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주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정의)
(한국에서 리얼리즘)
20번째 줄: 20번째 줄:
  
 
   
 
   
 +
==성장==
 
≪현대문학≫이나 ≪월간문학≫을 압도한 듯한 ≪창작과 비평≫(1966)의 창간도 한국 리얼리즘 성장에 기여한다. 특권층의 부패 풍자(김지하, <五賊>, 사상계, 1970.5.), 변두리 노동자들의 생태(황석영, <객지>, 1974) 등 산업화로 1970년대 계층사회의 모순 인식은 바로 모순의 근원에 대한 질문을 심화시킨다.
 
≪현대문학≫이나 ≪월간문학≫을 압도한 듯한 ≪창작과 비평≫(1966)의 창간도 한국 리얼리즘 성장에 기여한다. 특권층의 부패 풍자(김지하, <五賊>, 사상계, 1970.5.), 변두리 노동자들의 생태(황석영, <객지>, 1974) 등 산업화로 1970년대 계층사회의 모순 인식은 바로 모순의 근원에 대한 질문을 심화시킨다.
  

2019년 6월 15일 (토) 22:57 판

사실주의 또는 리얼리즘

개요

리얼리즘 혹은 현실주의라고도 하며 경험적인 현실을 유일한 세계, 가치, 방법으로 인식하려는 문예사조(예술사조).

정의

사실주의(리얼리즘 또는 현실주의)는 res(실물)에 어원을 둔 realism의 역어이다. 경험적인 현실 외의 이상적·초월적 세계의 존재 증거가 없다고 보는 일원론적 세계관에서 진리나 진실, 미학적 가치, 예술창작의 방법 등을 뭉뚱그려 통칭한다.

일반적으로 서양미술사조 가운데 사실주의라고 하면 신고전주의와 낭만주의 이후인 1840년경부터 1870년대까지 프랑스 회화에 등장한 새로운 경향을 뜻한다. 당시 미술뿐만 아니라 문학에서도 진행된 이 운동에 동참한 예술가들은 자신이 살고 있는 동시대의 생활 모습을 자세하게 관찰하고 진실되며 사실적으로 기록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최근에는 사실주의보다는 원어 그대로의 리얼리즘이라고 표기하는 추세이다.


개인주의에 의거한 채 사회의 미래에 대한 전망의 결여라는 점에서, 사회주의 이데올로기와 결부된 문학사조라기보다는 그것의 전 단계라고 할 수 있다. 한국에서는 1922년 무렵부터 사실주의와 자연주의에 대한 반성과 더불어 사회적 관점을 도입하고 이념으로서 리얼리즘을 탐구하기 시작한다.

한국에서 리얼리즘

발생

한국에서는 1920년대의 김동인, 현진건 등이 리얼리즘 문학의 선구자로 언급된다. 그러나 한자 문화권에서 본격적인 리얼리즘은 사회 운동의 활성화와 관련되어 있다. 1930년대 카프, 1970년대의 민족문학, 1980년대의 민중문학 등이 리얼리즘의 자장 속에 놓여 있었던 것으로도 이것은 증명된다.


성장

≪현대문학≫이나 ≪월간문학≫을 압도한 듯한 ≪창작과 비평≫(1966)의 창간도 한국 리얼리즘 성장에 기여한다. 특권층의 부패 풍자(김지하, <五賊>, 사상계, 1970.5.), 변두리 노동자들의 생태(황석영, <객지>, 1974) 등 산업화로 1970년대 계층사회의 모순 인식은 바로 모순의 근원에 대한 질문을 심화시킨다.

일제 식민지시대의 리얼리즘, 특히 변증법적 리얼리즘과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경우, ① 실천(창작)보다 왕성한 이론이 앞섰고, ② 소련의 경우에는 사회주의 체제를 어느 정도 갖춘 현실사회를 기반으로 한 점, 당(공산당)과 단체(라프, 소련작가동맹)와 작가와의 3중 연결로 묶여 있는 점이 지적될 수 있으나 한국의 경우에는 그런 연대가 없고, ③ 일본을 매개로 수입된 복사(複寫) 이론의 공소성을 면할 수 없다. 광복 후, 특히 6·25 이후 사회현실 및 문학사조의 양극구도에서 자생적 리얼리즘으로 성장한 것으로 보인다.

리얼리즘 문학

개요 현실을 있는 그대로 묘사하여 사물의 본질과 그 내면의 의미를 포착하려는 경향. '관찰'을 통한 객관적 상태를 그린 문예시조로 자연주의의 모태가 된다.


발생 19세기 후반 낭만주의는 지나친 이상주의에 빠져 있거나, 퇴폐적이고 허무주의적인 모습을 띄었다. 이러한 낭만주의에 반발하면서 등장한 것이 '사실주의'이다. '사실주의 문학'에서는 아무리 부정적이라 할지라도 현실을 과장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묘사하는 것을 바탕으로 삼고 있다.

특징 사실주의 문학에서 추구하는 객관성이란 대상이 현실을 바라보는 자세와 관련된다. 이는 문학의 창조적 주체인 작가의 표현방법, 개성을 강조하던 낭만주의와는 다르다. 낭만주의가 조화, 균정 등을 추구하던 고전주의에 반발하면서 개성을 추구한 반면, 사실주의는 대상을 있는 그대로 관찰하여 묘사하는 객관성을 추구한다.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사실주의 최서해 영향을 주다

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대교학습백과

작성자 및 기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