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1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onlyinclude>
 
 
{|class="metadata" style="background:#f2f2f2; width:320px; margin: 5px 5px 5px 5px;" cellspacing="10" align="right"  
 
{|class="metadata" style="background:#f2f2f2; width:320px; margin: 5px 5px 5px 5px;" cellspacing="10" align="right"  
 
|-
 
|-
 
! colspan="2" style="background:#3ca9a9; color:#ffffff; font-size:130%; text-align:center;" | '''백조'''
 
! colspan="2" style="background:#3ca9a9; color:#ffffff; font-size:130%; text-align:center;" | '''백조'''
 
|-
 
|-
|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 [[파일:백조.jpg]][[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2385#]]
+
| colspan="2" style="text-align:center;" | [[파일:백조.jpg]]
 
|-  
 
|-  
| style="width:80px; text-align:center;" |'''잡지명''' || [[백조(白潮)]]
+
| style="width:80px; text-align:center;" |'''잡지명''' || 백조
 
|-  
 
|-  
| style="width:80px; text-align:center;" |'''출판사''' || [[경성문화사]]
+
| style="width:80px; text-align:center;" |'''잡지명 한자''' || 白潮
 +
|-
 +
| style="width:80px; text-align:center;" |'''분야''' || 현대문학, 순문학, 문예동인지, 잡지
 +
|-
 +
| style="width:80px; text-align:center;" |'''시대''' || 근대
 +
|-
 +
| style="width:80px; text-align:center;" |'''출판사''' || 경성문화사
 
|-  
 
|-  
| style="text-align:center;"|'''저자''' ||  홍사용, [[현진건]], [[이상화]], 나빈, [[박종화]], 박영희, 노자영 등  
+
| style="text-align:center;"|'''편저자''' ||  [[박종화]], 홍사용, [[나도향]], 박영희, 이펜젤러, 보이스 부인, 훼루훼로
 +
|-
 +
| style="text-align:center;"|'''속한 작가''' ||  이상화, 홍사용, 현진건, [[이상화]], 나빈, [[박종화]], 박영희, 노자영 등  
 
|-  
 
|-  
 
| style="text-align:center;"|'''창작년도''' || 1922.01 ~ 1923.09
 
| style="text-align:center;"|'''창작년도''' || 1922.01 ~ 1923.09
 
|-  
 
|-  
 
|}
 
|}
</onlyinclude>
 
  
 +
=='''정의'''==
 +
1922년 문화사에서 배재학당과 휘문의숙 출신의 문학청년들이 모여서 발행한 잡지.
 +
 +
 +
=='''개설과 종간'''==
 +
*1922년 1월 [[박종화]](朴鍾和)·홍사용(洪思容)·[[나도향]](羅稻香)·[[박영희]](朴英熙) 등이 창간하였다. 편집인은 홍사용이었다. 발행인은 일제의 검열을 피하기 위해 외국인을 택하여 1호는 아펜젤러(미국인 선교사, 배재학당 교장), 2호는 보이스 부인(미국인 선교사), 3호는 훼루훼로(망명한 백계 러시아인)이 되었다.
 +
*1호, 2호가 한해에 출간된 것에 비해 3호는 1년 여만에 출간할 수 있었는데, 순탄하지 못했던 출간 사정을 짐작해 볼 수 있다.
 +
*백조파에 대한 강한 반감을 지니고 있던 [[김기진]]의 와해공작으로 백조는 3호를 마지막으로 끝나고 말았다.
 +
 +
=='''성향과 경향'''==
 +
===시===
 +
*백조의 실린 시들은 주로 [[낭만주의]]적 성향을 보인다. 그들의 문학적 경향은 서구의 낭만주의와는 달리 병적이고 퇴폐적인 면이 강하게 보인다.
 +
*3·1운동이 실패한 뒤 허탈한 느낌에서 문학을 시작한 청년 작가들의 절망적이고 자포자기한 정신적 상황을 잘 반영한 모습으로 볼 수 있다.
 +
 +
===소설===
 +
*당시의 유행하는 사조(思潮)인 자연주의적인 성격이 짙다.
 +
*당시의 동인지는 어느 뚜렷한 문학적인 주의나 사조에 의하여 뭉친 동인이기보다는 문학 동호인의 친교적 성격이 강하였다.
  
