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윤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작품 및 저서)
26번째 줄: 26번째 줄:
 
</onlyinclude>
 
</onlyinclude>
  
=='''생애'''==
+
==생애==
 
[[이윤택]](李潤澤, 1952~, 부산) 1952년 부산에서 태어나서 자랐다. 1979년 천체수업, 도깨비불등을 <현대시>에 발표하며 시인으로 등단하였으며 같은 해인 7월부터 1986년 1월까지 부산일보 편집부 기자로 일을 시작하였다. 신문기자를 그만둔 후에 1986년 [[연희단거리패]]를 창단하였고 부산의 [[가마골소극장]] 거점으로 연극활동을 시작했다. 극작, 연출, 연기훈련 등 광범위한 활동과 작업을 진행하며 1990년대 한국 실험연극의 기수로 등장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윤택]]은 2018년 미투(Me Too)운동으로 인해 자신의 성추행, 성폭행 사실이 폭로되면서 큰 파문을 일으켰고 이와 같은 사실을 인정한 [[이윤택]]은 모든 활동을 중단하고 극단 [[연희단거리패]]의 해체까지 이루어졌다.  
 
[[이윤택]](李潤澤, 1952~, 부산) 1952년 부산에서 태어나서 자랐다. 1979년 천체수업, 도깨비불등을 <현대시>에 발표하며 시인으로 등단하였으며 같은 해인 7월부터 1986년 1월까지 부산일보 편집부 기자로 일을 시작하였다. 신문기자를 그만둔 후에 1986년 [[연희단거리패]]를 창단하였고 부산의 [[가마골소극장]] 거점으로 연극활동을 시작했다. 극작, 연출, 연기훈련 등 광범위한 활동과 작업을 진행하며 1990년대 한국 실험연극의 기수로 등장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윤택]]은 2018년 미투(Me Too)운동으로 인해 자신의 성추행, 성폭행 사실이 폭로되면서 큰 파문을 일으켰고 이와 같은 사실을 인정한 [[이윤택]]은 모든 활동을 중단하고 극단 [[연희단거리패]]의 해체까지 이루어졌다.  
 
=='''작품세계 (활동내역)'''==
 
=='''작품세계 (활동내역)'''==
35번째 줄: 35번째 줄:
 
사람 관계 안에서 느낄 수 있는 감정을 보여주려 노력한 작가로 보여진다.   
 
사람 관계 안에서 느낄 수 있는 감정을 보여주려 노력한 작가로 보여진다.   
  
=='''작품 및 저서'''==
+
==작품 및 저서==
희곡
+
===연극(연출)===
*[[시민K]]
+
*[[죽음의 푸가, 히바쿠샤]] (1986)
*오구-죽음의 형식
+
*[[산씻김]] (1987)
*
+
*[[카프카의 심판]] (1988)
*불의 가면-권력의 형식
+
*[[시민K]] (1989)
*바보각시-사랑의 형식
+
*[[오구-죽음의 형식]] (1990)
*어머니
+
*[[살아있는 이중생 각하]] (1991)
*청바지를 입은 파우스트
+
*[[맥베드]] (1992)
*문제적인간-연산
+
*[[바보각시]] (1993, 2006)
*눈물의 여왕
+
*[[허재비놀이]] (1994)
*일식
+
*[[청바지를 입은 파우스트]] (1995)
*가시밭의 한송이
+
*[[사랑에 속고 돈에 울고]] (1995, 2003)
*도솔가-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
*[[햄릿]] (1996, 2001, 2003, 2005, 2009, 2010)
*시골선비 조남명
+
*[[고래사냥]] (1996)
*꿈의 기록
+
*[[파우스트]] (1996, 2000)
*아름다운 남자
+
*[[눈물의 여왕]] (1998)
 +
*[[느낌, 극락같은]] (1998)
 +
*[[리어왕]] (1998, 2004)
 +
*[[태풍]] (1999)
 +
*[[일식]] (2000)
 +
*[[도솔가-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2000)
 +
*[[시골선비 조남명]] (2001)
 +
*[[수업]] (2002, 2010)
 +
*[[오이디푸스]] (2002)
 +
*[[하녀들]] (2002, 2009, 2010, 2017)
 +
*[[오구]] (2002, 2010)
 +
*[[문제적 인간 연산]] (2003)
 +
*[[뇌우]] (2004)
 +
*[[제비]] (2004)
 +
*[[초혼]] (2004)
 +
*[[맹진사댁 경사]] (2004)
 +
*[[화성에서 꿈꾸다]] (2007)
 +
*[[세자매]] (2008)
 +
*[[창작뮤지컬 이순신]] (2009, 2010)
 +
*[[화성에서 꿈꾸다]] (2009)
 +
*[[베니스의 상인]] (2009, 2010)
 +
*[[한마리호랑나비가 해협을 건넜네]] (2010)
  
