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하이 임시정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RDF표)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20번째 줄: 20번째 줄:
 
|align="center"|'''초대설립자'''|| [[여운형]], [[조동호]], [[손정도]], [[조소앙]], [[김철]], [[선우혁]], [[한진교]], [[신석우]], [[이광수]], [[현순]], [[신익희]], [[조성환]], [[이광]], [[최근우]], [[백남칠]], [[김대지]], [[남형우]], [[이회영]], [[이시영]], [[이동녕]], [[조완구]], [[신채호]], [[진희창]], [[신철]], [[이영근]], [[조동진]], [[여운홍]], [[현장운]], [[김동삼]]
 
|align="center"|'''초대설립자'''|| [[여운형]], [[조동호]], [[손정도]], [[조소앙]], [[김철]], [[선우혁]], [[한진교]], [[신석우]], [[이광수]], [[현순]], [[신익희]], [[조성환]], [[이광]], [[최근우]], [[백남칠]], [[김대지]], [[남형우]], [[이회영]], [[이시영]], [[이동녕]], [[조완구]], [[신채호]], [[진희창]], [[신철]], [[이영근]], [[조동진]], [[여운홍]], [[현장운]], [[김동삼]]
 
|}
 
|}
 +
 +
 +
 +
 +
 +
 +
 +
 +
 +
 +
 +
 +
 +
 +
 +
 +
 +
 +
 +
  
  
 
==개요==  
 
==개요==  
1920년 3월 5일 창간된 신문사로 대한민국에 현존하는 신문사 중 두 번째로 오래되었으며, 창립 당시 일본에 저항하고 독립을 위해 힘썼다.  
+
대통령은 행정부의 수반이며, 국가를 대표한다.
한글 신문 중에는 첫번째로 오래되었다. 2021년 기준, 유료 부수가 유일하게 100만부를 넘었다.  
+
대통령은 국무총리 이하 각 부처 장관을 임명한다.
 +
대통령은 국무원들과 정부위원으로 구성되는 국무원을 주재한다.
 +
의정원은 각 지역별 선거로 선출된 의원으로 구성되며, 임기는 2년이다.
 +
대통령은 의정원 의원들이 기명단기식 투표로 선출한다.
 +
 
 +
1919년 4월 11일 상하이에서 한국 독립운동가들이 수립했던 임시정부로 독립운동을 조직적으로 하기 위해 창설되었다. 그러나 국제법상 통치권이 미치는 국토와 국민이 없기에, 통치권을 행사할 수 있는 일반정부와는 성격이 달랐지만, 독립이란 이념을 기반으로 설립되었기에 정부적 조직이다.
  