==개요==
+
=='''주요작품'''==
백조(白潮)는 1922년 1월 창간된 순수 문예동인지이다. 휘문의숙 출신의 문학청년들이 모여서 발행한 것으로, 초기 [[낭만주의]] 문학운동의 중심적 구실을 하였다. 편집은 홍사용이 맡았지만, 발행인은 일제의 검열을 피하기 위해 각 호마다 여러 분야에 있는 외국인을 내세웠다. 하지만 백조파에 대한 강한 반감을 지니고 있던 [[김기진]]에 의하여 3호를 마지막으로 폐간되었다.
+
===시===
 +
====1호====
 +
*밀실로 돌아가다 (박종화)
 +
*말세의 희탄 (이상화)
  
==성향==
+
====2호====
백조는 주로 [[낭만주의]]적 성향의 작품을 실었다. 그 이유는 동인지 [[장미촌]]이 낭만주의적 성향을 보였는데, 추후 이것이 백조의 전선적 역할을 하였기 때문이다. [[3.1운동]] 이후 민족적 비관과 절망에 의해 낭만주의는 슬픔, 동정, 연민 따위의 감상을 지나치게 작품에 드러내려는 감상주의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리하여 작품 전체적으로 3·1운동의 실패에서 온 절망감에 의한 자포자기적인 성격이 드러나 있다.
+
*꿈의 나라로 (박영희)
 +
*봄은 가더이다 (홍사용)
 +
*흑방비곡 (박종화)
  
==대표작품 목록==
+
====3호====
 +
*나의 침실로 (이상화)
 +
*흐르는 물을 붙들고서 (홍사용)
 +
*나는 왕이로소이다 (홍사용)
  
===창간호===
 
*밀실로 돌아가다 (시, [[박종화]])
 
*말세의 희탄 (시, [[이상화]])
 
*젊은이의 시절 (소설, [[나도향]])
 
  
===제 2호===
+
===소설===
*별을 안거든 우지나 말걸 (소설, 나도향)
+
====1호====
*유린 (소설, [[현진건]])
+
*젊은이의 시절 (나도향)
*꿈의 나라로 (시, [[[박영희]])
 
*봄은 가더이다 (시, [[홍사용]])
 
*흑방비곡 (시, 박종화)
 
  
=== 제 3호===
+
====2호====
*나의 침실로(시, 이상화)
+
*별을 안거든 우지나 말걸 (나도향)
*흐르는 물을 붙들고서 (시, 홍사용)
+
*유린 (현진건)
*나는 왕이로소이다 (시, 홍사용)
 
*그것은 모두 꿈이었지마는 (시, 홍사용)
 
*여이발사(소설, 나도향)
 
*목이 매이는 여자 (소설, 박종화)
 
*죽음보다 아프다 (희곡, 박종화)
 
  
==관련 학술서==
+
====3호====
* 이동하. (1983). 동인지 <백조>의 문학사적 성격. 한국문화, 4(), 107-118.
+
*여이발사 (나도향)
 +
*목이 매이는 여자 (박종화)
 +
*할머니의 죽음 (현진건)
  
* 이은주. (2000). [특집:1920년대 동인지 문학과 근대성] 문학 텍스트에 나타난 자기 구성 방식에 대한 시론(試論) : 「창조」「폐허」「백조」의 사랑의 담론을 중심으로. 상허학보, 6(), 149-179.
 
  
 +
===희곡===
 +
====3호====
 +
*죽음보다 아프다 (박종화)
  
==관련항목==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평가'''==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30%"|항목B!!style="width:25%"|관계!!style="width:15%"|비고
+
*백조의 첫 호에는 수상류 및 동화, 희곡 등이 게재되었지만, 의욕이 너무 강한 나머지 2, 3편의 작품을 한꺼번에 수록하면서 질적인 면에서 조금은 아쉬운 창간호였다.
|-
+
*2호는 1호보다 좀 더 절제되고 정돈된 느낌으로 안정감을 주기도 했지만, 체제와 작품의 뼈대가 창간호와 대체로 비슷했다.
| [[백조]] || 1922년 || 창간되다 ||
+
 
|-
 
| [[백조]] || [[낭만주의]] || 성향이다 ||
 
|-
 
| [[백조]] || [[장미촌]] || 본받다 ||
 
|-
 
| [[장미촌]] || [[낭만주의]] || 성향이다 ||
 
|-
 
| [[백조]] || [[경성문화사]] || 만들어지다 ||
 
|-
 
| [[백조]] || [[1923]] || 폐간되다 ||
 
|}
 
  
==참고문헌==
+
=='''출처'''==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SearchNavi?keyword=%EB%B0%B1%EC%A1%B0&ridx=0&tot=14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 한국민족문화백과사전]
+
[https://www.nojak.or.kr/services/front/m/contents/nojak/hsyBaekjo?U_CD=NOJAK&MENU_DEPTH=2 노작홍사용]
  
