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회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생애 및 활동사항)
18번째 줄: 18번째 줄:
 
|}
 
|}
 
</onlyinclude>
 
</onlyinclude>
 
 
 
  
  

2022년 6월 15일 (수) 17:17 판


생애

1909년 11월 15일 서울에서 신소설 《금수회의록》을 쓴 안국선(安國善)의 외아들로 태어났다. 수송보통학교를 마친 뒤 1924년 [[휘문고등보통학교]에 진학하여 김유정과 같은 반으로 각별히 친하였다.1926년때 부친의 사망으로 불우한 청년기를 보냈고 이듬해 학교를 자퇴하였다. 그는 『개벽(開闢)』지의 사원으로 입사 후, 약 10년간 창작 생활에 전념하였다. 1931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단편소설 「발(髮)」이 3등으로 입선되어 작가 생활이 비롯되었는데 독특한 작품세계를 보여 주목되었다.그는 예술파의 작가로 평판되었고 당대 일본 문단의 신흥예술파를 적극적으로 소개(新東亞, 1932.11.)하기도 하였다. 전기에는 신변, 가정사를 제재로 한 심리 추구가 주조를 이룬 「연기(煙氣)」(1933)·「명상(瞑想)」(1937) 등을 발표했다. 후기에는 거의 개인적인 주변의 일을 다룬 작품으로, 「소년과 기생」(1937)·「온실(溫室)」(1939) 등이 거론된다. 1944년 9월 태평양전쟁 말기에 일본 북구주 탄광으로 강제 징용되었다가 해방과 함께 귀국하였다. 그해 9월 26일에 귀국한 뒤, 좌익 문학단체인 조선문학건설본부에서 활동하다가 조선문학가동맹의 소설부 위원장을 맡다가 월북하였다. 이 무렵 발표한 작품은 「폭풍(暴風)의 역사」(1947)와 「농민의 비애(悲哀)」(1948) 등으로 이를 통하여 새로운 변신을 시도하였다. 1947년 월북 후, 별로 뚜렷한 작품 활동이 없었고 문단에서 빛을 잃고 말았다. 본래 프로문학 작가가 아니었던 그로서는 북한의 문학 이념에 쉽사리 적응하지 못한 채 문필 활동이 중단되었다. 그는 1953년 임화가 숙청될 때 가까운 사이라 하여 곤욕을 치렀으며, 1960년대 중반에 결국 숙청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작품활동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