 
==연표==
 
==연표==
1920년 3월 5일 [[대정실업친목회]]에 의해 창간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width:80%
1920년 4월 28일 [[영친왕]][[마사코]]와의 결혼 비판 기사로 인해 압수
+
|-
1920년 8월 15일 자본금 불입으로 [[유문환]]이 2대 사장으로 취임.  
+
!'''연력'''||'''주요 활동'''
1920년 8월 27일 미국 의원단 방한을 환영하는 기사로 1주간 정간
+
|-
1920년 9월 5일 [["당국의 소위 문화 통치는 기괴치 아니한가"]]라는 논설로 무기 정간
+
|1919. 3. || 중국 상하이에 독립임시사무소 설치
1921년 4월 8일 [[조선총독부]]가 조선일보를 인수해 [[송병준]]에게 위임하려 했으나 거절해, 3대 사장은 [[남궁훈]]이됨.  
+
|-
1924년 9월 13일 [[신석우]]가 조선일보를 인수. 4대 사장으로 [[이상재]]가 취임함. 신간회 결성 주도 한글 교재 무상 배포
+
|1919. 4. 10~1. || 중국 상하이에서 1회 임시의정원 회의 개최, 대한민국 임시정부수립
1925년 1월 러시알가 일본과 외교관계를 맺자, 김준연을 5대 사장 신석우  
+
|-
1931년 7월 조선일보 6대 사장으로 [[안재홍]]이 취임.
+
|1919. 4. 13. ||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선포.
1931년 [[안재홍]]이 재만동포 자금 횡령 사건에 연류됨.  
+
|-
7대 사장 [[유진태]]
+
|1919. 5. 10. || 국가주권 승인 등의 공문서를 파리강화회의에 제출.
8대 사장 [[조만식]]
+
|-
9대 사장 [[방응모]] [[교육 필화]]로 인해 총독부에게 기사 압수
+
|1919. 5. || [[교통부 안통지부 사무국]] 설치.
1940년 조선총독부의 [[민족 말살정책]]으로 조선일보 발간 중단
+
|-
1945년 11월 23일 미국의 지원을 받아 다시 속간
+
|1919. 7. 10. || 국무원령 제 1호로 [[연통제]] 실시 공포.
1947년 ~ [[이승만]]의 대한민국 정부 수립 노선 지지
+
|-
1948년 ~ 1950년 6월 24일 [[이승만]] 정부의 출범 지지 , 반민족 행위자 강력 처벌과 처단 주장, 국가 보안법 제정당시 남용소지 비판 및 국가 보안법 사용 규범 제시
+
|1919. 8. 21. || 임시정부 기관지로 [[독립신문]] 창간.
1950년 6월 25일 북한에게 조선일보가 넘어가면서 인민군 기관지가 됨.  
+
|-
1950년 10월 1일 전세가 역전되어 대한민국의 기관지가 되어 한국 전쟁 이슈를 다룸
+
|1919. 9. 11. || 임시정부 공포, 통합 임시정부 수립.
1951년 ~ 이승만 정부와 대한민국 국근을 지지, 그러나 국민방위군 사건 등과 같은 국군에게 불리한 내용은 다루지 않음.  
+
|-
1954년 ~ 자유진영 지지
+
|1920. 1. || 전 국민의 광복군 전투 대열 참가를 당부하는 군무부 포고 1호 발표.
1955년 ~ 1959년 이승만 정부의 부산 정치 파동은 다루지 않음.
+
|-
 +
|1920. 2. || 미국캘리포니아에 비행사양성소 설립.
 +
|-
 +
|1920. 10. || 중국 호법정부, 임시정부 승인
 +
|-
 +
|1920. 2. 7. || [[광둥]]에 외무국 설치.
 +
|-
 +
|1923. 1. 3. || [[국민대표회의]] 개최
 +
|-
 +
|1923. 8. || 남만주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 육군 [[주만참의부]] 조직
 +
|-
 +
|1925. 4. 7. || 임시헌법 개정 공포 [[국무령 중심의 내각책임제]]
 +
|-
 +
|1927. 3. 5. || 임시약헌 개헌 공포 [[국무위원 집단지도체제]]
 +
|-
 +
|1930. 1. 25. || 상하이에서 [[한국독립당]] 창당
 +
|-
 +
|1931. 4. 18. || 삼균제도(정치 경제 교육의 평등)를 [[건국 원칙]]으로 발표.  
 +
|-
 +
|1931. 12. || 대한민국임시정부 직속 [[한인애국단]] 조직
 +
|-
 +
|1932. 1. 8. || [[이봉창]] 의거
 +
|-
 +
|1932. 4. 29. || [[윤봉길]] 의거
 +
|-
 +
|1932. 5. || 임시정부 항저우로 이동
 +
|-
 +
|1932. 11. || 중국 난징에서 5개 단체가 합의하여 대일정선통일 동맹 결성.
 +
|-
 +
|1933. 11. 15. || 중국 뤄양 군관학교 한인특별반 설치
 +
|-
 +
|1934. 1. || 전장에서 각 단체 대표자 회의 소집.
 +
|-
 +
|1935. 7. || [[민족혁명당]] 창당
 +
|-
 +
|1935. 11. || 임시정부 자싱으로 이동
 +
|-
 +
|1936. 7. || [[한국국민당]] 창당
 +
|-
 +
|1937. 4. || 임시정부 전장으로 이동
 +
|-
 +
|1937. 7. 15. || [[군사위원회]] 설치 결의
 +
|-
 +
|1937. 8. 17. || [[한국광복운동단체연합회]] 결성
 +
|-
 +
|-
 +
|1937. 11. 23. || 임시정부 창사로 이동
 +
|-
 +
|1938. 7. 17. || 임시정부 광저우 이동
 +
|-
 +
|1938. 9. || 임시정부 류저우로 이동
 +
|-
 +
|1939. 5. 30. || 임시정부 지장으로 이동
 +
|-
 +
|1940. 4. 1. || 임시정부 여당으로 [[한국독립당]] 조직
 +
|-
 +
|1940. 9. || 임시정부 충칭으로 이동
 +
|-
 +
|1940. 9. 17. ||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성립 전례식 거행.
 +
|-
 +
|1940. 10. 9. || 대한민국 임시약헌 개정 공포(주석 국무위원제)
 +
|-
 +
|1941. 6. 4. || 임시정부 주미외교위원회 설치.
 +
|-
 +
|1941. 11. 28.  || 대한민국 건국강령 선포.
 +
|-
 +
|1941. 12. 9. || [[대일선전포고문]] 발표.
 +
|-
 +
|1942. 4. || 중국 국민당정부 국방최고위원회, 대한민국 임시정부 승인
 +
|-
 +
|1942. 10. 20. || 34회 임시의정원회의에 좌익 인물 참여
 +
|-
 +
|1942. 5. || [[조선의용대]], 한국광복군에 편입.
 +
|-
 +
|1943. 11. 22. || [[카이로선언]]에서 한국 독립 선언
 +
|-
 +
|1944. 4. 22. || 임시헌법 개정(주석부주석제)
 +
|-
 +
|1945. 5. || 광복군 O.S.S. 훈련 실시
 +
|-
 +
|1945. 8. 15. || 광복
 +
|-
 +
|1945. 11. 23. || 대한민국임시정부 1진 환국
 +
|-
 +
|1945. 12. 1. || 대한민국임시정부 2진 환국
 +
|-
 +
|1945. 12. 19. || 대한민국임시정부 환국 환영대회 개최.
 +
|}
 +
 