[https://ja.wikipedia.org/wiki/%E7%99%BD%E6%BD%AE_(%E6%9C%9D%E9%AE%AE%E3%81%AE%E9%9B%91%E8%AA%8C) 白潮_(朝鮮の雑誌)]
 
  
[https://www.nojak.or.kr/services/front/contents/nojak/hsyBaekjo?U_CD=NOJAK 노작홍사용문학관]
+
=='''작성자 및 기여자'''==
 +
[[홍한나]]
  
==작성자 및 기여자==
 
  
[[분류:작품]] [[분류:장지원]]
+
[[분류:낭만주의]]
 +
[[분류:잡지]]
 +
[[분류:자연주의적 성향]]
 +
[[분류:배재학당]]
 +
[[분류:휘문의숙]]
 +
[[분류:3.1운동]]
 +
[[분류:문예동인지]]
 +
[[분류:근대]]

2022년 6월 15일 (수) 17:40 기준 최신판

정의

1922년 문화사에서 배재학당과 휘문의숙 출신의 문학청년들이 모여서 발행한 잡지.


개설과 종간

  • 1922년 1월 박종화(朴鍾和)·홍사용(洪思容)·나도향(羅稻香)·박영희(朴英熙) 등이 창간하였다. 편집인은 홍사용이었다. 발행인은 일제의 검열을 피하기 위해 외국인을 택하여 1호는 아펜젤러(미국인 선교사, 배재학당 교장), 2호는 보이스 부인(미국인 선교사), 3호는 훼루훼로(망명한 백계 러시아인)이 되었다.
  • 1호, 2호가 한해에 출간된 것에 비해 3호는 1년 여만에 출간할 수 있었는데, 순탄하지 못했던 출간 사정을 짐작해 볼 수 있다.
  • 백조파에 대한 강한 반감을 지니고 있던 김기진의 와해공작으로 백조는 3호를 마지막으로 끝나고 말았다.

성향과 경향

  • 백조의 실린 시들은 주로 낭만주의적 성향을 보인다. 그들의 문학적 경향은 서구의 낭만주의와는 달리 병적이고 퇴폐적인 면이 강하게 보인다.
  • 3·1운동이 실패한 뒤 허탈한 느낌에서 문학을 시작한 청년 작가들의 절망적이고 자포자기한 정신적 상황을 잘 반영한 모습으로 볼 수 있다.

소설

  • 당시의 유행하는 사조(思潮)인 자연주의적인 성격이 짙다.
  • 당시의 동인지는 어느 뚜렷한 문학적인 주의나 사조에 의하여 뭉친 동인이기보다는 문학 동호인의 친교적 성격이 강하였다.

주요작품

1호

  • 밀실로 돌아가다 (박종화)
  • 말세의 희탄 (이상화)

2호

  • 꿈의 나라로 (박영희)
  • 봄은 가더이다 (홍사용)
  • 흑방비곡 (박종화)

3호

  • 나의 침실로 (이상화)
  • 흐르는 물을 붙들고서 (홍사용)
  • 나는 왕이로소이다 (홍사용)


소설

1호

  • 젊은이의 시절 (나도향)

2호

  • 별을 안거든 우지나 말걸 (나도향)
  • 유린 (현진건)

3호

  • 여이발사 (나도향)
  • 목이 매이는 여자 (박종화)
  • 할머니의 죽음 (현진건)


희곡

3호

  • 죽음보다 아프다 (박종화)


평가

  • 백조의 첫 호에는 수상류 및 동화, 희곡 등이 게재되었지만, 의욕이 너무 강한 나머지 2, 3편의 작품을 한꺼번에 수록하면서 질적인 면에서 조금은 아쉬운 창간호였다.
  • 2호는 1호보다 좀 더 절제되고 정돈된 느낌으로 안정감을 주기도 했지만, 체제와 작품의 뼈대가 창간호와 대체로 비슷했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노작홍사용


작성자 및 기여자

홍한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