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스해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24번째 줄: 24번째 줄:
  
 
==생애==
 
==생애==
[[귀스타브 모로]][[1826년]] [[프랑스]] [[파리]]에서 [[건축가]]의 아들로 태어났다. 역사화가인 [[프랑수아 에두아르 피코]]에게서 미술을 배웠고, [[파리]]의 국립 고등미술학교인 [[에콜 데 보자르]](École Nationale supérieure des Beaux-Arts)졸업하고 22세 때부터 그림을 그렸다.
+
[[미국]] [[필라델피아(미국)|필라델피아]] 쿠츠타운에서 성장한 키스 해링은 미국의 전형적인 가정의 1남 3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전통]][[기독교]]가 강하게 자리잡은 보수적인 필라델피아, 가도 가도 끝이 보이지 않는 옥수수밭과 눈에 띄는 건물이나 흥미라고는 찾아보기 힘든 작은 시골, 쿠츠타운은 호기심 많고 열정을 가득 찬 키스 해링이 머물기에는 더 없이 답답한 곳이었다. 이러한 주변의 환경과는 별개로 해링의 가정은 상당히 자유로운 분위기였다. 해링의 아버지 알렌은 키스처럼 늘 낙서를 하는것을 좋아했는데, 알렌은 종이에 빈 공간이 있으면, 간단한 낙서를 한 후 아이들과 함께 낙서를 덧붙여나가는 놀이를 종종 하곤했다. 어머니 조안은 이렇게 남편과 아이들이 그린 낙서를 냉장고에 붙여서 감상하곤 하였는데, 이렇듯 키스는 자유롭게 낙서를 하는 환경에서 자라면서 성장함에따라, 이후에도 낙서에 깊이 매료되게된다. 이외에도 [[TV]]에서 방영하는 [[닥터 수스]][[월트 디즈니]] 등 다양한 [[만화]] [[영화]]를 즐겨 보며 키스는 그림에대한 열정을 키워나간다.
  
고전 미술에도 관심이 있었던 [[귀스타브 모로]][[1857년]]부터 [[1859년]]까지 2년간 [[이탈리아]]에 머무르며 [[미켈란젤로]], [[라파엘로]]등 고전 대가들의 작품을 연구하며, 신화적 주제를 수집하고 내공을 쌓았다.
+
[[1976년]] 피츠버그의 아이비전문예술대학교에 입학하여 [[그래픽]] [[디자인]]을 공부하였다. 그러나 이에 별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1978년]] [[뉴욕]]으로 옮겨 시각예술학교에서 공부했다.
  
이후, [[파리]]로 돌아와 [[살롱 초대전]]에서 20년간에 걸쳐 수시로 작품을 출품했다. 정부의 주문을 받으면서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하였다.
+
해링은 뉴욕 거리의 벽면과 [[지하철]] 플랫폼에 그려져 있는 [[낙서]]를 보고 깊은 영감을 얻었다. 다운타운의 활기찬 [[에너지]]와 신선한 기운 속에서 그는 자신이 무엇을 해야 할 것인지를 감지할 수 있었다. [[길거리]], 지하철, [[클럽]] 등의 벽은 이제 그의 [[캔버스]]가 되었고 지나가는 평범한 행인들에게 말을 걸기 시작했다. 즉, 그만의 예술 언어로 [[도시]]와 대화를 나누기 시작한 것이다. 번번히 공공기물 훼손혐의로 [[경찰]]에 체포되기도 했지만 사람들은 해링의 독특한 이미지에 열광하기 시작했다.
  
[[1888년]] [[프랑스 미술 아카데미]]의 회원이 되었다.
+
[[픽토그램]]같은 간결한 선과 강렬한 원색, [[재치]]와 [[유머]]가 넘치는 표현이 특징이다. 참고로 키스 해링의 이 특징을 단번에 알아본 토니 샤프라치(Tony Shafrazi)는 자신의 [[갤러리]]에서 키스 해링의 개인전을 기획하였고 키스 해링은 이 전시를 계기로 [[스타]] [[작가]]로 부상하게 되었다. 하위 문화로 낙인 찍힌 낙서화 형식을 빌려 새로운 회화 양식을 창조해낸 그의 그림은 뉴욕의 새로운 흐름을 주도하게 되었다.
  
[[1892년]] 그가 졸업했던, [[파리]]의 [[에콜 데 보자르]]에 교수로 재직했다.
+
그러나 안타깝게도 1990년 2월 16일, 31세의 나이에 에이즈 합병증으로 인해 일찍 눈을 감았다.
그의 제자 중에는 [[마케]](Albert Marquet), [[마티스]](Matisse), [[루오]](Rouault)가 있었다.
 
 
 
[[1895년]]에 [[귀스타브 모로]]는 [[파리]]의 9구 로슈푸코 거리([[프랑스어]]: rue de la Rochefoucauld) 14번지에 있는 그의 집을 미술관으로 개조하고 그의 작품들을 모았다.
 
 
 
[[1898년]]에 그는 [[위암]]으로 사망하고, [[몽마르트르 묘지]]에 묻혔다.
 
 
 
[[귀스타브 모로]]가 개조한 집은 [[귀스타브 모로 미술관]]([[프랑스어]]: Musée Gustave Moreau)으로 [[1902년]]에 국가의 공식적인 미술관이 되었고, 그가 가장 아끼던 제자인 [[루오]](Rouault)가 초대 관장을 맡았다.
 