 +
==대한민국임시정부 이동경로==
 +
[[파일:이동경로.png|400px]]
 +
 
 +
 
 +
[[상하이]](1919-1932)
 +
 
 +
[[항저우]](1932-1935)
 +
 
 +
[[자싱]](1935)
 +
 
 +
[[난징]](1935-1937)
 +
 
 +
[[창사]](1937-1938)
 +
 
 +
[[광저우]](1936-1939)
 +
 
 +
[[치장]](1939-1940)
 +
 
 +
[[충칭]](1940-1945)
 +
 
 +
[[서울]](1945-1948)
 +
 
 +
==네트워크 그래프==
 +
 
 +
==RDF표==
 +
{|class="wikitable" style="background:white; text-align: center; width:100%;"
 +
!style="width:30%"|항목A!!style="width:20%"|항목B!!style="width:30%"|관계!!style="width:15%"|비고
 +
|-
 +
| [[임시정부]] || 여운형 || A는 B를 설립했다.||
 +
|-
 +
| [[임시정부]] || 조동호 || A는 B를 설립했다.||
 +
|-
 +
| [[임시정부]] || 손정도 || A는 B를 설립했다.||
 +
|-
 +
| [[임시정부]] || 조소앙 || A는 B를 설립했다.||
 +
|-
 +
| [[임시정부]] || 손정도 || A는 B를 설립했다.||
 +
|-
 +
| [[임시정부]] || 김철 || A는 B를 설립했다.||
 +
|-
 +
| [[임시정부]] || 선우혁 || A는 B를 설립했다.||
 +
|-
 +
| [[임시정부]] || 한진교 || A는 B를 설립했다.||
 +
|-
 +
| [[임시정부]] || 신석우 || A는 B를 설립했다.||
 +
|-
 +
| [[임시정부]] || 이광수 || A는 B를 설립했다.||
 +
|-
 +
| [[임시정부]] || 현순 || A는 B를 설립했다.||
 +
|-
 +
| [[임시정부]] || 신익희 || A는 B를 설립했다.||
 +
|-
 +
| [[임시정부]] || 조성환 || A는 B를 설립했다.||
 +
|-
 +
| [[임시정부]] || 이광 || A는 B를 설립했다.||
 +
|-
 +
| [[임시정부]] || 최근우 || A는 B를 설립했다.||
 +
|-
 +
| [[임시정부]] || 백남칠 || A는 B를 설립했다.||
 +
|-
 +
| [[임시정부]] || 김대지 || A는 B를 설립했다.||
 +
|-
 +
| [[임시정부]] || 남형우 || A는 B를 설립했다.||
 +
|-
 +
| [[임시정부]] || 이회영 || A는 B를 설립했다.||
 +
|-
 +
| [[임시정부]] || 이시영 || A는 B를 설립했다.||
 +
|-
 +
| [[임시정부]] || 이동녕 || A는 B를 설립했다.||
 +
|-
 +
| [[임시정부]] || 조완구 || A는 B를 설립했다.||
 +
|-
 +
| [[임시정부]] || 신채호 || A는 B를 설립했다.||
 +
|-
 +
| [[임시정부]] || 진희창 || A는 B를 설립했다.||
 +
|-
 +
| [[임시정부]] || 신철 || A는 B를 설립했다.||
 +
|-
 +
| [[임시정부]] || 이영근 || A는 B를 설립했다.||
 +
|-
 +
| [[임시정부]] || 조동진 || A는 B를 설립했다.||
 +
|-
 +
| [[임시정부]] || 여운홍 || A는 B를 설립했다.||
 +
|-
 +
| [[임시정부]] || 현장운 || A는 B를 설립했다.||
 +
|-
 +
| [[임시정부]] || 김동삼 || A는 B를 설립했다.||
 +
|-
 +
| [[임시정부]] || 독립운동 || A는 B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
|-
 +
| [[임시정부]] || 상하이 || A는 B에 설립되었다.||
 +
|-
 +
| [[임시정부 ]]||  [[민주공화정]] || A는 B의 성격을 띠고 있다.||
 +
|}
 +
 
