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한성대학교 미디어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소개)
31번째 줄: 31번째 줄:
  
 
=='''소개'''==
 
=='''소개'''==
 
+
훈민정음(訓民正音)은 한자 뜻 그대로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으로 의미가 두 가지로 나뉜다. 첫 번째 의미는 1443년 [[세종대왕]]이 만든 오늘날의 [[한글]][([[한국어]])의 표기 체계를 말한다. 두 번째 의미는 1446년 9월에 발간된 책을 말하고 있으며 다음 위키도 훈민정음 '책'에 관한 내용이다.
 +
</br>
 +
1443년에 [[세종대왕]]이 창제한 훈민정음에 관한 책은 1446년 만들어졌으며 한문 해설서인《[[훈민정음예의본]](訓民正音例義本)》과 《[[훈민정음해례본]](訓民正音解例本)》이 존재하고 있다. 두 책은 1962년 12월 20일 [[대한민국]]의 [[국보]]로 지정되었다.
 +
</br>
 +
이 두 책 중, 《[[훈민정음해례본]](訓民正音解例本)》은 [[세종대왕]]과 [[집현전]] 학사들이 [[세종 28년]](1446년)에 만든 [[한문해설서]]이다. 이 책은 《[[훈민정음해례본]](訓民正音解例本)》으로 불리지만. 《훈민정음》 또는 《훈민정음 원본》이라고도 불린다. 《[[훈민정음해례본]](訓民正音解例本)》은 전권 33장 1책의 목판본으로 제작되었지만 앞 부분의 2장은 1940년 무렵에 복원된 부분이다. 구성은 총 33장의 3부로 나누어져 있다. 1부는 7행 11자씩 4장의 7면으로 훈민정음 본문이다. 2부는 8행 13자씩 26장 51면 3행으로 훈민정음 해례이고, 3부는 3장 6면에 1자 내려싣고 끝에 ‘정통 11년’(1446)이라 명시하고 있는 [[정인지]]의 서문이다.
  
 
=='''내용'''==
 
=='''내용'''==

2022년 11월 9일 (수) 01:22 판


소개

훈민정음(訓民正音)은 한자 뜻 그대로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으로 의미가 두 가지로 나뉜다. 첫 번째 의미는 1443년 세종대왕이 만든 오늘날의 한글[(한국어)의 표기 체계를 말한다. 두 번째 의미는 1446년 9월에 발간된 책을 말하고 있으며 다음 위키도 훈민정음 '책'에 관한 내용이다. </br> 1443년에 세종대왕이 창제한 훈민정음에 관한 책은 1446년 만들어졌으며 한문 해설서인《훈민정음예의본(訓民正音例義本)》과 《훈민정음해례본(訓民正音解例本)》이 존재하고 있다. 두 책은 1962년 12월 20일 대한민국국보로 지정되었다. </br> 이 두 책 중, 《훈민정음해례본(訓民正音解例本)》은 세종대왕집현전 학사들이 세종 28년(1446년)에 만든 한문해설서이다. 이 책은 《훈민정음해례본(訓民正音解例本)》으로 불리지만. 《훈민정음》 또는 《훈민정음 원본》이라고도 불린다. 《훈민정음해례본(訓民正音解例本)》은 전권 33장 1책의 목판본으로 제작되었지만 앞 부분의 2장은 1940년 무렵에 복원된 부분이다. 구성은 총 33장의 3부로 나누어져 있다. 1부는 7행 11자씩 4장의 7면으로 훈민정음 본문이다. 2부는 8행 13자씩 26장 51면 3행으로 훈민정음 해례이고, 3부는 3장 6면에 1자 내려싣고 끝에 ‘정통 11년’(1446)이라 명시하고 있는 정인지의 서문이다.

내용

요약 정보

지정유형 국보
지정일 1962. 12. 20
종류 유물/ 문헌
제작 시대 조선시대(12세기 후반)
제작 시기 1446년
소재지 성북동(간송미술관)
소유 및 관리 간송미술관

명칭

제작

소재

지도를 불러오는 중...

관련 자료

사진 자료

영상 자료

참고 문서

작성자 및 기여자

디지털과 지식콘텐츠(22-2) 수업의 일환으로 작성.

작성자 천성현