 1469년이다. 왕의 어머니인 정희대비가 죽은 남편 세조의 능을 운악사으로 이장하여 광릉이라 하고, 이 절을 세조의 명복을 비는 사찰로 삼아 '선왕을 받든다'는 뜻으로 봉선사라는 이름을 붙였다. 1550년(명종)에 이 절은 교종의 수사찰로 지정되어 전국의 승려 및 신도에 대한 교학 진흥의 중추적 기관이 되었다. 임진왜란병자호란 때 소실되어 여러 번 중건하였으나 6.25전쟁 으로 건물이 완전히 소실되었다. 이후, 여러 번 중건되고 1970년에 주지 운허가 큰 법당을 중건해 오늘에 이르고 있다.

동종.png

절 종각에 보존되어 있는 동종은 조선 전기의 것으로 보물 제397호로 지정되어 있다.


큰법당.jpg

절의 주된 전각인 큰법당은 대웅전에 해당된다.

춘원 이광수등의 인물들이 사찰에서 기거하며 작품활동을 하기도 했다.

문화재

네트워크 그래프

봉선사 그래프.png

작성자

노경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