 +
==출처==
 +
[https://www.hampyeong.go.kr/ilgang/contentsView.do?pageId=ilgang13. 일강김철선생기념관]
 +
 
 +
[https://ko.wikipedia.org/wiki/%EB%8C%80%ED%95%9C%EB%AF%BC%EA%B5%AD_%EC%9E%84%EC%8B%9C%EC%A0%95%EB%B6%80 위키피디아-대한민국임시정부]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15017.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분류:대한민국임시정부]][[분류:독립운동]][[분류:일제강점기]]

2022년 6월 17일 (금) 23:58 기준 최신판












개요

대통령은 행정부의 수반이며, 국가를 대표한다.
대통령은 국무총리 이하 각 부처 장관을 임명한다.
대통령은 국무원들과 정부위원으로 구성되는 국무원을 주재한다.
의정원은 각 지역별 선거로 선출된 의원으로 구성되며, 임기는 2년이다.
대통령은 의정원 의원들이 기명단기식 투표로 선출한다.

1919년 4월 11일 상하이에서 한국 독립운동가들이 수립했던 임시정부로 독립운동을 조직적으로 하기 위해 창설되었다. 그러나 국제법상 통치권이 미치는 국토와 국민이 없기에, 통치권을 행사할 수 있는 일반정부와는 성격이 달랐지만, 독립이란 이념을 기반으로 설립되었기에 정부적 조직이다.

