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무정운역훈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요[1]

《홍무정운역훈》(洪武正韻譯訓)은 한자의 중국음을 나타내기 위해 편찬한 운서인 《홍무정운》(洪武正韻)에 대해, 1455년(단종 3년)에 펴낸 한글 주석서이다. 세종훈민정음을 창제한 후 《동국정운》을 완성하고 나서 다시 한자의 중국음을 정확히 나타내고, 속음을 표시하며, 《홍무정운》을 중국 표준음으로 정하기 위해 《홍무정운》의 음을 한글로 표기하는 작업에 착수하였다. 이를 위해 신숙주·성삼문·조변안·김증·손수산이 편찬에 관여하였고, 수양대군과 계양군은 감장자(監掌者)의 역할을 맡아 편찬한 것이 《홍무정운역훈》이다.

이 책의 편찬은 세종 때에 완료되지 못하였고, 문종 때 노삼·권인·임원준 등이 다시 교열하여 완성시켰으며, 단종 즉위년에 비로소 완성되었다. 2년 후인 단종 3년(1455년) 간행되었는데, 한글과 한문 대자는 목활자, 소자는 갑인자로 펴냈다.

내용

세종집현전을 개편하여 연구를 지원하면서 어문 정책을 폈는데, 이는 한국어를 적는 새로운 문자인 훈민정음을 창제하는 것에서 시작되었다. 훈민정음이 마련된 뒤에야 한자음을 훈민정음으로 표음(表音)하여 나타낼 수 있었는데, 조선에서 사용하는 국어로서의 한자음을 규범적으로 정하여 표음하고자 한 책이 《동국정운》이었고, 조선 바깥에서 사용하는 외국어로서의 한자음을 표음하고자 한 책이 《홍무정운역훈》이었다.

당시에 중국 한자음 학습을 위하여 널리 쓰이던 운서는 1375년에 명나라에서 지은 《홍무정운》으로, 이 운서는 당시 명나라의 수도였던 남경에서 사용하는 남방음(南方音)을 기준으로 편찬되었다. 비록 홍무제는 홍무정운을 통하여 명나라 이전에 중국의 북부 지방을 다스렸던 원나라에서 사용하는 북방음(北方音)과 남방음을 모두 고려한 규범적인 한자음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나, 한자음을 인위적으로 교정하고자 하였기에 그 음이 널리 쓰이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홍무정운은 황제의 명으로 편찬된 관찬 운서라 조선 사회에서도 높은 권위를 지녔던 까닭에, 세종은 조선 사람이 중국의 표준 한자음을 익혀 역관 없이 중국인과 대화할 수 있고자 홍무정운의 번역을 명하였다.

보한재집》에 실린 서문에 의하면 홍무정운역훈의 편찬에 8년이 걸렸으므로, 추정하건대 훈민정음의 창제 직후에 편찬이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 신숙주 등 편자들은 홍무정운의 체재(體裁)를 지키면서도 북방음을 반영하고자 7-8차례 중국을 다녀오고, 홍무정운을 분석하여 31성모 체계로 정리하였으며, 원고를 열 번 넘게 교열하였다

성모와 운모 체계

중국의 전통적인 음운학에서는 음절을 성모(聲母)와 운모(韻母)의 결합으로 파악한다. 성모는 초성, 운모는 중성과 종성에 해당한다.

성모

음운학의 삼십육자모와 달리 다섯 개의 성모가 부족하다. 설상음(舌上音)은 정치음과 잘 구별되지 않으므로 설상음에 속하는 지모(知母), 철모(徹母), 징모(澄母)를 차례로 조모(照母), 천모(穿母), 상모(牀母)에 합하였고, 중국의 당시 현실 한자음에서 순경음의 차청에 해당하는 부모(敷母)는 전청에 해당하는 비모(非母)와 구별되지 않으므로 역시 합하였으며, 중국 한자음에서 니모(泥母)로 합류한 양모(穰母)도 합하였다.

홍무정운역훈의 성모 체계[2]
아음
(牙音)
설두음
(舌頭音)
순중음
(脣重音)
순경음
(脣輕音)
치두음
(齒頭音)
정치음
(正齒音)
후음
(喉音)
반설음
(半舌音)
반치음
(半齒音)
전청(全淸) 見 ㄱ 端 ㄷ 幇 ㅂ 非 ㅸ 精 ᅎ 照 ᅐ 影 ㆆ
心 ᄼ 審 ᄾ
차청(次淸) 溪 ㅋ 透 ㅌ 滂 ㅍ 淸 ᅔ 穿 ᅕ 曉 ㅎ
전탁(全濁) 群 ㄲ 定 ㄸ 並 ㅃ 奉 ㅹ 從 ᅏ 牀 ᅑ 匣 ㆅ
邪 ᄽ 禪 ᄿ
불청불탁
(不淸不濁)
疑 ㆁ 泥 ㄴ 明 ㅁ 微 ㅱ 喩 ㅇ 來 ㄹ 日 ㅿ

운모

중성과 종성을 합친 운모는 성조의 차이를 제외하면 22개 운목(韻目)으로, 성조의 차이를 고려하면 76개 운목으로 나뉜다.[3] 정음을 기준으로 한 22개 운목은 다음과 같다.

홍무정운역훈의 운목과 운모 체계[4]
운목 운모 운목 운모
1 東董送屋 우ᇰ, 욱, 유ᇰ, 욱 12 簫篠嘯○ 여ᇢ
2 支紙寘○ 으, 이 13 爻巧效○ 아ᇢ, 야ᇢ
3 齊薺霽○ 14 歌哿箇○ 어, 워
4 魚語御○ 15 麻馬禡○ 아, 야, 와
5 模姆暮○ 16 遮者蔗○ 여, ᄋᆑ
6 皆解泰○ 애, 얘, 왜 17 陽養漾藥 아ᇰ, 악, 야ᇰ, 약, 와ᇰ, 왁
7 灰賄隊○ 18 庚梗敬陌 의ᇰ, 읙, 이ᇰ, 익, 위ᇰ, 윅, ᄋᆔᇰ, ᄋᆔᆨ
8 眞軫震質 은, 읃, 인, 읻, 운, 욷, 윤, 욷 19 尤有宥○ 으ᇢ, 이ᇢ
9 寒旱翰曷 언, 얻, 원, 웓 20 侵寢沁緝 음, 읍, 임, 입
10 刪産諫轄 안, 앋, 얀, 얃, 완, 왇 21 單感勘合 암, 압, 얌, 얍
11 先銑霰肩 연, 엳, ᄋᆑᆫ, ᄋᆑᆮ 22 監琰豔葉 염, 엽


출처

  1. 홍무정운역훈. (2022, October 22). In Wikipedia. https://ko.wikipedia.org/wiki/%ED%99%8D%EB%AC%B4%EC%A0%95%EC%9A%B4%EC%97%AD%ED%9B%88
  2. 정경일, 한국운서의 이해(2002): 165-166
  3. 김무림, 홍무정운역훈(2006): 27-28
  4. 김무림, 홍무정운역훈(2006): 33-34


작성자

이대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