 
+
===영화(시나리오)===
영화(시나리오)
 
 
*[[우리는 지금 제네바로 간다]] (1986)
 
*[[우리는 지금 제네바로 간다]] (1986)
 
*[[오세암]] (1990)
 
*[[오세암]] (1990)
63번째 줄: 83번째 줄:
 
*[[오구]] (2000)
 
*[[오구]] (2000)
  
+
===드라마(집필)===
 +
*[[사람과 사람]] / MBC (1990)
 +
*[[행복어사전]] / MBC (1991)
 +
*[[춘원 이광수]] MBC (1992)
 +
*[[사랑의 방식]] / MBC (1992)
 +
*[[도시인]] / MBC (1992)
 +
*[[머나먼 쏭바강]] / SBS (1993)
 +
*[[모델]] / SBS (1997)
 +
 
 +
===저서===
 
*한국현대희곡선
 
*한국현대희곡선
 
*백석우화 그리고 서른세편의시  
 
*백석우화 그리고 서른세편의시  
76번째 줄: 105번째 줄:
 
*궁리
 
*궁리
  
=='''기타(수상내역 등)'''==
+
==기타(수상내역 등)==
작품 소개와 마찬가지로 수상내역도 시대를 두 부분으로 나누어 작성하였다.
 
 
*1980년대 ~ 1990년대 수상내역
 
*1980년대 ~ 1990년대 수상내역
**1986년 <[[우리는 지금 제네바로 간다]]> : 제26회 대종상 각본상
+
**1986 <[[우리는 지금 제네바로 간다]]> : 제26회 대종상 각본상
**1989년 <오구-죽음의 형식> : 한국평론가협회 최우수예술가상
+
**1989 <[[오구-죽음의 형식]]> : 한국평론가협회 최우수예술가상
**1990년 <[[시민K]]> : ITI국제 연극예술협회 한국본부로부터 영희연극상
+
**1990 <[[시민K]]> : ITI국제 연극예술협회 한국본부로부터 영희연극상
**1991년 <청부> : 동아연극상 작품상과 연출상
+
**1991 <[[청부]]> : 동아연극상 작품상과 연출상
**1991년 <길떠나는 가족> : 서울연극제 대상
+
**1991 <[[길떠나는 가족]]> : 서울연극제 대상
**1994년, 1995년 <비닐하우스> : 서울연극제 연출상, 동아연극상 작품상과 연출상
+
**1991 <[[단지 그대가 여자라는 이유만으로]]> : 제31회 대종상 각본상 - 시나리오
 +
**1994, 1995 <[[비닐하우스]]> : 서울연극제 연출상, 동아연극상 작품상과 연출상
 +
**1995 <[[문제적 인간 연산]]> : 대산문학상 희곡상, 동아연극상 작품상, 희곡상, 백상예술상 대상, 작품상
 +
**1996 <[[햄릿]]> : 서울연극제 연출상
 +
**1997 <[[파우스트]]> : 국립극장 올해의 연출가상
 +
**1998 <[[느낌, 극락같은]]> : 서울 국제 연극제 작품상, 연출상, 올해의 연극 베스트 5 선정 연출상
 +
**1999 <[[느낌, 극락같은]]> : 백상예술대상 연출상
  