연표

연력 주요 활동
1919. 3. 중국 상하이에 독립임시사무소 설치
1919. 4. 10~1. 중국 상하이에서 1회 임시의정원 회의 개최, 대한민국 임시정부수립
1919. 4. 13.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선포.
1919. 5. 10. 국가주권 승인 등의 공문서를 파리강화회의에 제출.
1919. 5. 교통부 안통지부 사무국 설치.
1919. 7. 10. 국무원령 제 1호로 연통제 실시 공포.
1919. 8. 21. 임시정부 기관지로 독립신문 창간.
1919. 9. 11. 임시정부 공포, 통합 임시정부 수립.
1920. 1. 전 국민의 광복군 전투 대열 참가를 당부하는 군무부 포고 1호 발표.
1920. 2. 미국캘리포니아에 비행사양성소 설립.
1920. 10. 중국 호법정부, 임시정부 승인
1920. 2. 7. 광둥에 외무국 설치.
1923. 1. 3. 국민대표회의 개최
1923. 8. 남만주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 육군 주만참의부 조직
1925. 4. 7. 임시헌법 개정 공포 국무령 중심의 내각책임제
1927. 3. 5. 임시약헌 개헌 공포 국무위원 집단지도체제
1930. 1. 25. 상하이에서 한국독립당 창당
1931. 4. 18. 삼균제도(정치 경제 교육의 평등)를 건국 원칙으로 발표.
1931. 12. 대한민국임시정부 직속 한인애국단 조직
1932. 1. 8. 이봉창 의거
1932. 4. 29. 윤봉길 의거
1932. 5. 임시정부 항저우로 이동
1932. 11. 중국 난징에서 5개 단체가 합의하여 대일정선통일 동맹 결성.
1933. 11. 15. 중국 뤄양 군관학교 한인특별반 설치
1934. 1. 전장에서 각 단체 대표자 회의 소집.
1935. 7. 민족혁명당 창당
1935. 11. 임시정부 자싱으로 이동
1936. 7. 한국국민당 창당
1937. 4. 임시정부 전장으로 이동
1937. 7. 15. 군사위원회 설치 결의
1937. 8. 17. 한국광복운동단체연합회 결성
1937. 11. 23. 임시정부 창사로 이동
1938. 7. 17. 임시정부 광저우 이동
1938. 9. 임시정부 류저우로 이동
1939. 5. 30. 임시정부 지장으로 이동
1940. 4. 1. 임시정부 여당으로 한국독립당 조직
1940. 9. 임시정부 충칭으로 이동
1940. 9. 17.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성립 전례식 거행.
1940. 10. 9. 대한민국 임시약헌 개정 공포(주석 및 국무위원제)
1941. 6. 4. 임시정부 주미외교위원회 설치.
1941. 11. 28. 대한민국 건국강령 선포.
1941. 12. 9. 대일선전포고문 발표.
1942. 4. 중국 국민당정부 국방최고위원회, 대한민국 임시정부 승인
1942. 10. 20. 34회 임시의정원회의에 좌익 인물 참여
1942. 5. 조선의용대, 한국광복군에 편입.
1943. 11. 22. 카이로선언에서 한국 독립 선언
1944. 4. 22. 임시헌법 개정(주석부주석제)
1945. 5. 광복군 O.S.S. 훈련 실시
1945. 8. 15. 광복
1945. 11. 23. 대한민국임시정부 1진 환국
1945. 12. 1. 대한민국임시정부 2진 환국
1945. 12. 19. 대한민국임시정부 환국 환영대회 개최.

대한민국임시정부 이동경로

이동경로.png


상하이(1919-1932)

항저우(1932-1935)

자싱(1935)

난징(1935-1937)

창사(1937-1938)

광저우(1936-1939)

치장(1939-1940)

충칭(1940-1945)

서울(1945-1948)

네트워크 그래프

RDF표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임시정부 여운형 A는 B를 설립했다.
임시정부 조동호 A는 B를 설립했다.
임시정부 손정도 A는 B를 설립했다.
임시정부 조소앙 A는 B를 설립했다.
임시정부 손정도 A는 B를 설립했다.
임시정부 김철 A는 B를 설립했다.
임시정부 선우혁 A는 B를 설립했다.
임시정부 한진교 A는 B를 설립했다.
임시정부 신석우 A는 B를 설립했다.
임시정부 이광수 A는 B를 설립했다.
임시정부 현순 A는 B를 설립했다.
임시정부 신익희 A는 B를 설립했다.
임시정부 조성환 A는 B를 설립했다.
임시정부 이광 A는 B를 설립했다.
임시정부 최근우 A는 B를 설립했다.
임시정부 백남칠 A는 B를 설립했다.
임시정부 김대지 A는 B를 설립했다.
임시정부 남형우 A는 B를 설립했다.
임시정부 이회영 A는 B를 설립했다.
임시정부 이시영 A는 B를 설립했다.
임시정부 이동녕 A는 B를 설립했다.
임시정부 조완구 A는 B를 설립했다.
임시정부 신채호 A는 B를 설립했다.
임시정부 진희창 A는 B를 설립했다.
임시정부 신철 A는 B를 설립했다.
임시정부 이영근 A는 B를 설립했다.
임시정부 조동진 A는 B를 설립했다.
임시정부 여운홍 A는 B를 설립했다.
임시정부 현장운 A는 B를 설립했다.
임시정부 김동삼 A는 B를 설립했다.
임시정부 독립운동 A는 B를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임시정부 상하이 A는 B에 설립되었다.
임시정부 민주공화정 A는 B의 성격을 띠고 있다.

출처

일강김철선생기념관

위키피디아-대한민국임시정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