  
 
*[[귀스타브 모로 미술관]](Musée Gustave Moreau) 위치
 
*[[귀스타브 모로 미술관]](Musée Gustave Moreau) 위치

2020년 6월 18일 (목) 20:15 판

[목차] 귀스타브 모로(Gustave Moreau, 1826.4.6. ~ 1898.4.18.)는 19세기 프랑스상징주의 화가이다. 주로 역사, 신화, 종교적 주제의 그림을 그렸다.

생애

미국 필라델피아 쿠츠타운에서 성장한 키스 해링은 미국의 전형적인 가정의 1남 3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전통기독교가 강하게 자리잡은 보수적인 필라델피아, 가도 가도 끝이 보이지 않는 옥수수밭과 눈에 띄는 건물이나 흥미라고는 찾아보기 힘든 작은 시골, 쿠츠타운은 호기심 많고 열정을 가득 찬 키스 해링이 머물기에는 더 없이 답답한 곳이었다. 이러한 주변의 환경과는 별개로 해링의 가정은 상당히 자유로운 분위기였다. 해링의 아버지 알렌은 키스처럼 늘 낙서를 하는것을 좋아했는데, 알렌은 종이에 빈 공간이 있으면, 간단한 낙서를 한 후 아이들과 함께 낙서를 덧붙여나가는 놀이를 종종 하곤했다. 어머니 조안은 이렇게 남편과 아이들이 그린 낙서를 냉장고에 붙여서 감상하곤 하였는데, 이렇듯 키스는 자유롭게 낙서를 하는 환경에서 자라면서 성장함에따라, 이후에도 낙서에 깊이 매료되게된다. 이외에도 TV에서 방영하는 닥터 수스월트 디즈니 등 다양한 만화 영화를 즐겨 보며 키스는 그림에대한 열정을 키워나간다.

1976년 피츠버그의 아이비전문예술대학교에 입학하여 그래픽 디자인을 공부하였다. 그러나 이에 별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1978년 뉴욕으로 옮겨 시각예술학교에서 공부했다.

해링은 뉴욕 거리의 벽면과 지하철 플랫폼에 그려져 있는 낙서를 보고 깊은 영감을 얻었다. 다운타운의 활기찬 에너지와 신선한 기운 속에서 그는 자신이 무엇을 해야 할 것인지를 감지할 수 있었다. 길거리, 지하철, 클럽 등의 벽은 이제 그의 캔버스가 되었고 지나가는 평범한 행인들에게 말을 걸기 시작했다. 즉, 그만의 예술 언어로 도시와 대화를 나누기 시작한 것이다. 번번히 공공기물 훼손혐의로 경찰에 체포되기도 했지만 사람들은 해링의 독특한 이미지에 열광하기 시작했다.

픽토그램같은 간결한 선과 강렬한 원색, 재치유머가 넘치는 표현이 특징이다. 참고로 키스 해링의 이 특징을 단번에 알아본 토니 샤프라치(Tony Shafrazi)는 자신의 갤러리에서 키스 해링의 개인전을 기획하였고 키스 해링은 이 전시를 계기로 스타 작가로 부상하게 되었다. 하위 문화로 낙인 찍힌 낙서화 형식을 빌려 새로운 회화 양식을 창조해낸 그의 그림은 뉴욕의 새로운 흐름을 주도하게 되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1990년 2월 16일, 31세의 나이에 에이즈 합병증으로 인해 일찍 눈을 감았다.

지도를 불러오는 중...

작품세계

그의 초기 작품은 낭만주의적 경향이 나타나며, 외젠 들라크루아테오도르 샤세리오의 영향을 받았다.

1850년대 그의 그림 양식으로는 들라크루아샤세리오의 영향을 보였다.

귀스타브 모로의 양식은 1860년대 말에 변화를 보이기 시작했다. 대부분의 작품이 고대 그리스신화에 나오는 신화와 인물을 주제로 하고 있다. 귀스타브 모로는 의식적으로 신화를 주제로 한 그림에서 인간의 번민과 고통, 이상적인 영웅상 등을 상징적으로 표현하면서 상징주의의 선구자가 되었다.

말년에 귀스타브 모로는 주로 유채물감과 수채물감을 사용하여 작은 크기의 작품을 그렸다. 또한 자신의 초기 작품들을 다시 그렸지만, 대부분 완성하지 못했다.


대표작품

기타(수상내역)

파리살롱 초대전에서 <오이디푸스와 스핑크스>(1864년)라는 작품을 출품하고 메달을 받았다.


참고 문헌

외부 참고 링크
사이트 이름 링크
1 네이버 지식백과/501 위대한 화가 [1]
2 네이버 지식백과/화가의 세계와 예술세계 [2]
3 위키 백과 [3]

출처

  • 틀 - 귀스타브 모로의 자화상(Degas au porte-fusain), 1855, 네이버 지식백과 [4]
  • 대표작품 - 네이버 지식백과 [5]


[목차]

개요

뉴욕미술가, 그래피티 미술가. 인종과 동성애에 대한 차별에 맞서 싸운 사회 운동가이기도 하다.[* 참고로 전시 설명에서도 잘 언급되지 않는지라 모르는 사람들도 많은데, 커밍아웃을 한 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