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명고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자명고


작품설명

유치진(柳致眞)이 광복 직후에 쓴 역사극이다. 1947년 8월 극예술협회(劇藝術協會)에 의하여 공연되었다. 5막으로 된 이 낭만사극은 외세와 분단문제를 우회적으로 묘사한 민족주의적 색채가 짙은 작품이다.

이 작품을 쓸 당시는 미·소 양국이 남북으로 갈라서 군정을 펴고 있던 때였으므로 한사군시대(漢四郡時代)와 비슷한 상황으로 보고, 작가는 한사군시대를 배경으로 하여 작품을 전개하였다.

이 작품은 한나라 무제가 위씨조선을 멸한 뒤 조선땅에다 낙랑·진번·임둔·현도 등 사군을 두고 통치하였는데, 고구려가 일어나 한나라의 세력을 몰아내고 모든 촌락을 함락시킨 역사적 사실을 소재로 삼았다.



줄거리와 해석

고구려가 사군 중에서 한나라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고 또 가장 강력하였던 낙랑을 멸망시키는 이야기이다. 낙랑의 신고(神鼓)인 자명고에 얽힌 낙랑공주와 고구려 호동왕자와의 비련이 골자를 이룬다.

낙랑공주가 사랑 때문에 자명고를 찢음으로써 조국이 패망의 구렁텅이로 빠지고 자신도 비극적인 죽음을 당한다는 낭만극이다.

이 작품은 사실에 충실하면서도 한나라의 배척과 조국통일이라는 주제에 초점을 두었기 때문에 사실과는 동떨어지는 이야기로 흘러간 느낌도 있다.

왕자와 공주가 주고받는 대화에서 이 작품은 외세배척과 민족단결을 바탕으로 한 조국통일의 염원으로 가득 차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미·소 양국의 군정에 대한 간접적 비판으로 볼 수가 있는데, 그리하여 외세의 소련세력을 물리치고 민족통일을 이룩할 때까지 투쟁하여야 한다고 주인공의 입을 통해 외친다.

이처럼 사실에 입각한 사극으로 쓴 이 작품은 광복 후의 복잡미묘하고 혼란한 상황을 우회적으로 비판한 계몽사극이다.

연극정보

자명고를 현대의 시각으로 재해석한 오페라가 2017년에 개봉되었다.

자명고 연극정보
공연기간 2017.05.19(금) ~ 2017.05.21(일)
공연시간 금요일 ~ 토요일(19:30)

일요일(15:00)

공연장소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
출연진 이동명, 이성구, 조은혜, 김신혜, 박정민, 이승황, 박준혁 등
관람시간 2시간

자명고jpg.gif

(출처:예술지식백과)

<마의태자>와의 비교

자명고는 마의태자와 유사한 느낌도 있지만, 다른 측면 또한 포함하고 있다.

<마의태자>와 비교하여 볼 때, 사랑이야기라는 것이 공통적이다. <마의태자>에서는 망국의 태자와 정복국 공주의 사랑이 나온다.

망국과 정복국이라는 대립적인 구도 속에서의 어려운 사랑을 한다. <자명고>에서 또한 낙랑공주호동왕자는 적대시하는 나라의 자식들로써 그들이 쉽게 이루어지기는 어렵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한 나라의 멸망을 담고 있다는 점에서 비슷하다. 마의태자는 신라의 멸망을 담았다면 자명고낙랑의 멸망을 소재로 하고 있다. 조국이 지배당하고, 다시 해방되는 구도 속에서 작가가 자신의 상황에 비추어 이러한 시기를 선택한 것 같다.

그리고 역사극이라는 점에서 유사하지만 시대는 다르다. 마의태자는 신라 말과 고려 초를 배경으로 하고 있고, 자명고낙랑과 고구려를 배경으로 삼는다. 유치진이 농촌을 소재로 한 작품이 많은 것을 감안한다면, 이들은 유치진의 작품 속에서

역사극으로 묶일 수 있다.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자명고 유치진 A는 B가 쓴 희곡이다.

참고문헌

『유치진희곡전집(柳致眞戱曲全集)』(성문각, 1971)

『한국현대희곡사』(류민영, 홍성사, 1982)

네이버 지식백과

예술지식백과

작성자 및 기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