 
*2000년대 ~ 2010년대 수상내역
 
*2000년대 ~ 2010년대 수상내역
**2000년 <태풍> : 한국뮤지컬 대상 작품상
+
**2000 <[[태풍]]> : 한국뮤지컬 대상 작품상
**2006년, 2007년 <화성에서 꿈꾸다> : 대한민국 뮤지컬 대상 연출상, 더 뮤지컬 어워드 최우수작품상
+
**2001 <[[시골선비 조남명]]> : 올해의 연극 베스트 3선정, 올해의 연극 베스트 5선정
**2008년, 2009년 <원전유서> : 대한민국연극대상 작품상, 동아연극상 대상 연출상
+
**2005 <[[아름다운 남자]]> : 동아연극상 희곡상
 +
**2006, 2007 <[[화성에서 꿈꾸다]]> : 대한민국 뮤지컬 대상 연출상, 더 뮤지컬 어워드 최우수작품상
 +
**2007 <[[억척어멈과 그의 자식들]]> : 동아연극상 작품상, 연출상
 +
**2008, 2009 <[[원전유서]]> : 대한민국연극대상 작품상, 동아연극상 대상 연출상
  
=='''관련항목'''==
+
==관련항목==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101번째 줄: 138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작성자 및 기여자'''==
+
==작성자 및 기여자==
 
*작성자 : 김진희
 
*작성자 : 김진희
 
*기여자 : 김민중
 
*기여자 : 김민중
  
 
[[분류:인물]][[분류:김진희]][[분류:김민중]][[분류:인문정보콘텐츠]]
 
[[분류:인물]][[분류:김진희]][[분류:김민중]][[분류:인문정보콘텐츠]]

2018년 6월 15일 (금) 13:41 판

이윤택(1952~)


생애

이윤택(李潤澤, 1952~, 부산) 1952년 부산에서 태어나서 자랐다. 1979년 천체수업, 도깨비불등을 <현대시>에 발표하며 시인으로 등단하였으며 같은 해인 7월부터 1986년 1월까지 부산일보 편집부 기자로 일을 시작하였다. 신문기자를 그만둔 후에 1986년 연희단거리패를 창단하였고 부산의 가마골소극장 거점으로 연극활동을 시작했다. 극작, 연출, 연기훈련 등 광범위한 활동과 작업을 진행하며 1990년대 한국 실험연극의 기수로 등장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윤택은 2018년 미투(Me Too)운동으로 인해 자신의 성추행, 성폭행 사실이 폭로되면서 큰 파문을 일으켰고 이와 같은 사실을 인정한 이윤택은 모든 활동을 중단하고 극단 연희단거리패의 해체까지 이루어졌다.

작품세계 (활동내역)

이윤택은 부산일보 해직기자 출신으로 그가 처음 쓴 '우리는 지금 제네바로 간다' 각본은 본래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응모했다가 낙선한 작품이라고 한다. 그러나 작품이 영화로 재탄생하고 영화가 성공하면서 이윤택은 서울로 진출하여 ‘문화 게릴라’라는 닉네임과 함께 대한민국 문화계의 새로운 스타로 떠올랐다, 이윤택 작, 연출의 '오구' 는 1989년 초연된 후 10년이 넘는 기간 동안 1500여회 공연을 하며 270만명 이상의 관객을 불러모은 연극이며 죽음을 앞둔 노모의 씻김굿을 통해 고달픈 이승의 한과 사람들 사이의 갈등을 웃음과 해학으로 풀어낸 작품이다, 이윤택은 그만의 예술로서 사람 관계 안에서 느낄 수 있는 감정을 보여주려 노력한 작가로 보여진다.

작품 및 저서

연극(연출)

영화(시나리오)

드라마(집필)

저서

  • 한국현대희곡선
  • 백석우화 그리고 서른세편의시
  • 숲으로간다
  • 문제적 인간 연산
  • 오구 죽음의 형식
  • 나는 차라리 황야이고 싶다
  • 웃다 북치다 죽다
  • 시민K
  • 이윤택연기론 말과 몸
  • 시골 선비 조남명
  • 궁리

기타(수상내역 등)

관련항목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이윤택 연극연출가 A는 B로 활동했다.
이윤택 기자 A는 B로 활동했다.

참고문헌

작성자 및 기여자

  • 작성자 : 김진희
  • 기여자 : 김민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